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문화 : 신선영(Sun Yung Shin) 문학 연구

        유진월 ( Jin Wol Yo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0 比較文化硏究 Vol.21 No.-

        Sung Yung Shin was adopted as a Korean infant to an American family. She is now one of the most important writers in Asian American literary field.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her literature, focusing on Skirt full of Black (poetry)and Cooper`s Lesson(children`s book). Sun Yung Shin uses collage in skirt full of Black as an effective rhetorical device because it can express her experience as an adopted other in the multicultural American society. She rewrites the fairy tale of Swan Prince in the viewpoint of silence. For a yellow Asian adopted woman, speaking is suppressed. In the end, the attempt to escape from silence is the writer`s resisting activity, and the rewriting of the tale is her questioning in place of the princes. I analyses Cooper`s Lesson in the viewpoint of transcultural assimilation. Cooper`s lesson is accomplished not by his white father but by a Korean settler, Mr. Lee. Cooper`s family is a hybrid composed of white American father, Korean mother, and their half son. So this family has many complicated difficulties, though it`s small. Mr. Lee who accepted a new language to establish a new identity teaches Cooper the importance of cultural assimilation, which is not a one-sided integration to dominant culture but an intercultural communion while sustaining each culture`s singularity. Cooper learns that he should live in an harmonious and balanced life in a multi-cultural society while keeping his own subjective point of view.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장률의 영화에 나타난 타자의 윤리학

        유진월(Yoo, Jin Wol)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3 디아스포라 연구 Vol.7 No.2

        본고에서는 중국 조선족인 장률 감독의 <경계>, <이리>, <두만강> 등 세 편의 영화를 타자 윤리학의 시각으로 분석하였다. <경계>의 항가이는 국적을 초월한 무조건적 환대를 통해 향유의 주체에서 윤리적 주체로 나아간다. 최순희는 환대에 대한 반대급부로서의 성적 대상화를 거부함으로써 고결함을 지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들은 지상의 모든 경계를 넘어섬으로써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초월에의 의지와 존엄을 구현하였다. <이리>의 진서는 수동적 존재로 타인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대신 고난 받는 볼모의 모습을 하고 있다. 진서는 타인의 고난과 불의에 대한 책임을 지는 대속적 존재가 됨으로써 책임 있는 주체가 된다. <두만강>의 창호는 비록 어린 소년이지만 책임 있는 존재로서의 인식과 결단으로 인하여 고귀한 존재로 부상하게 된다. 장률의 세 편의 영화 속에서 환대의 양상은 점진적으로 발전해가고 있으며 마침내 어린 소년에게서 환대의 최고 수준을 보여주면서 영화의 내적 성숙을 이루어낸다. 환대가 인간을 향유의 주체에서 윤리적 주체로 변모시킬 수 있으며, 책임을 다하는 대속의 수준까지 나아갈 때 환대의 의미는 완성되고 인간은 존엄한 존재로 나아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조선족이라는 복잡한 정체성과 경계인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장률의 영화들은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민족과 국적의 사람들이 뒤섞여 살아가는 오늘날, 이방인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As a descendant of Korean immigrants in China, Jang Ryul can speak Korean, but he is Chinese since he holds People’s Republic of China citizenship. But the films of Jang Ryul tend to be understood as South Korean ones. This is because of the fact that he has usually worked with South Korean actors and film professionals and because the funds for his works have come from South Korean sources. For Jang Ryul, creating a film can be considered a minority practice based on a complicated identity. In this sense, we should understand him and his works not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ity or ethnicity but from that of a marginal person standing on the periphery. This paper has analyzed Jang Ryul’s three films ? Desert Dream(2007) , Iri(2008) and Tumen River(2009)? using the keyword, hospitality. From these films, it can be understood how human hospitality can fundamentally transform one’s subjectivity. Through the practice of hospitality, one can become the ethical subject. When the hospitality goes further to take responsibility for redeeming the Other, the meaning of hospitality reaches its logical conclusion. In doing so, one can be a dignified being. This approach reflects Jang Ryul’s philosophical perspective. In order to go beyond war and violence, the director suggests a way of achieving a peaceful future through the Ethics of the Other, which stress embracing the Other by abandoning one’sown interests and rights, taking responsibility through the sacrifice of one’sown will and, finally, practicing absolute hospitality as a way of listening to the Other’ ssufferings. JangRyul, a Korean Chinese, has lived as a person on the margins between the Korean and the Chinese. This has led him to find out a way through which all human beings can enjoy freedom and equality in a peaceful world.

