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기 악성 Brenner 종양의 치험 1예

        신호문(HM Shin),유중배(JB Yoo),신영우(YW Shin),한영호(YH Han),김문신(MS Kim),김두상(DS Kim),이태형(T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7 No.1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4기 악성 Brenner 종양 1예에 수술 및 화학치료를 가하고 이와 병행하여 second-look Laparotomy로서 debulking하고 third-look laparotomy로서 완치를 확인하였기 보고한다. Malignant Brenner tumor is a relatively rare tumor of the obary. We had experienced a rare case of malignant Brenner tumor, Stage Ⅳ. A Brief review of the litertures and a discussion concerning malignant Brenner tumor are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

        임신과 동반된 전신성 홍반성 낭창 1 예

        김동일(DI Kim),유중배(JB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6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는 임상소견과 검사소견이 임신과 동반된 전신성 홍반성 낭창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following case is one in which pregnancy was complicated by S.L.E . this 27 years old primigravida woman in which amenorrhea 38 weeks, was admitted to our department . In this early pregnancy, she was diagnosed as discoid L.E by skin biopsy at dermatology. She dilivered a severe growth retarded baby. At postpartum 7 days, she was transferred to dept. of I.M. under the impression of lupus nephritis and left pleural effusion. during admission., the patients was treated with diuretics and antihypertensive drugs. After confirm the clinical improvement, she was discharged.

      • KCI등재

        저위험 포상기태와 고위험 포상기태의 임상적 비교 관찰

        정성노(SR Chung),유중배(JB Yoo),김문신(MS Kim),김두상(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2

        1978년 4월부터 1981년 7월까지 한양의대 산부인과학교실에서 포상기태로 치료를 받고 추적 검사에 응하여 완전치유를 확인한 40예를 대상으로 위험인자의 유무에 따라 저위험군 21예 와 고위험군 19예로 분류하여 양군에 대한 임상증후 검사성적 및 치료를 중심으로 비교 관 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연령은 저위험군이 26.8세, 고위험군이 31.4세였다. 2. 평균분만수는 저위험군이 1.0, 고위험군이 2.1이었으며 분만회수는 3회이상의 경우는 고위 험군에서 5배나 많았다. 3. 임신기간은 저위험군이 평균 21.9주, 고위험군이 평균 15.3주였으며 전자는 대부분이 임신 17주이후, 후자는 임신 16주 이전에 진단되었다. 4. 임신연령에 대한 자궁의 크기는 저위험군의 15예(71.4%)가 small for date인 반면 고위험 군의 10(52.6%)가 large for date로 서로 대조를 이루었다. 5. 고위험군에서는 난소낭종이 7예(36.8%) 임신중독증이 4예(21.1%)에서 발생되엇으나 저위 험군에서는 상기 합병증이 발생되지 않았다. 6. 치료전 hCG치는 고위험군의 5예(26.3%)에서 24시간 뇨중 100000IU/l이상이엇다. 7. ABO 혈액형은 저위험군 B형이 11예(52.4%) 고위험군중 A형이 10예(52.3%)로 가장 많았 다. 8. 치료방법은 소파 및 화학요법은 양군 약 50%로 비슷한 빈도이나 고위험군에서는 소파만 으로 끝난 것이 3예(15.8%)로 월등히 적은 반면 자궁적출은 6예(31.6%)에서 시행되었다. 9 치료호 hCG치가 1log, 하락하는데 소요기간은 18일 이상인 경우가 저위험군의 3예(14.3%) 에 비해 고위험군에서는 11예(57.9%)였다. 10. hCG-B의 소실기간은 저위험군은 평균 37.2일 고위험군은 평균 62.9일이었다. 1. The mean ages were 26.8year in the low-risk group and 31.4 in the high-risk group. 2. The mean parities were 1.0 in the low-risk group and 2.1 in the high risk one. 3. The average gestational duration were 21.9 weeks in the low risk group and 15.3 in the high-risk one. the former was diagnosed mostly before 16th week. 4. The uterine sizes were small for date in 15 cases (71.4%) of the low-risk group and large for date in 10 cases (52.6%) of the high-risk one. 5. ovarian cystic enlargement were noted in 7 cases (36.8%) and toxemic signs in 4 cases (21.1%) of the high-risk group, while none of these were found in the low-risk one. 6. In 5 cases (26.3%) of the high-risk group 24 hours urine hCG levels prior to the treatment were above 100,000 IU/ml 7. Of the ABO blood types , B types were the most frequent with 11 cases (52.4%) in the low-risk group and A types the most frequent with 10 cases (52.3%) in the high risk one. 8. In the treatment modalities, while suction curettage only and suction curettage with chemotherapy were performed for all the cases of the low-risk group, suction curettage only nad suction corettage with chemotherapy were done in 13 cases (68.4%) and hysterctomy or/and chemotherapy in 6 cases (31.6%) of the high-risk group. 9. The duration of more than 18 days for hCG titers to fall 1 log. after the intiation of therapy were noted in 3 cases (14.3%) of the low-risk group and in 11 cases (57.6%) of the high-risk one. 10. The average duration of negative conversion of serum beta-hCG were 37.2 days in the low-risk group and 62.6 days in the high-risk one.

