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과 일탈적 생활양식의 매개효과와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

        유지희(Yu, Jee-Hee),엄명용(Um, Myung-Y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학 Vol.74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지능과 일탈적 생활양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봄과 동시에 그 관계 구조모형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 경기지역의 중학교 2 ·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402명의 중학생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AMOS를 활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은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정서지능과 일탈적 생활양식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지능과 일탈적 생활양식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가해행동, 정서지능과 일탈적 생활양식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불링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viant life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adolescents.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s were assessed in this pathway.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udy variables, survey data from 402 adolescents. Date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yberbullying victimization showed direct effect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ird, deviant life styl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Fourth, dual-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viant life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the cyberbullying perpet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showed difference in a few paths of the structural model. Base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preventing cyberbullying perpetration by each gender.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과 양육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지희 ( Yu¸ Jee Hee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3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과 양육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패널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1,169명(청소년 평균연령 16.0세, 어머니 평균연령 46.6세)을 대상으로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경로에서 양육효능감은 두 변수 간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과 양육효능감에 의한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정책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parenting efficacy in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child’s social withdrawal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the 7th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this study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ith 1,169 adolescents.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affected multicultural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Second, parenting efficacy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withdrawal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rd, mother’s Korean proficiency did not mediate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child’s social withdrawal. Forth,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parenting efficacy dual-mediated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child’s social withdrawal. Based on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ntervene in decreasing social withdrawal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아동의 비만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지희(Yu, Jee-Hee),한창근(Han, Chang-Keu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9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비만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중 10차 년도의 가구 및 아동부가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동의 비만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고,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비만은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비만은 위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축은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비만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위축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 비만의 예방과 개입 및 비만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hood obesity on school adjustment and whether the effects were mediated by withdrawal. Using the 2015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this study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withdraw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obesity and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a Sobel test was used to consid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hildhood obes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Second, childhood obesity affected withdrawal positively. Third. withdrawal had a negative impact on school adjustment. Fourth, withdrawal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obesity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ntervene in preventing childhood obesity and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childhood obesity.

      • KCI등재

        청소년의 사이버불링(Cyberbullying) 피해경험 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유지희(Yu, Jee hee),엄명용(Um, Myung Y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1

        청소년들의 사이버불링 피해는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이들의 심리정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 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적응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남녀 성별을 구분하고 그 경로를 다집단 분석하여 각 대상에 따른 개입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남학생 863명, 여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다집단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 정도는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불링 피해경험 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학교 적응이 두 변수 간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불링 피해경험 정도와 학교적응, 우울의 경로는 남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성별에 따라 변인의 영향력이 달리 나타날 수 있음에 주목하여, 청소년 사이버불링 예방과 개입 및 사이버불링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Due to the increasing victimization of cyberbullying by Korean adolescents, their psycho-emotional victimizaion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ap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gree of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adolescents’ depression.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s were assessed in this pathway. Using the 2016 Korean Youth Human Right Status data, this study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ith 863 male and 560 female adolescent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ffected depression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Second, school adapta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Third, a partial mediation was found for female adolescents, but a perfect mediation was found for male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ntervene in preventing cyberbullying victimization depending on gender differences and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cyberbullying victimization.

      • KCI등재

        인쇄자료를 활용한 모바일 학습에서 에이전트의 사실성 수준이 의인화 효과 및 인지부하요인에 미치는 영향

        류지헌 ( Jee Heon Ryu ),유지희 ( Jee Hee Yu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장비에 탑재된 학습용 에이전트의 사실성 수준이 학습자의 의인화 효과 및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82명의 대학생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남학생 25명과 여학생 57명이었다. 에이전트의 이미지는 세 수준(라인드로잉, 일러스트, 실사)으로 구분되었고 제스처의 적용유무에 따른 3×2요인설계를 적용했다. 의인화 효과의 학습개입(engaging)에서 이미지와 제스처에 의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단순주효과 분석에 의하면 에이전트의 이미지가 라인드로잉이고 제스처를 적용하지 않는 것이 학습개입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인지부하에 대한 분석에서는 자기평가요인(self-evaluation)에서 이미지에 의한 주효과가 있었으며, 라인드로잉 조건이 나머지 조건(실사와 일러스트)보다 더 높았다. 또한 자기평가요인은 이미지와 제스처에 의한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realism of pedagogical agent can have impacts on persona effect and cognitive load factors. Eighty-two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the degree of image details and presence of gesture. The degree of image details were picture, illustration, and line-drawing. The 3×2 factorial design was applie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the engaging of agent persona instrument. When the learners were under the condition of line-drawing agent without gesture, they showed the highest score on engaging of the agent persona instrument. Regarding the cognitive load factors, when learners under the condition of line-drawing showed the highest score of self-evaluation.