      • KCI등재

        성적 주체로서의 노년 여성의 섹슈얼리티 재현 양상

        유진월(Yoo, Jin-Wol)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9

        본고에서는 그동안 노인 연구가 남성을 기준으로 삼고 페미니즘에서는 젊은 여성이 모든 여성을 대표해온 것을 문제로 제기하며, 노년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재현하고 있는 세 편의 영화를 분석하였다. 일단 세 명의 여성들은 모두 주체적이고 능동적이며 용감하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바람난 가족〉의 병한은 노년여성의 섹슈얼리티 문제를 재현하는 인물들 중에서 가장 긍정적이다. 노년기에 접어들어 비로소 자신의 욕망을 인정하고 실현하게 되었으며 몸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다는 의의가 있다. 남편의 죽음 이후 탈주하는 욕망의 주체가 되는데 이는 체제 내에서의 젠더 배역을 충실히 수행한 끝에 기존 체제의 야만성과 허위성을 자각하는 주체가 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돈의 맛〉의 백금옥은 강렬한 성적 욕망을 드러내는 인물로 돈과 권력의 힘을 빌어 자기중심적으로 욕망을 구현하는 남성들의 폭력적인 행태를 그대로 모방한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면이 있다. 그러나 욕망에 충실한 몸을 적극적으로 구현한다는 점에서 성적 주체로서의 노년여성을 당당하게 형상화한다는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여성상은 한국영화에서 거의 유례가 없다는 점에서 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보여준다. 〈죽여주는 여자〉의 소영은 노년기임에도 여전히 매춘부로 살아가야 하는 것은 비극적이지만 자신의 생을 스스로 책임진다는 점에서는 독립적인 여성이다. 그녀는 남성의 욕망의 대상에서 점차 성녀로 미화되고 있으며 여성에게 부과된 탕녀와 성녀라는 이중적 고정관념을 모두 재현하는데, 이는 남성들의 이기심에 의한 것으로 여성에 대한 심각한 왜곡을 보여준다. 이렇게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노년여성의 재현과 주체 형성에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페미니즘의 의미를 확산할 수 있을 것이다. I raise the problem of the trend that is mainly focused on elderly men instead of elderly women in the representation of an aging perso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t is also incorrect, to assume that young women are representative of all women. Therefore, in this paper, I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elderly women as sexual subjects in three films. The three women in the films are subjective, brave and active. ByungHan, in 〈A good lawyer’s wife〉 is the most positive wom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xual characters. She recognizes her own sexual desire and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body. She becomes a subject of her own desire to escape after her husband’s death and she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reinventing herself in recognition of the barbarism of this society and system. Lady Baek, in 〈The taste of money〉 demonstrates strong sexual desire. She is a negative woman because she imitates the violent style of men to realize her desire through money and power. It is tragic that SoYoung in 〈The Bacchus lady〉 works as a prostitute in spite of her old age. However she is an independent woman who takes responsibility for her own life. She is romanticized as a saint who is made to work as a prostitute as a function of men’s selfishness. Her portrayal is a serious distortion by the male director who lacked a feminist perspective. We can spread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feminism by expressing concern with the representation of elderly women that is focused on their sexuality and the subject formation.

