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추간원판 절제술후 발생한 동-정맥루 수술치험 1

        유시원,최형호,장정수,Yu, Si-Won,Choe, Hyeong-Ho,Jang, Jeong-Su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17 No.2

        A vascular complication caused by lumbar disc surgery is not infrequent till recently after the report by Linton and White in 1945. Thereafter, many reports about the accidental injuries to the great vessels anterior to the lumbar area had been reported. In June, 1982, we experienced one case of arteriovenous fistula between right common lilac artery and inferior vena cava which was corrected surgically. The arteriovenous fistula caused by lumbar disc surgery and it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presented.

      • SCOPUSKCI등재

        성인에 발생한 Bochdalek 허니아 2례 보

        유시원,최형호,장정수,Yu, Si-Won,Choe, Hyeong-Ho,Jang, Jeong-Su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17 No.4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through of Bochdalek foramen, posterolateral diaphragmatic hernia, is the result of a congenital malformation of the posterolateral region of the diaphragm. Bochdalek hernia is not a rare anomaly and is the most common type of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The defect is more frequently on left [about 5 time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present the Authors recent experience with two cases of the congenital posterolateral diaphragmatic hernia adult women which was treated surgically in the Dept, Thoracic Surgery, Chosun University Hospital.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both of them were discharged without any other complications. Our study and surgical experience was discussed and the literature reviewed.

      • KCI등재

        폴리에틸렌 왁스와 무수 말레인산의 그라프팅 중합 반응에서 용매가 미치는 영향

        유시원,최중소,나재식,Yu, Si-Won,Choi, Joong-So,Na, Jae-Sik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4 資源 리싸이클링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제조공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대상으로 무수말레인산을 그라프트 반응 시킬 때, 반응 용매가 가지는 성질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측정결과, 자일렌이 톨루엔보다 우수한 모노머 용해성, 팽윤성, 혼화성을 가지며, 그라프트 반응을 더욱 촉진함을 알 수 있었고, 반응 용매의 함량에 따라서는 0 ~ 200% v/w영역에서 200% v/w 조건이 최대의 그라프트 율을 보이고, 그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경우에는 그라프트 율이 다시 감소하다가 일정해짐을 확인하였다. 가교도 함량 값은 용매 존재 하에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며, 용매가 용매분자로 사슬이동반응 시켜 가교반응을 방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40^{\circ}C$에서 측정된 용융 점도 값은 폴리에틸렌 왁스에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된 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nature of solvent on the grafting reaction of maleic anhydride onto polyethylene wax obtained as a by-product in a high density polyethylene plant. The results show that the grafting ratio in xylene as a solvent was higher than toluene. This is because xylene has excellent monomer solubility, swelling property and miscibility. It has been also observed that grafting degree shows an initial jump in percentage of grafting with increasing amount of solvent, from 0% v/w to 200% v/w giving maximum grafting in 200% v/w and then slightly decreases on further increase in the amount of solvent and becomes almost constant. It can be also seen that gel content was not formed under the use of solvent. It means that solvent prevented cross-linking reaction due to chain transfer reactions to solvent molecules. Studies of melt viscosity at $140^{\circ}C$ showed that viscosity increased after grafting of maleic anhydride onto polyethylene wax.

      • KCI등재

        무수말레인산으로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왁스의 중합과 가수분해에 대한 연구

        유시원(Si-Won Yu),최중소(Joong-So Choi),나재식(Jae-Sik Na) 한국청정기술학회 2013 청정기술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제조 공정에서의 부산물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대상으로 무수말레인산(MAH)을 도입하여 솔루션 그라프트 반응을 수행 하였고, 반응 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반응 인자들과 MAH 기능기의 가수분해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측정 결과, MAH 단량체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그라프트 율은 증가하지만, 전환율은 감소하여 MAH 단량체의 농도가 15 wt% 정도에서 최대 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DCP (dicumyl peroxide)와 DTBP (di-tert-butyl peroxide)를 개시제로 사용하여 농도에 따라 그라프트 반응한 결과, 약 0.5 wt%에서 그라프트 율이 최대값에 도달함을 볼 수 있었고, 가교반응은 2% 이하의 낮은 수치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반응온도에 따른 그라프트 율은 반응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최대 반응시간은 2 h 내외가 됨을 알 수 있었다. 폴리에틸렌 왁스에 그라프트 된 MAH 기능기는 주로 고리열린 상태로 존재하지만 그라프트 율이 5%이상에서는 고리가 닫힌 상태가 생성되었고, 이에 대한 가수분해 측정결과,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기가 카르복실(carboxylic acid)기로 전환되는 율이 약 10% 정도로 측정되어,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PEW)-g-MAH 물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여겨졌다. In this study, Polyethylene wax, which was produced in manufacturing process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was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MAH). The influences of reaction parameters on the graft polymerization as well as the effect of hydrolysis of the anhydride function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grafting degree increased and conversion of maleic anhydrid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MAH monomer content. This means the highest grafting efficiency for the reaction can be met when MAH monomer content is about 15 wt%. DCP (dicumyl peroxide) and DTBP (di-tert-butyl peroxide) have been used as the initiator and the highest yield of grafting was obtained when the initiator content is about 0.5 wt%.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gel content values of this polyethylene wax grafted MAH were below 2%.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grafting degre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maximum value was reached 2 hours later. Although MAH functions grafted onto polyethylene wax were mainly in the carboxylic acid forms, some anhydride form of MAH appeared in over 5% of grafting degree. As a result of hydrolysis reac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conversion of anhydride group into carboxylic acid group was reached up to 10%.

      • KCI등재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가교고분자 재활용기술

        구종민 ( Chong Min Koo ),유시원 ( Si Won Yu ),백범기 ( Bum Ki Baek ),조항규 ( Hang Kyu Cho ),이윤우 ( Youn Woo Lee ),홍순만 ( Soon Man Hong ) 한국고무학회 2012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47 No.2

        열경화성 고분자들은 불융/불용 특성으로 인하여 현재 개발된 재활용 기술의 부재로 대부분 매립 또는 소각처리 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환경요염 문제 및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가교고분자의 재활용 기술이 크게 주목 받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초임계 공정에 의한 가교고분자 재활용 방법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Industrial wastes of crosslinked polymers have been burned or disposed of in landfills because there is no recycling technology due to their insoluble and infusible network chain structure. However, recycling of cross-linked polymers has been taken a growing attention because of issu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f resources conservation. In this paper, uprising recycling technologies of crosslinked polymers using supercritical fluid are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