      • KCI등재

        자궁경부 거대근종 및 만기임신 합병 1 예

        박성철(SC Park),정진숙(JS Jung),유중배(JB Yoo),황윤영(YY Hw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3

        저자들은 1986년 12월5일 본원 산부인과에서 거대자궁경근종을 동반한 만삭임신의 제왕절개 분만과 전 자궁절재술을 시행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case of huge cervical myoma associated with full term pregnancy in 30 year old multigravida wa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n literatures

      • KCI등재

        초음파검사에 의한 정상임부의 자궁경부 측정

        박성철(SC Park),이경구(KK Lee),유중배(JB Yoo),조삼현(SH Cho),김경태(KT Kim),황윤영(YY Hwang),김두상(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

        저자는 정상임부의 자궁경부 길이 및 내경구 개대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987년 3월1일부 터 1987년 8월 31일까지 정상임부 162명과 대조군으로 비임신 여성 68명을 대상으로 비교분 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가임 연령의 비임신 여성에서 평균 자궁경부 길이는 2.8+-0.6cm이었으며 연령별 평균치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p>0.05), 임부에서의 평균 자궁경부 길이 3.6+-0.9cm 에 비교하여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68) 2. 자궁경부 길이는 초임부에서 1.8-5.9cm이었고 그평균은 3.5+-0.9cm이었으며 경산부에서 는 2.0-5.9cm이엇고 그 평균은 3.8+-0.8cm이었다. 임신 전 기간(5주-41주)에서 초임부와 경산 부 간의 자궁경부 길이의 비교는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임신주수 에 따른 자궁경부 길이의 변화도 초임부와 경산부 각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 3. 자궁경부 내경구 개대는 초임부에서 0-1.2 cm이었고 그평균은 0.10+-0.0cm이었으며 경산 부에서 0.-1.4cm이었고, 그 평균은 0.02+-0.05cm이었다. 임신 제 5주-36주에서 초임부와 경산부 간의 자궁경부 내경구 개대의 비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임신 37주-41주에서 초임부보다 경산부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또한 임신주수에 따른 자궁경부 내경구 개대의 변화도 초임부와 경산부 각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ultrasonographic measurements of the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in normal pregnancy can provide an objective assessment of anatomical shortening associated with premature labor and delivery. One hundred sixty-two uncomplicated pregnant women underwent serial ultrasonographic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mesurements by gestational age at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unecology, School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st, 1987 to August 31st 1987. In this group , 97 were nulliparas and the remainders (n=65) were multiparas. As a control group , sixty-eight normal non-pregnant women (20-40years old) were also studied by the same method. The mean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were compared between nulliparas and multiparas, and between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mograms of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by gestational age were illustrated. 2. The mean cervical length of nulliparas were similar to those of multiparas from 5 to 41 weeks of gestation (3.5+-0.9 cm vs 3.8+-0.8cm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f cervical length between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3.6+-0.9cm vs 2.8+-0.6 cm p>0.05). 3. the mean cervical dilatation of nulliparas were similar to those of multiparas from 5 to 36 weeks of gestation (0.10+-0.0cm vs 0.20+-0.5 cm p>0.05).

      • KCI등재

        독성 쇼크증후군 1 례

        박문일(MI Park),황정혜(JH Hwang),유중배(JB Yoo),김두상(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4

        최근 저자들은 월경중인 여성에서 탐폰을 사용한 후 급성 쇼크증후군이 발생하여 사망한 1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oxic shock syndrome is an acute-onset multisystem illness . The illness is associated with infection or colonization by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which express toxic shock syndrome toxin 1 and is extermly rare in Korea. A case of toxic shock syndrome after using tampons in a 23 year old woman is presented and reviewed briefly.

