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역사적 도심 내 자가(自家) 병용주택의 유형분류 및 특성 - 청주시 성안동과 중앙동을 중심으로 -

        유슬기(Yoo, Seul-Gi),정진주 (Jung, Jin-Ju),김태영(Kim, Tai-Young)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3 No.2

        In the historical area of Cheongju, there are about 148 owner shop houses. They are 36 buildings on the 1st. floor(25%), 89 on the 2nd.(60%), 21 on the 3rd.(14%), and 2 on the 4th.(1%). In terms of function distribution by floor, most of the 1st. floor have shops and houses on the front and back. The 2nd. floor most of the floor consists of shop and houses on the 1st. and house on the 2nd. The 3rd. floor functions differently for each floor, but the 2∼3floor houses account for half. In the location of the stairs leading to the upper floor, 35buildings(31%) are inner stairs to secure privacy, and 51(46%) are outer stairs to separate from the living space. There are also 26(23%) that enter through alleys or private yards. In appearance, the 2nd. floor is the most common in the 2 bays and the 3rd. in the 1 bay, which can be a characteristic of owner shop house that can measure the scope of private ownership. Despite containing the opposite functions of shop and house, 35-40% of the cases are unified with openings on the upper and lower floors.

      • 역사적 도심 내 현존 병용주택의 유형 및 분포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 청주시 성안동과 중앙동을 중심으로 -

        유슬기(Yoo, Seul-Gi),정진주(Jung, Jin-Ju),김태영(Kim, Tai-Young)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3 No.1

        The type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existing mixed-use dwelling in Cheongju were investigated. There are a total of 898 mixed-use dwelling, 369 mixed-use dwelling attached to detached houses, and 529 mixed-use dwelling attached to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Looking at each floor, the first floor was built the most before 1969, and most of them are wooden structures. In the case of the second floor, most were built in the 70s and 80s. In the case of three or more stories, most of them are newly built with reinforced concrete, and the largest number of mixed-use dwelling appeared in the 1980s. Mixed-use dwelling tends to be built with less than one unit rather than multi-family housing.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housing types in the historical city center through a more detailed investigation on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mixed-use dwelling, and it seems that various studies should be conducted.

      • SCOPUSKCI등재

        떫은감(Diospyros kaki Thunb.)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영양 성분 변화

        유슬기(Seul Ki Yoo),김종민(Jong Min Kim),박선경(Seon Kyeong Park),강진용(Jin Yong Kang),한혜주(Hye Ju Han),박효원(Hyo Won Park),김철우(Chul-Woo Kim),이욱(Uk Lee),허호진(Ho Jin Heo)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3

        본 연구에서는 떫은감의 3가지 품종인 갑주백목, 상주둥시, 고동시의 수확시기(7, 8, 9, 10월)에 따른 유리당, 지방산, 무기성분, 구성 아미노산, 비타민 C와 같은 영양성분 분석 및 UPLC/Q-TOF/MS²를 통한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하였고,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유리당 분석 결과는 미숙과에서 수확과로 갈수록 포도당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과당은 숙기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 분석 결과는 포화 지방산에서 팔미트산(palmitic acid), 불포화 지방산에서 올레산(oleic acid)과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숙기에 따른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무기성분 분석은 갑주백목, 상주둥시의 7월 시기와 고동시의 10월 시기에 칼륨의 함량이 상당히 높았으며, 구성 아미노산 분석은 갑주백목의 7월 시기에서 글루탐산(glutamic acid), 상주둥시의 8월 시기에서 라이신(lysine), 고동시의 10월 시기에서 트레오닌(threon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비타민 C 분석 결과는 떫은감의 숙성기간에 따라서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고동시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을 통해서 갑주백목이 다른 품종들에 비해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7월 시기의 미숙과에서 가장 많은 페놀성 화합물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대사체 분석과 PLS-DA 분석을 통한 통해서 3가지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유의적인 평가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주요 물질은 시트르산(citric acid) 및 gallic acid로 동정되었으며 이들의 상대적인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떫은감의 주요 세 가지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영양성분 분석을 통해 품종별 영양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성분의 비교 분석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hemical components of different cultivars (Gabjubaekmok, Sangjudungsi, and Godongsi)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and the effects of maturity. The detected free sugars were fructose and glucose, and glucose levels tended to increase with maturity.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stearic acid, and potassium were major components. In the amino acid component analysis, the following were usually present in the following month: glutamic acid in Gabjubaekmok in July, lysine in Sangjudungsi in August, and threonine in Godongsi in October. Vitamin C tended to increase with aging, and fruit harvested in July had the highest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metabolite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ultivars and with maturity. The major physiological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quadrupole time-of-flight tandem mass (UPLC/Q-TOF/MS²) and were citric acid and gallic aicd. As maturity progressed, citric acid increased but gallic acid decreased.

