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Phonological Status of Russian v reconsidered

        유승 한국러시아문학회 2004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15 No.-

        러시아어 v는 러시아어의 대표적인 음운 현상 중의 하나인 유성동화의 대상이 될 경우에는 다른 장애음들과 같이 유성 동화의 영향을 받는 반면, 유성 동화를 촉발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공명음들과 같이 유성 동화를 촉발하지 않는 특이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러시아어 v의 음운론적 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고찰하고, 그 장점들과 단점들을 적시한 후, 러시아어의 v는 전통적인 러시아 문법에서 주장되어 온 바와 같이 러시아 음운 체계 내에 순치마찰음으로 정의되어야 함을 보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어질 수 있다. 첫째, 전통적인 러시아 문법은 러시아어 /v/를 순치마찰음으로 분류하고 있다. 둘째, 러시아 역사 언어학 또는 방언학에 근거한 주장들은 러시아어 /v/가 유음인 /w/에서 몇 가지 규칙에 의해 도출되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셋째, 러시아어 /v/는 좀 더 엄밀하게 말해 /ʋ̝/라고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상기한 세 가지 견해 중, 본 논문에서 동의하고 논의를 진척시키고자 하는 견해는, 러시아어 /v/는 전통 문법에서 다루고 있는 바와 같이 순치 마찰음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러시아어 /v/의 음성학적 자질들에 대한 연구 데이터들을 살펴보면, 러시아어의 /v/가 다른 장애음들과 달리 특이한 현상을 보이는 것은 그것이 가진 자연적인 음성학적 특징 때문이고, 그것을 음운론의 영역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는 옳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러시아어 /v/를 순치 마찰음으로 분류하는 것은 이론적 측면 뿐 아니라, 언어 교육적 측면에서도 간단한 음운 체계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에게 보다 나은 학습 효과를 낳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 발달 연구

        유승아 ( Seung A Yoo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2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이 어떠한지,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은 학년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지, 독자 인식과 독서 실행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3~6학년 413명을 대상으로 RSPS1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독자 인식 을 알아보고, 이와 함께 독서량, 독서 시간, 선호하는 독서 분야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의 독자 인식의 평균은 124.53이었으 며, 이를 5점 척도로 환산하면 3.77에 해당하는 점수로 보통 수준의 독자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생들의 독자 인식은 부적으로 발달하는 경향을 보였다. 독자 인식과 독서 실행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높은 수준의 독자 인식을 가진 학생들은 독서량, 독서 시간 등에 있어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며, 정보 텍스트 분야의 도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수준의 독자 인식을 가진 학생들의 경우 높은 수준의 독자 인식을 가진 학생들에 비해 독서량은 많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독서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긍정적인 독자 인식을 지향할 수 있도록 독서 교육이 설계되고 자신이 지향하는 독자의 모습을 바탕으로 독서 수행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at self-perceptions that elementary students have as readers look like, how their self-perceptions develop as they advance through school, and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 perception and reading practice looks lik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413 elementary students. Reader self-perception is investigated using RSPS1 and reading quantity and reading time are surveyed. The average value of reader perceptions among the students was 124.53, that is, 3.77 on 5-point scale, indicating a normal level of reader percep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 perception and reading practice showed that students who had positive reader perceptions had good amounts of both reading and time spent in reading. Compared to students of higher levels of reader perception, those who had lower levels of reader perception were seen to have less amount of reading tim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reading between the two student groups. Through this study the reading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ensure that students can have positive reader perceptions, and that reading should be practiced based on the images of readers that individual students persue.

      • KCI등재

        현대러시아어에 나타난 언어변화

        유승만(Syeng Mann Yo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3

        소비에트의 해체 이후 러시아는 전면적인 사회변화를 겪고 있다. 그 와중에 눈에 띄는 현상 중의 하나가 언어의 변화이다. 언어변화는 음성, 음운, 형태, 통사, 의미론의 전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소비에트 해체 이후 현재까지 근 20여 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방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언어 변화 중 차용어의 의미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고 있다. 첫째, 외래어 차용의 원인과 영역에 대한 통시적 고찰, 둘째, 기존 차용어의 의미변화 양상, 셋째, 영어 선호현상과 이차 차용 현상, 넷째, 컴퓨터 용어를 통해 본 차용어의 러시아어로의 동화 기제가 그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외래어 차용의 원인과 영역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러시아어 발달사에서 외래어 차용의 원인과 영역이 시대별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21세기 러시아에서의 외래어 차용을 거시적인 역사적 문맥 속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둘째, 러시아를 비롯한 자연언어에서 외래어 차용현상은 자연적인 현상으로, 이미 러시아어에는 많은 외래어들이 들어와 러시아어로 동화된 바 있다. 이러한 기존의 외래어들이 소비에트 해체라는 역사적 사건 속에서 다양한 의미 변화 과정을 거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사회변화로 인한 기존 차용어휘의 의미변화 양상을 포착해 보고자 하였다. 셋째, 소비에트 해체 이후 자본주의의 유입으로 인한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포스트 소비에트 시기의 러시아인들은 고유한 슬라브어 어휘보다는 영어 어휘를 선호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외래어와 의미 면에서 유사한 영어 어휘가 공존할 경우 영어 어휘를 선호하는 현상이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차차용 현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러시아인들의 영어 선호현상을 변별적으로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넷째,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컴퓨터 및 IT 분야 외래어의 차용 및 이 분야 어휘들의 러시아어 동화 기제를 통해 러시아인들이 외래어 차용에 대해 가지고 있는 다면적 태도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20세기 말 21세기 초에 러시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외래어 차용과 그 외래어들이 러시아어로 동화되는 기제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언어변화에 담겨 있는 러시아 문화의 변화양상을 드러내 보이고, 그 변화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다면적인 태도들을 포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ace cultural changes happening in post-Soviet era Russia through the changes of lexical meaning of borrowed words as well as such phenomena as second borrowing, Americanization, and Russification of already borrowed words in pre-Soviet era. The author over-viewed language change in the present day Russia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First, the author traced back the history of borrowed words in chronological order. Second, the author examined how the traditional meanings of already borrowed words have changed since 1990s. Third, the author examined Americanization through second borrowing. Fourth, the author tried to convey various attitudes of Russians toward massive influx of foreign words into Russian vocabulary. In conclusion, the author claimed that Russians need to try balance out their position in cooperating foreign words into their native languag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