      • KCI등재

        심훈의 저항과 계몽, 이용후생의 한 방식

        유진월(Yoo, Jin-Wol)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일제강점기의 작가 심훈이 지식인이자 언론인이자 예술가로서 보여준 이상의 실천적 삶과 예술은 정조대의 실학파가 민생 중심의 새로운 가치로 내세웠던 이용후생이라는 키워드로 집약해볼 수 있다. 틀 안에 머물지 않고 경계를 넘어서기를 두려워하지 않았던 심훈은 생의 막다른 국면에 처할 때마다 중국, 일본, 당진 등 낯선 세상으로 떠나곤 했다. 특히 도시 생활을 버리고 낙후된 농촌인 당진으로 가서 새로운 가치 실현의 길을 찾고자 했고 <상록수>를 통해 본격적인 농촌계몽문학의 장을 열었다. 농민의 현실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통해 그들의 삶을 진실하게 표현하며 민중과 더불어 ‘민중 속으로’의 이념을 체현한 작가생활은 이용후생의 구체적 실천이다. 당시의 농촌계몽운동이 독립운동만큼이나 중요하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일생 동안 투철한 역사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저항’과 ‘계몽’을 추구한 그의 삶은 ‘이용후생’의 가치를 구현한 삶이라고 할 수 있다. Shim Hoon, a novelist, poet, journalist, and filmmak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person who constantly caused incidents. This type of person crosses boundaries and is a protagonist, opening up new areas and expanding the horizon of life. Shim Hoon was also a person who lived a life of leaving. Whenever he faced a dead end in life, he left for a new world such as China, Japan, and Dangjin. In particular, as a modern boy he abandoned his urban life and went to Dangjin, an underdeveloped rural village, to find a new ideology. He ultimately established the field of full-scale rural enlightenment literature by <Sangnoksu>. He was a writer who described people’s lives honestly, which was in line with hi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lives of farmers, and he practiced this way of life along with the people. As a pioneering intellectual, the practical life of resistance and enlightenment based on a sense of problems throughout history realized the value of Eyonghoosaeng.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t that time was so important that it had the same value as the independence movement. Shim Hoon"s life was a practical life of resistance that consistently brings to mind “a mother who is bigger than mother - motherland”.

      • KCI등재

        타자의 서사에서 주체의 서사로의 이행

        유진월(Yoo, Jin-Wol)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6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2015)는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자본주의가 팽배한 현대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점을 프롤레타리아 노동자 부부의 비극을 통해 비판적으로 그린 영화이다. ‘남성/여성’과 ‘주체/타자’의 이분법적 구도의 타파, 심화되는 자본주의와 여성-노동자의 무한노동, 생계 밀착형 코믹 잔혹극과 슬래셔 영화 등을 중심으로 영화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는 주류의 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아버지의 법에 대항하여 싸우는 독립영화이다. 둘째,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는 신자유주의라는 경제 원리가 이끌어가는 사회에서 약자가 어떻게 내몰리는지를 비판적 시선으로 그려냄으로써 영화가 이데올로기의 산물이며 경제적 관계체계의 산물이라는 마르크스주의적인 시각을 보여준다. 셋째,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는 남성 부르주아 영화에 대항하는 영화로 여성이 주체를 형성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보여준다. 결여된 남성을 남편으로 선택하고 식물인간이 된 남편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수남은 가족이 무너져가는 물신주의의 시대에 진정한 사랑을 간직하고 실천하는 진지한 인물로서 물화된 세계에서도 끝까지 삶의 진실이라는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의 추구를 영화의 주요한 의의로 보고 본고에서는 이 작품을 ‘여성/타자에서 가장/주체로 이행하는 영화’로 보았다. 남성이라는 다수이자 기득권 세력에 비해 소수자에 속하는 여성 주체를 강조하는 영화로서 새로운 화법으로 기존 영화의 형식과 내용과 표현을 가로지르는 여성영화라 할 것이다. Alice in Earnestland (2015) is a critical movie which shows the problems of surging capitalism and neoliberalism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a proletarian couple’s tragedy in Korean society. The movie is examined through the lens of three themes:the abolition of the dichotomy as man/the subject and woman/the other, the intensified capitalism and the infinite work of woman-worker, comic movie and slasher film. The results are as follows:Alice in Earnestland shows a critical point of view of how weak people are damaged in an economics-focused society by neoliberalism. Alice in Earnestland is a meaningful independent movie resistant to the major ideology and fight for a partriarchal society. Alice in Earnestland is a movie that fights for male-centric bourgeois movies, showing the new identity of women able to perform subjectivity in extreme situations. Alice in Earnestland shows a Marxist viewpoint:that the movie is produced from the ideology of society and the fruit of the economic system. In particular, the heroine, SooNam, realizes the values of life by doing her best to look after her dying husband in the reification world of economic realities.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is movie is the formation of a true woman and human being. This movie is a feminist film showing the meaningful change from the other’s story to the subject’s story.