      • KCI등재

        척추후만곡증에 동반된 임신의 임상적 고찰

        김승룡(SR Kim),이경구(KK Lee),유중배(JB Yoo),김경태(KT Kim),문형(H Moon),김두상(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1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는 1977년 1월부터 1988년 12월사이 본원에 입원하 여 분만한 척추만곡증을 동반한 임신 10예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동기간중 분만건수는 21790예로 척추만곡증과 동반된 임신의 빈도는 1/2179이었다. 2. 산모의 평균연령운 28.5세, 평균신장은 140.5cm, 체중은 42.3kg이엇으며 초산부 9예, 경산 부 1예였다 3. 척추후만곡증의 부위는 흉추 7예, 흉요추부 2예, 요추 1예였고 원인은 외상 4예, 소아마비 1예, 나머지 5예는 병력상 원인을 알수 없었다. 4. 분만전에 심폐부전을 보인예는 2예로 모두 임신 35주경부터 소견이 있었고, 다른 2예에서 는 임신성고혈압을 동반하였다. 5. 분만시의 임신주수는 평균 39.3주였으며 1예에서는 심부전증으로 인하여 37주에 조산을 하였다. 6. 10예모두 제왕절개술로 분만하였으며 이중 2예에서 고전적제왕절개술을 시행하였다. 7. 출생아의 평균체중은 2730gm이었고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은 5예에서 있었다. 8. 분만후 심폐부전이 새로이 발생한 예는 없엇으나 1예는 분만전 발생한 심부전이 회복되 지 않아 8개월후에 사망하였고, 다른 1예는 분만후 2일까지 빈호흡의 증상을 보였으나 호흡 하였다. From January 1977 to December, 1988, 10 cases of pregnancy associated with kyphoscoliosis were experinced at Hanyang Univircity Hospital an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sed. During this period , the frequency of pregnancy associated with kyphoscoliosis was 1 to 2179 delivery. Mean height and weight of mother were 140.5cm and 42.3kg respectively. Affectived sites of spine were thoracic in 8 thoracolumbar in 2 and lumbar in 1, the causes of kyphoscoliosis wer trauma in 4, poliomyelitis in 1, and unknown in 5. The mean duration of disease was 24.4year . Cardiopulmonary decompensation symptoms developed in two patients at neat term and were managed conservatively to delivery. All the patients were delivery by cesarean section between 38 and 41 weeks . The mean birth weight was 2730 gm. Five of 10 babies showe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 Nine patients showed uneventful postoperative course, but one patients who had shown antepartal decompensatory symptom died of cardiac failure 8 months later

      • KCI등재

        35 세 이하에서 발생된 자궁경부암조직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16 형 및 18 형에 의한 종양억제 유전인자 p53 의 동태변화

        신정환(JH Shin),조삼현(SH Cho),황윤영(YY Hwang),조수현(SH Cho),유중배(JB Yoo),문형(H Moon),이재억(JA Lee),조율희(YH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3

        소의 약년층(35세이하)에 발생된자궁경부암 환자들의 치료 및 예후에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관계되는지, 관계된다면 항암인자로 악성종양 연구의 최근 목표가 되고있는 p53의 동태와 어떠한 연관이 되어 있는지를 구명하고자 35세 이하의 자궁경부암 환자 20예를 연구군으로, 45세 이상의 환자 10예를 대조군으로 하여 인유두종 바이러스 16형 및 18형의 발현도를 Southern 핵산 교접법과 type specific primers와 L1 consensus primer를 이용한 2 step nested protocol의 핵산 증폭방법으로 구하였으며 p53 종양 억제 유전자의 exon별 핵산증폭과 single 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에 이은 직접 분자배열법으로 p53의 돌연변이 유무를 검증하여 임상상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5세 이하에서 발생한 자궁경부암 20예의 임상 병기는 대조군보다 조기이나 임파절 전이빈도는 7예(35%)로 대조군의 3예(30%)보다 상회하였으며 사망예는 20예중 3예로 3년 생존율이 85%이었다. 2. 35세 이하에서 발생한 자궁경부암 20예중 인유두종 발현빈도는 16예(80%)로 16형이 14예(87.5%), 18형이 2예(12.5%)이었으며 45세 이상군에서는 10예 중 9예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유형은 공히 16형이었다. 3. 연구군 20예중 1예에서 P53유전자의 codon 189의 2변째 base에 위치한 C가 T로 전환된 transition의 돌연변이가 관찰되었을뿐 19예에서는 정상이었고 대조군 10예중 1예에서 변이가 관찰되었는데 intron 5와 exon 6의 경계부위의 splicing mutation으로 51 bases가 소실되었음이 밝혀졌다. 이들의 인유두종 감염형은 공히 16형 이었다. 4. p53돌연변이가 관찰된 2예의 임상특성은 병기가 IVa, IIa로 모두 골반임파절에 전이가 관찰되어 부수적 치료를 추가하였으나 각기 1년만에 재발하여 연구군(IIa)은 사먕하였으나 대조군의 경우는 지금까지 40개월간 건강하게 생존하고 있다. 따라서 약년층에 발생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따른 항암인자 p53의 동태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자궁경부암 세포중 p53 wild type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어떤 특수 물질이 분비되어서인지, 유식세포분석 방법에 의한 세포분열기의 상태연구는 계속되어야 하며 아울러 방향을 전환하여 retinoblastoma와의 관계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human papillomavirus to the modulation of p53 in younger ptients with the uterine carvical carcinoma, comparative analysis was undertaken with the clinical variants. The prevalence and types of human papillomavirus was obtained by means of 2 steps polymerase chain reactions with the primers of HPV L1 consensus, type 16 and 18 E6specific primers and confirmed by southern blot hybridization. The status of p53 was evaluated with the 2 steps nested ploymerase chain reation-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direct sequencing with the primers of p53 exon 4,5-6,7,8-9, and their nested primers of exon 4,5,6,7,8 and 9 from the biopsy specimens of the 20 patients less than 36 years lod(study group) and 10 patients over 45 years old(control group). The incidence of lymph node metastases in the stud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35% in study group vs. 30% in control group) in spite of less advanced FIGO stage and 85% in 3-year survival in the study group. The prevalence rate and types of human papillomavirus were 16/20(80%), 14/16(87.5%) with type 16, 2 with type 18 in the former, and 9/10, type 16 only in the latter. There was one missense mutation in the younger patient group and one splicing mutation in the older patient group B ; the missense mutation revealed a transition from C to T of the 2nd base in the codon 189 of exon 4, and splicing mutation was found to delete 51 bases at the junction between intron 5 and 6. The clinical end results of the two cases with mutation of p53 were all recurrence within a year following the combined modalities with the induction chemotherapy and subseqint radical hysterectomy and paraaortic,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These suggest that the HPV could not modulate tumor suppressor gene p53 universally in patient with cervical carcinoma with no relation to the age factor. However, the sequential research whether the products in cancer cell to induce stabilization of p53 is present or not, and the flow cytometric analysis for