      • KCI등재

        학습용 에이전트의 제스처와 얼굴표정이 학습이해도 및 의인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류지헌 ( Jee Heon Ryu ),유지희 ( Jee Hee Yu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용 에이전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의인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대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제스처(지시적 제스처 vs. 대화적 제스처)와 얼굴표정(적용유무)에 의해서 구현되었다. 학습용 에이전트에 적용된 제스처는 지시적 제스처와 대화적 제스처였다. 지시적 제스처는 주의집중 유도 가설에 의해서 학습용 에이전트의 제스처가 시각단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는 가설에 근거하고 있다. 대화적 제스처는 사회성 가설에 의한 것으로 학습용 에이전트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얼굴표정은 주로 사회성 가설을 지지하는 설계원리로 보았다. 의인화 효과 측정에서는 학습개입에 대한 상호작용이 유의미했다. 대화적 제스처 조건에서 얼굴표정이 있고 없음에 따라서 학습개입에 대한 의인화 효과가 유의미했다. 대화적 제스처와 얼굴표정이 적용되면 학습개입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두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얼굴표정은 학습개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 제스처와 더불어 얼굴표정과 제스처가 동시에 적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gesture and facial expression on persona effects. Fifty-six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were applied to a pedagogical agent with gesture (conversational vs. deictic) and facial expression. The conversational gesture may have relationship with social interaction hypothesis of pedagogical agent while the deictic gesture may have relationship with attentional guidance hypothesis. The facial expression can be assumed to facilitate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pedagogical agent and learners. Interestingly, the conversational gesture group showed a tendency of outperforming the deictic gesture group. It may imply that the social interaction theory has a strong impact on cognitive support as well as social interaction for learner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the engagement when both of facial expression and conversational gesture were applied. This result has two implications. First, facial expression can facilitate the persona effect for engagement.

      • KCI등재

        스트레스와 기분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프로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김지연 ( Kim Ji Yeon ),유지희 ( Yu Jee Hee ),황숙연 ( Hwang Sook Yeo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1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부정적 기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대처양식이 스트레스와 부정적 기분상태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 조사하였고 총 297명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축구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는 부정적 기분상태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대처와 초연대처는 부정적 기분상태와 부적관계를 나타낸 반면 회피대처는 정적관계가 있었다. 셋째, 정서중심대처와 초연대처는 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상태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서중심대처는 스트레스와 부정적 기분상태의 관계를 증폭시키는 반면 초연대처는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프로축구선수들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tress on negative mood states and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negative mood stat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professional soccer players registered in Korea Football Association and a total of 297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had a strong impact on the negative mood states of the study participants. Second, problem-focused and detached coping styles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negative mood states, while avoidanc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m. Third, emotion-focused coping and detached coping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negative mood states. The former elevated the level of negative mood states, while the latter attenuated them.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경험과 관련요인 : 일반청소년과의 비교

        유지희,황숙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건강행태요인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를 일반청소년의 경우와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2015년 제 11차 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총 68,111명으로 일반청소년은 67,316명, 다문화청소년은 795명이었다. 두 집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일반청소년은 변수의 모든 요인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반면, 다문화청소년은 여학생일수록, 행복감이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흡연을 할수록, 그리고 폭력경험이 많을수록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접근과 개입전략의 초점이 논의되었다. 다문화청소년의 경우에는 여학생 및 흡연경험자에 대한 좀 더 적극적인 우울 스크리닝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추후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compare them with those from general families.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data were derived from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5 in Korea and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0.0 software package. The subject were 68,111 Korean adolescents (general youth 67,316, multi-cultural youth 794).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most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factors had effect on depression among general youth, while only gender, happiness, stress, smoking and school viole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that among multicultural youth.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cus of approach and intervention strategy to address depression among multicultural youth were discussed. More proactive depression screening and program to reduce stress might be needed. Most of all, close monitoring for school violence and follow-up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