      • KCI등재

        나혜석의 탈주 욕망과 헤테로토피아

        유진월(Yoo, Jin-Wo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본고에서는 나혜석을 근대로 향해가는 격동기 조선에서 문제적 위치에 처해 있었던 경계인이라 보고 지금/여기가 아닌 다른 곳에 대한 동경을 가지고 있었던 나혜석의 탈주욕망과 공간과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나혜석의 삶은 당시의 보통 사람들의 경우와는 큰 차이가 있었고, 그 진보적인 이념을 기반으로 하여 생산된 예술과 용감한 행동의 추동력이 남다른 공간의 체험을 통해서 발현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신여성 나혜석의 진보적 활동은 이질적인 공간이 충돌하는 접점에서 경계를 밟고 서 있던 경계인이라는 그녀의 지위와 관련되어 있고 그 그림과 문학은 거기서 산출된 예술적 결과물이라는 관점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하나의 공간이 개인에게 힘을 행사하는 크기와 방향을 고려할 때 나혜석에게 유독 새로운 공간의 체험이 많았다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동경, 안동, 유럽 등 당시의 여성에게는 매우 특별한 공간인 외국을 비롯해서 국내에서는 학교, 신혼여행지인 묘지, 양로원과 거리 등 다양한 공간을 헤테로토피아라는 관점에서 통합하고, 그 공간들이 나혜석의 인생사에 어떻게 배치되어 힘을 행사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나혜석의 삶은 공간과 사건이 한 편의 작품처럼 연결되어 극적 구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각각의 단계를 중시하였다. 나혜석은 평생에 걸쳐 사건을 일으키면서 통제와 억압에 저항했고 그러한 저항의 결과로 새로운 공간을 끝없이 탄생시킨 인물이었고 그것은 결국 타자에 불과한 식민지/여성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주체로 변모시켰다. Rha Hye Suk was a boundary and a problematic person in Chosun changed into modern society. I studi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aces and Rha Hye Suk"s escape desire who had nostalgia not for here now but for somewhere. There were lots of differences between Rha Hye Suk"s life and any other persons. The arts came from progressive idea and the force of brave act came from special experience of unique spaces. The progressive achievement of new woman Rha Hye Suk was concerned with the status of boundary who stood on the borderline to conflict with hetero spaces. Her literature and arts were artistic fruits from it. Especially there were lots of new spaces experiences in Rha Hye Suk"s life. A space influences on a person in many way. There were Tokyo, Dandong, Europe as foreign spaces and Kyungsung, Kumkangsan, nursing homes and streets in Chosun. I integrated the lots of spaces into the viewpoint of heterotopia and I analyzed how the spaces placed and influenced into the time in Rha Hye Suk"s life.

      • KCI등재

        <물의 기억>에 나타난 욕망의 구조와 물의 상상력

        유진월 ( Jin Wol Y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0 No.50

        2015년도 동아일보 신춘문예 희곡 당선작인 박선의 <물의 기억>은 오늘날 젊은이의 무의식을 그려낸 작품이다. 이 작품은 물의 상상력이 작품을 전반적으로 감싸 안고 있으며 라캉의 욕망이론을 토대로 하고 있다. 아버지의 법이 지배하는 상징계의 질서 안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상상계로 퇴행하는 남자의 이야기다. 이 작품은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젊은이의 고민들 곧 가족관계, 사랑과 결혼, 취직, 자아의 정체성, 미래의 꿈 등을 모두 담고 있다. 주인공 남자는 그모든 문제들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여의치 않다. 그는 어머니와 합일된 상태의 상상계에서 벗어나 아버지의 법이 지배하는 상징계로 진입하지만 결혼이라는 통과의례 앞에서 고비를 맞고 상상계로 퇴행해버린다. 남자는 처음부터 욕조에 들어앉아 있다가 마지막 장면에서는 욕조 속에서 자살함으로써 스스로 물이 되고자 하는 욕망을 실현한다. 물은 어머니와 합일된 평화로운 세계를 상징한다. 이작품은 겉으로는 한국사회를 살고 있는 젊은이의 삶을 그리고 있으나 그 내면에는 영원히 존속해 온 신화적인 문제가 내재됨으로써 보편성을 갖는다. ParkSun``s <Memory of Water>(DongaIlbo New Play Award, 2015) shows the young men``s unconsciousness in our time. This drama is based on Lacan``s desire theory and the imagination on water. This story is about a man who can``t stay in the Symbolic and go back to the Imaginary. There are young men``s worries as family relation, love, marriage, job, identity and dream in this play. The man tries to adapt to the matters to fail. He escaped from the Imaginary and entered to the Symbolic. But he went back to the Imaginary at the front of the rite of passage named marriage. He was in the bathtub at the first and he killed himself in the bathtub to be water in the end. The water means the peaceful world to be together with her mother. It is special that a man divided into two persons in the play. The self divided as the subject and the object made the situation objectively. It suggests the man``s suicide is not the backing to the Imaginary but the possibility to go to the Real. <Memory of Water> combined the desire to the impossible Real with the imagination of water and showed the poetic and fantastic world.

