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물 편경의 음향 분석을 통한 아악 황종음고의 추정

        유준희,박정우,배대성,김형준,성굉모,노정욱,고현우,Yoo, June-Hee,Park, Jeong-Woo,Bae, Dae-Sung,Kim, Hyung-Jun,Sung, Keong-Mo,Noh, Jung-Uk,Koh, Hyun-Woo 한국음향학회 2011 韓國音響學會誌 Vol.30 No.8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여러 기관에 분산 소장 중인 편경 유물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음향을 측정 분석하여 황종음고의 기본 진동수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국악원, 국립국악고등학교에 소장 중인 241매 유물 경석의 간지별, 율명별 분포를 파악하였다. 보다 타당한 대푯값을 찾기 위하여 17매의 유물 황종 경석에서 측정한 기본 진동수를 군집 분석하였으며, 간지별로 경석을 분류하여 삼분손익법으로 황종음고를 역추정하였다. 경석의 간지와 기록이 일치하는 계축년 간지의 경석 22개로 추정한 황종음고의 기본진동수는 266.9 Hz, 정유년 경석과 갑자년 경석으로 추정한 값은 262.4~262.5 Hz, 20세기에 해당하는 간지인 갑진년, 소화 12년, 소화 13년 경석으로 추정한 값은 258.7~259.3 Hz 등 시대에 따라 변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유물에 대한 접근이 어려웠던 시대에 일부 유물로 황종음고를 추정한 것에 대해서 본 연구는 경석 유물 전수에 대한 음향 분석을 바탕으로 황종음고를 추정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numbers and note distributions and sexagenary cycles of old pyeongyoungs systematically, and estimate the nominal frequency of whangjongeum, the Korean tradition pitch standard. As a total 214 old stone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the National Kukak Center, the Kukak National High School were counted by notes and sexagenaries. The nominal frequencies of 17 old whangjong stones' sounds were categorized by cluster analysis method. Using nominal frequencies of stones according to their sexagenaries and Korean traditional intonation were used to estimate the nominal frequencies of the whangjong. The nominal frequency can be estimated by 22 Keychuk stones as 266.9 Hz, by Cheongyu and Gabja stones as 262.4~262.5 Hz, and by Gabjin, Sowha 12 and Sowha 13 as Estimating by 22 Kyechuk stones which were matched with the records. These results seem to be more reliable, because it is based on the whol samples of old pyeongyoungs, while the former studies have been based on couples of whangjong stones' sounds.

      • SIFT 특성 분포를 이용한 비디오 스트림의 장소 변화 예측

        유준희(Jun Hee Yoo),석호식(Ho-Sik Seok),장병탁(Byoung-Tak Zhang)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1C

        비디오 데이터의 지능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사전에 작성한 메타데이터에 제한 받지 않는 유연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적절한 특징을 추출한 후 비디오를 처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미지 인식이 잘 될 경우 일정한 이미지 조합으로 비디오의 배경을 설명할 수 있지만, 이미지 인식이 어렵기 때문에 동일한 배경일지라도 등장인물의 움직임, 촬영 각도의 변화 등 사소한 변화가 발생하면 컴퓨터는 다른 이미지인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우리가 제안하는 방법은 비디오를 구성하는 이미지 프레임에서 추출한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특성의 분포를 엔트로피에 기반하여 재구성한 후 분포 변화를 통해 장소 변화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제안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의 이미지를 특징 짓는 비주얼 워드의 분포를 활용하기 때문에 사소한 변화 정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동시에 배경의 확연한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우리는 실제 TV 드라마 데이터에 적용하여 제안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진화 파티클필터를 이용한 비디오 세그먼트 전환점 추정

        유준희(Jun Hee Yoo),장병탁(Byoung Tak Zhang)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9 No.1