      • KCI등재

        태아기형을 동반한 임신의 제대동맥 Doppler 파형에 관한 연구

        황윤영,유중배,노재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4

        저자들은 1992년 8월부터 1994년 5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외래에 내원하였거나 입원했던 무월경 15주에서 43주 사이에 초음파검사상 태아기형이 의심된 임산부 가운데 분만 후 태아기형이 확인된 30예를 대상으로 실시한 제대동맥의 Doppler 파형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군의 연령분포는 23세에서 37세로 평균연령 28세이었고 진단시 평균 임신주령은 28.7주 이었다. 2. 대상군 30예의 기형분포는 뇌신경결손 7예, 신뇨관게기형 5예, 심장질환 5예, 태아수종 5예와 기타 복벽결손 및 골형성 부전 등이 8예 이었다. 3. 제대동맥의 PI및 RI는 정상대조군과 기형아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태아발육지연이 동반된 기형의 경우도 정상범주에 속하였다. 4. 분만 후 첫 24시간을 기준으로 분류한 생존아와 사망아의 경우도 정상범주의 Doppler 값에 속하였다. 5. 태아수종 5예중 3예가 비정상 PI 및 RI를 보여주었다. Doppler ultrasound affords a non-invasive method of studying both aspects of the placental circulation. So, umbilical arterial blood flow velocity has been examined as a noninvasive, reliable for identification of fet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oppler velocity waveforms of umbilical artery between normal and anomalous fetuses. We performed transabdominal pulsed Doppler ultrasound and determined the pulsatility and resistance index from the umbilical artery in 30 women in pregnancy associated with major fetal anomaly from 15 to 43 weeks and 352 women in normal pregnancy without complic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eight of these 30 patients, the infants had birthweight less than 10th cent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lsatility and resistance index between normal and abnormal pregnancies, although 3 fetal hydrops had higher values. I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not differentiate normla from adnomalous fetuses. But, Doppler ultrasound of umbilical artery may adjunct as a diagnostic tool of fetal hydrops.

      • KCI등재

        자궁근층내로 감입된 대망 1 례

        문형,유중배,나도수,김진조,박영준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6

        인공유산에 의해 발생한 자궁천공과 그에 따른 대망의 자궁근층내로의 감입된 예는 저자들이 고찰한 문헌상 본 증례가 처음으로 사료되어 본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case of described where omentum impacted and fenestrated through the anteior uterine wall after induced abortion at the private clinic. The patient had been aborted six times in the past, involving the two recently. And it is postulated that the uterus had been perforated on one of these occasions. We experienced one case of omental impaction in the uterine myometrium after induced abortion and so we present i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