      • SCOPUSKCI등재

        포도당으로 유도된 in vitro 뇌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다래 순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보호 효과

        유슬기(Seul Ki Yoo),박선경(Seon Kyeong Park),김종민(Jong Min Kim),강진용(Jin Yong Kang),박수빈(Su Bin Park),한혜주(Hye Ju Han),김철우(Chul-Wo Kim),이욱(Uk Lee),허호진(Ho Jin Heo) 한국식품과학회 201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0 No.5

        본 연구에서는 다래 순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thyl acetate fraction from Actiniadin arguta sprout; EFAS)의 in vitro 산화방지활성 및 고포도당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검증하였다. EFAS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총 폴리페놀(246.25 mg GAE/g) 및 총 플라보노이드(571.59 mg RE/g)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로 인한 ABTS 라디칼 제거 활성(IC<SUB>50</SUB>=252.00 μg/mL) 및 MDA 생성 억제 활성(IC<SUB>50</SUB>=42.70 μg/mL)을 보여주었다. EFAS의 in vitro 항당뇨 활성은 알파글루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와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활성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각각 99.18과 85.19 μg/mL의 IC<SUB>50</SUB> 값을 나타냈고, 뇌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세포 내 유지 효과를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 활성을 통해 측정하였을 때 164.20 μg/mL의 IC<SUB>50</SUB> 값을 나타냈다. 또한 인간 유래 MC-IXC 뇌신경세포에 과산화수소와 고포도당을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뇌신경세포 사멸에 대해 우수한 보호효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HPLC를 통하여, EFAS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한 결과는 루틴으로 유추되었으며, 그 함량은 123.76 μg/mL of dried weight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래 순 분획물(EFAS)이 알파글루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및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를 통해 식후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예방할 수 있는 항당뇨 소재로의 가능성뿐만 아니라, 고포도당에서 유래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신경전달물질 체계 개선을 통한 당뇨성 퇴행성뇌질환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in vitro anti-diabetic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in Actinidia arguta sprouts (EFAS), on H₂O₂ and high glucose-induced cytotoxicity in human neuroblastoma MC-IXC cells. EFAS had high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n assessment of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 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FAS, as well as its potential for inhibiting malondialdehyde production, indicated that EFAS may possess significant antioxidant properties. EFAS exerted inhibitory effects on α-glucosidase via glycemic regulation which forms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addition, EFAS exhibited significant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effects. Moreover, EFAS displayed protective effects against H₂O₂ and high glucose-induced cell death, and inhibited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MC-IXC cells. Finally, the main physiological compound of EFAS was identified vi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s a rutin.

      • 청주시 수동 옛 주거블록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유슬기(Yoo, Seul-Gi),김태영(Kim, Tai-Young),정진주(Jung, Jin-Ju)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2 No.2

        Studying at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land and buildings of the old residential block outside the north gate of Cheongju Cityi, there were many changes in the surrounding land due to the opening of a new street network, but the bent alleyways of less than 4m were maintained. In terms of building construction, shop houses with three to five stories was newly built on the side of the road, but the old houses existed around the bent alleyway in the block. It is necessary to regenerate a residential area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 residential structure.

      • KCI등재

        극장의 공간경쟁과 가격차별: 2급 및 3급 가격차별을 중심으로

        유슬기 ( Seulgi Yoo ) 한국산업조직학회 2021 産業組織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극장들의 가격차별을 요일 및 시간대에 따른 2급 가격차별과 관객에 따른 3급 가격차별로 구분하여 각 가격차별에 따른 가격차이(dispersion)가 공간 경쟁에 받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에 극장은 단일가격 정책으로 가격차별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격차별과 경쟁 간 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없었다. 반면, 최근 한국에서는 극장들이 요일, 시간대, 관객별로 다른 가격 정책을 실시하고 메뉴를 세분화함으로써 가격차별에 따른 변동성이 발생하였다. 저자는 이러한 변동성을 이용하여 2017년 8월 121개 극장의 가격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극장 주소지 반경 1.5km를 지역시장으로 정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지역 시장 내 다른 경쟁 극장이 존재할 경우 2급 가격차별의 가격차이는 감소한 반면, 3급 가격차별의 가격차이는 증가하였다. 특히, 경쟁 극장의 존재는 주중과 주말 간 가격차이를 약 31% 감소시켰고, 오전과 오후 시간대의 가격차이는 약 10% 감소시켰다. 극장에서 관객에 따른 3급 가격차별은 요일 및 시간에 따른 2급 가격차별보다 그 크기가 크게 나타났으나, 경쟁은 성인과 다른 할인관객 간 가격차이를 약 3% 증가시켰다. 이는 일반적인 2급 가격차별과 달리, 극장에서 요일 및 시간에 대한 가격차별이 관객에 따라 이질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2급 및 3급 가격차별 간 상충관계가 발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spatial competition affects second- and third-degree price discrimination in movie theaters.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uniform price puzzle due to the limited price dispersion in the market. On the other hand, domestic theaters recently have implemented different pricing policies by time and audience so that allows abundant price variation. I define the local market as a 1.5km radius of the theater and the competition is measured as the other competitive theaters within the market. Empirical results show that competition increases the price dispersion of third-degree price discrimination, while it decreases that of second-degree price discrimination. The heterogeneous effects of competition on price dispersion may result from the strategy that theaters in the competitive market increase discounts for the price-elastic audience to attract more demands and reduce discounts for time to compensate for profit losses from the third-degree discounts. It is because adults who are less elastic for a price are the main target of second-degree price discrimination.