        비디오 데이터는 장르나 등장인물, 배경 등이 서로 다른 데이터가 대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배경에 대한 사전지식(배경지식)으로 분석한다는 것은 실효성이 적다. 따라서 이러한 사전지식을 사용하지 않은 분석 방법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진화 파티클 필터링 기법과 우점 이미지를 이용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분절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비디오 스트림을 나누는데 있어 어려운 점은 영상의 시점이나 등장인물 등의 움직임, 혹은 영상의 조명이 변화함에 따라 컴퓨터 관점에서는 세그먼트를 분절해야 하는 지점으로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비디오 샷 이미지의 일부를 표현하는 파티클의 군집을 생성하여 협력적인 방식으로 개별 비디오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인물들의 움직임과 같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고 그 결과를 실제 TV 드라마에 대해 실험 참가자들이 나눈 결과와 비교하여 제안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Video dat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accessible real-world data of a large scale. Since, there are a variety of videos having different genres, characters and backgrounds, so analyzing videos with unified prior knowledge become impractical and the analyzing methods without any prior knowledge are getting more important relative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you a video stream segmentation method using an evolutionary particle filter and dominant images. A difficulty in segmenting video streams lies in the ambiguity of change points which have different viewpoints, moving characters or changing illumina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generate particle sets which represent a part of a video shot image to describe each segment of video cooperatively. We design a new matching method based on SIFT witch is robust minor changes such as character moving. To show its improvement, we compare the result of proposed method and the manually-tagged results on TV drama.

      • Ada Package의 미참조 개체 식별에 관한 연구

        유준희(Yoo Jun Hee),윤창섭(Yoon Chang Sup) 한국정보과학회 199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2

        Ada 언어를 이용한 개발 환경에서 기존의 패키지(package)를 재사용할 경우 새로 개발되는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개체(entities)들 중 일부만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되지 않는 개체들은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재사용의 대상이 되는 패키지와 대상 패키지에 개체의 제공을 요청하는 프로그램 단위들의 원시코드를 입력 자료로 개체 간의 종속관계와 개체와 프로그램 단위 간의 종속관계를 분석하여 패키지 내에 존재하는 개체들 중 사용되지 않은 개체들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자동화한 모형을 구현하였다.

      • KCI등재

        드라마 배경 변환 탐지를 위한 베이지안 필터링 방법

        유준희(Jun Hee Yoo),석호식(Ho-Sik Seok),장병탁(Byoung-Tak Zhang)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8 No.4

        이미지 인식 기법과 컴퓨팅 능력의 발달과 함께 비디오 동영상 처리를 위해 다양한 기법들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 기법들은 특정 이미지의 반복과 같은 처리 데이터에 특화된 사전 지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현재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비구조 데이터 처리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데이터의 구조 및 분포에 대한가정에 오류가 있으면 데이터를 정확하게 근사하지 못하게 되어 정확한 모델을 추정할 수 없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데이터에 대한 사전지식을 최소한만 활용하고 실제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기저 분포를 추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제안 방법은 파티클 필터링(particle filtering)에 기반한 것으로 많은 수의 파티클 및 파티클과 연관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관찰된 데이터를 설명할 수 있는 은닉 변수(latent variable) 모델을 설정한 후 은닉 변수가 이미지를 생성할 가능성을 감안하여 이미지 변화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파티클 필터링을 이용하여 데이터 분포를 추정할 경우 데이터 분포 형태를 가정하지 않고도 분포 추정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변화가 발생하는 데이터 처리에 매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드라마 동영상의 배경 이미지 변화 추정에 제안 방법을 적용하였다. 제안 방법을 이용하여 동일 동영상 배경 구간을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구성한 후 모델에 기반하여 새로 관찰된 장면(Scene)이 새로운 배경을 갖고 있을 가능성을 계산하였으며, 제안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모델이 예측한 배경 변환 지점과 인간 실험자의 배경 변환 판단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With the advancement of image recognition techniques and computing power, video analysis has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However, previous approaches have limitations for practical analysis of various unstructured video streams because they focus on very restricted features such as repeating frames. In addition, the previous studies do not ensure a proper model with the faulty assumption on the distribution and data organization. In order to alleviate these difficulties, we introduce a particle filtering-based estimation method requiring minimum prior knowledge and assumptions. The proposed method constructs a latent variable model based on a set of particles and their associated weights. This latent variable model is used to compute the likelihood of a newly observed data given the model. This method is especially effective for domains with irregular changes due to particle filtering's flexibility. We apply the proposed method to background segmenting of TV drama episodes. Each background segment is represented by a set of particles. If the likelihood of a newly observed data given the current segment model is low, then a new model is estimated. We validate the performance by comparing its estimation results with those of human estimation.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 과학탐구활동 수행평가 시 총체적 채점에서 나타나는 채점자간 불일치 유형 분석

