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자의 질병 체험 내러티브가 조현병에 대한 지식,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안영미 ( Ahn Youngmi ),유영미 ( Ryu Young Mi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8 정신간호학회지 Vol.27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a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class to improve knowledge about schizophrenia,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after using an illness narrative of a patient with schizophrenia. Methods: This study was i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a pretest-posttest design. Of the 88 nursing students, the 34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5 hours of lectures on schizophrenia plus 2 hours of learning using a patient's illness narrative. The control group (n=54) received only the 5 hours of lectures on schizophrenia. During September, 2017, an online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Mann-Whitney U tests with SPSS Statistics version 22.0.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for knowledge on schizophrenia or for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However, learn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Z=-2.18, p=.029).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patient illness narratives could be a useful tool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Therefore, using patient illness narratives in nursing classes is recommended.

      • KCI등재

        유아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의 친밀감이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이주연(Juyun Lee),유영미(Youngmi Ryu) 한국보육지원학회 202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7 No.1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child intimacy perceived by childrenand peer accepta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4 five-year-old children(71 boys, 63 girls)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nam province. Children were interviewed to measure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acceptanc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Data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ree 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a Sobel test.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of teacher-child intimacy,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acceptance. Seco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acceptanc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s links between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In orderto promote children’s peer acceptance,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timat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o improv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basedon that relationship.

      • KCI등재

        영유아 교육·보육 예산정책의 분석 - 제도주의적 해석 -

        하연섭 ( Yeonseob Ha ),유영미 ( Youngmi Ryu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신제도주의 시각, 특히 역사적 제도주의와 재정제도주의 시각에서 우리나라 영유아 교육·보육예산의 변동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영유아 교육·보육 예산의 변동은 이전 시기 마련된 정책유산이 경로의존의 기본 틀로 작용하면서 지속적으로 다음 시기 예산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형태라고 주장한다. 나아가 이 글은 우리나라 영유아 교육·보육 예산의 변동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책유산과 경로의존에 더하여 재정적 제약과 정책결정 및 집행을 둘러싼 제도적 제약에 주목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함께 복지 프로그램의 확대를 통한 정치적 이득 추구, 특히 이른바 ‘칭찬획득의 정치’로 말미암아 재정적 고려 없이 조급한 정치적 결정이 내려 졌고, 이러한 정치적 결정이 정책유산, 제도적 제약 및 재정제약과 결합해서 예산이 급속도로 팽창하지만 분절화되고 질 낮은 영유아 교육·보육 서비스가 지속되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budget policy based on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t and fiscal institutionalist perspectives. Basically,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olicy legacy of the earlier period has shaped the evolving pattern of ECEC budget policy in recent years. Hence, the ECEC budget policy shows a typical path dependency. Furthermore, this article argues that one needs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fiscal and institutionalist constraints on the ECEC budget policy in addition to policy legacy and path dependency. Also, the politics of credit claiming resulted in a hasty decision and the political elites neglected the budgetary consequences of their decisions. As a result, the fragmented and low quality of ECEC services persists despite the rapid expansion of ECEC budget in recent years.

      • KCI등재

        2세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이예진(Ye Jin Lee),유영미(Youngmi Ryu) 한국생애학회 2024 생애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과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의 관계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및 강원 소재 어린이집의 2세 학급 영아 1,173명(남아 552명, 여아 621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312명이었다. 교사평정 질문지로 수집된 자료는 기초분석으로 기술통계 및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고,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정서코칭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을 기반으로, 보육 일과에서 교사가 영아와 긍정적이고 질 높은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infant interac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otional coaching for negative emotions and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of two-year-old infants. This study’s participants were 1,173 infants (552 boys, 621 girls) attending two-year-old daycare center classes and 312 of their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 Teachers completed questions on rating scal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a Sobel t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infant interact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otional coaching on two-year-old infants’ negative emotions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This study’s results suggest that positive and high-quality teacher-infant interactions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the teacher's emotional coaching on infants’ negative emotions to promote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 KCI등재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유방암 생존자들의 자기효능감, 우울 및 외상 후 성장의 변화

        이명선(Myungsun Yi),차지은(Jieun Cha),유영미(Youngmi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는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유방암 생존자들의 자기효능감,우울,및 외상 후 성장의 장기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본 예비연구는 종단적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참여자는 유방암예방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유방함 생존자 14명이었다. 자료는 2013년 2월부터 8월까지 수집되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방암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우울, 및 외상 후 성장을 교육 전(T0),교육 후 1개월(T1), 교육 후 3개월(T2), 교육 후 6개월(T3)에 각각 측정하였다. 효과분석을 위해 일반화 추정 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 점수는 T0과 비교했을 때 T1(χ²=5.56,p=.018), T3(χ²=4.56,p=.033)시점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6개월 동안 우울은 일반인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큰 변화가 없었고 외상 후 성장은 비교적 높은 점수가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 생존자들의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안녕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방암 생존자의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은 일반인 뿐 아니라 참여한 유방암 경험자들에게도 유용한 교육프로그램임을 보여주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ong-term effects of breast cancer prevention volunteering 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survivors with breast cancer. Methods: This pilot study utilized a longitudinal design. Participants were 14 women with breast cancer who participated in the breast cancer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February and August in 2013.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self-efficacy for self-management of breast cancer,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t pre-education(T0), 1 month(T1), 3 months(T2), and 6 months(T3) post-education.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effects. Results: The scores of self-efficacy increased significantly at T1(χ²=5.56,p=.018) and T3(χ²=4.56, p=.033) compared with T0.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growth remained stable with fairly good levels through out the 6-month perio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reast cancer prevention volunteering in survivors with breast cancer can be effective for enhancing their self-efficacy and maintaining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the study showed that such volunteering activity could be a useful program not only for the general public but also for breast cancer surviv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