      • KCI등재

        위치의 정치학과 소수자적 실천

        유진월(Yoo, Jin-wol)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5

        본고는 조총련계 열혈 간부인 아버지를 둔 재일한인 양영희 감독의 영화 〈디어 평양〉과 〈굿바이 평양〉을 ‘재외한인/여성감독의/다큐멘터리영화’라는 시각으로 고찰한 것이다. ‘재외한인’이 의미하는 질곡의 한국사의 측면과 남성중심의 영화작업의 시공간에서 ‘여성’이라는 소수자적인 성의 측면, 그리고 재미를 목표로 하는 극영화가 아닌 사실에 기반을 둔 기록영화로서의 ‘다큐멘터리’라는 영화적 특성 등은 이 연구의 관점들을 집약한다. 요점은 첫째, 이 영화들은 외적으로는 개인적 문제와 가족사를 다루고 있지만 결코 사적인 가족의 차원에 머물고 있지 않다. 둘째, ‘재외한인/여성’이라는 감독의 위치를 ‘디아스포라/경계인/소수자’라는 관점에서 보았다. 셋째, 자전적 영화라는 점에서 감독이 영화를 창조하는 일 자체가 여성의 주체 형성 과정이자 정체성의 실천 과정이다. 여성이 ‘나’라고 말하는 것은 글쓰기보다 영화에서 더 어렵다. 영화는 문학의 가부장적이고 남근적이며 개인의 것으로 독점하는 성격을 유산으로 받은데다가 남성적이고 이성애적인 규범적 가설에 의해 구조화된 시청각적 체계까지 덧붙여진 분야이기 때문이다. 감독은 ‘나는 누구인가?’ 하는 문제를 10년 이상 탐구하여 두 편의 영화로 완성했다. 자전적인 영화를 통해서 이방인의 위치에서 주체로 귀환한 것이다. 질문자이자 질서교란자로서 이방인의 등장은 불편하지만 피할 수 없는 과업을 준다. 이 연구는 그들과 어떻게 관계 맺고 그들의 관점과 그들의 질문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에 답하고자 하는 과정이다. This paper has analyzed Zhainich Korean Yang Young-hi’s two documentary films, 〈Dear Pyongyang〉 and 〈Goodbye Pyongyang〉 through the three aspects: Korean compatriots, female and documentary. To be more detailed, it has attempted to examine inter-relations between the socio-political position of Korean compatriots, the meaning of female’s artwork in filmdom dominated by male, and the importance of a documentary film in the deluge of commercial movies. In terms of reflecting her complicated “locations” in the films, “politics of location” is a very important concept in understanding her artistic world. Nevertheless, the main purpose of her artwork is to fulfill a practice of a minority person. As a dynamic driving force, it enables her to criticize current Korean society as well as to offer an alternative vision. Yang Young-hi had followed a long journey to answer the fundamental question, “who am I?”, for more than a decade. The two documentariesare results from her exploration. To produce the documentaries of the female director is a process to discoverher essence constituted by multiple identities. It took more than ten years to get the answer. The films present how she tells us “who she 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