        김형준 ( Hyung Jun Kim ),유준희 ( June Hee Yo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raters` errors in rating performance assessments of science inquiry. For this, 60 middle school students performed scientific inquiry about sound propagation and 4 trained raters rated their activity sheets. Variance components estimation for the result of the generalizability analysis for the person, task, rater design, the variance components for rater, rater by person and rater by task are about 25%. Among 4 raters, 2 raters` severity is higher than the other two raters and their severities were stabilized. Four raters` rating agreed with each other in 51 cases among the 240 cases. Through the raters` conferences, the rater error types for 189 disagreed cases were identified as one of three types; different salience, severity, and overlooking. The error type 1, different salience, showed 38% of the disagreed cases. Salient task and salient assessment components are different among the raters. The error type 2, severity, showed 25% and the error type 3, overlooking showed 31%. The error type 2 seemed to have happened when the students responses were on the borders of two levels. Error type 3 seemed to have happened when raters overlooked some important part of students` responses because she or he immersed her or himself in one`s own salience. To reduce the above rater errors, raters` conference in salience of task and assesment components are needed before performing the holistic scoring of complex tasks. Also raters need to recognize her/his severity and efforts to keep one`s own severity. Multiple raters are needed to prevent the errors from being overlooked. The further studies in raters` tendencies and sources of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rubric are suggested.

      • KCI등재

        국립과천과학관의 테슬라코일 전시물 설명판에 대한관람객의 주목도 분석

        이일 ( Il Lee ),유준희 ( Jun Hee Yoo ),정광훈 ( Kwang Hoon Chu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factors which influence visitors` attention on exhibition panels by analyzing visitors` attention according to topic types and visitor group typ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exhibition panels of a Tesla Coil exhibition in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The exhibition panels` topic are basic concepts, explanations of phenomena, operating principles, applications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se topics are selected through a survey of visitors` intellectual needs for a Tesla Coil. Five new exhibition panels according to the topics are developed and visitor groups` behaviors in front of the panels are recoded in natural situations. The total participant groups are 586 groups, which includes individual student (30.0%), individual adult (20.6%), student group (28.2%), adult group(2.4%), and family group (18.8%). Visitors` attention to exhibition panels is sub-categorized into attracting power and holding power. Attracting power is defined by the percentile of group numbers who attend to an exhibition panel more than 3 seconds to the total group numbers who attend to an exhibition panel for more than a glance. Holding power is defined by average attention time and decay time. The attracting powers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application panels are 72.3% and 68.8% respectively, while that of the basic concept panel is 47%. Average attention times of explanation of phenomena and operating principle are 37.0 and 34.2 seconds, while those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application panels are 25.4 seconds. The decay times of each panel shows the same patterns of average attention times. Attracting powers of panels easy to approach and holding powers of panels with in-depth scientific concepts seems to be high. Attracting powers of the individual adult, family, and student group are 66.9%, 66.4% and 62.4% respectively, while the attracting power of the adult group and individual student are 57.1%, and 55.7%. Average attention times of the student group, family, adult groups are 34.0, 33.0, 31.6 seconds respectively, while that of individual student is 19.5 seconds. The decay times of each group shows the same patterns of average attention times. Both of attracting powers and average attention times of the student group and family group are high, while both of individual student are low. Tentatively, attracting powers of exhibition panels seems to be influenced more by topic types of panels, and holding power seems to be influenced more by group type. But these results are very limited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