      • 역사적 도심 블록의 점진적 재생 방안 - 청주 남주동 사례를 중심으로 -

        전혜련(Jeon, Hye-Ryeon),유슬기(Yoo, Seul-Gi),이준범(Lee, Jun-Beom),김태영(Kim, Tai-Young)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2 No.1

        This study analyzed the lots and buildings for one block in Namju-dong, the historic urban area of Cheongju, and proposed a piecemeal growth of the historical urban block while suggesting the direction of existing buildings. Based on the premise of the existence of buildings within 30 years of the new construction period and houses of preservation value, the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reuse of buildings are set through surveys and observations with residents, and various incentive systems for development of historical urban block are introduced.

      • KCI등재

        게임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게임의 문화적 속성과 경험을 중심으로

        이은택(Lee eun-taek),임상훈(Im Sanghoon),유슬기(Yoo Seulki),정하은(Jung Haeun),영만(Yeong- Mahn Yo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핵심 구인을 생활공간에서 발견된 개인의 ‘불편 함’을 감지하는 공감으로 설정하고 게임을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탐색하고자 했다. ‘나’의 생활공간의 문제와 목표 그리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게임 상황에 내재화시켜 게임에 참여하는 구성원이 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 해가는 것으로 인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했다. 게임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하기 위해 게임 디자인 원리와 게임 리터러시의 속성을 연구 과정에 적용하였으며, 반복적 게임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상황과 문제 드러내기(problem setting)- 규칙 만들기(creating rules and roles) - 규칙 수행하기(play party) - 성찰하기(reflect on the party) - 새로운 규칙 만들기(Re-create and combine rules and roles)에 따라 게임을 디자인하였다. 문화로써 게임 경험에 근거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자신이 살아가는 공간’의 문제에 접근하여 교실을 모두가 함께 살아가는 생태계의 관점을 갖게 하여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직접 찾음으로써 지식으로서 인성을 넘어 실천하는 인성이 발현될 수 있는 인성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begins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in empathy that begins with the uncomfortable of individuals found in living space. The learner solves the problems, goals and goals of their living space through the community s consensus process in a game situation. The elements of game design and game design principles were applied for program design, and the research was followed by the iterative design process, the game design process. As a result, phase problem setting - creating rules and roles -play party - reflect on the party - Re-create and combine rules and roles was derived.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game, learners reproduce the living space according to their strategy. In the course of playing the game, solving the problems that surround you one by one is an opportunity to expand your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knowledge to solve the problem. The learner will be a player who creates a process, not a spectator to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매생이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및 α-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

        Eun Kyung Cho(조은경),Seul Ki Yoo(유슬기),Young Ju Choi(최영주)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6

        해조류 매생이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또는 에탄올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증가율을 보였는데, 10 ㎎/㎖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각각 10.8, 62.4%, SOD 유사활성은 각각 13.8, 27.1%로 나타났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에서는 1 ㎎/㎖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5.9, 49.7%의 활성을 보여 비교적 높은 효능이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나타났다.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는 α-glucosidase 저해능 분석으로 측정하였는데, 1 ㎎/㎖ 농도의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1.4, 67.3%로써 비교적 높은 효능을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보였다. 매생이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알콜 분해능 증가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심지어 acetaldehyde 분해능은 관찰되지 않았다. Elastase 억제 효능 분석에서는 매생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10 ㎎/㎖에서 각각 75.9, 51.2%로 나타났다.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MHW) and 80% ethanol (MEH) extracts from Maesaengi (Capsosiphon fulvescen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e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for MHW and MEH,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were measur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of MHW, and MEH were increased weekl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were about 10.8, 13.8, 62.4, and 27.1% at 10 ㎎/㎖, respectively.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MHW and MEH were about 5.9% and 49.7% at 1 ㎎/㎖, respectively.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MHW and MEH were about 1.4% and 67.3% at 1 ㎎/㎖,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MHW and MEH on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the generating activities of reduce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H) by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were measured. Facilitating rates of ADH activity by MHW and MEH were increased weekl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LDH activities were not detecte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HW and MEH were 75.9% and 51.2% at 10 ㎎/㎖, respectively.

      • SCOPUSKCI등재

        초미세먼지(PM<SUB>2.5</SUB>)로 유도된 in vitro 세포 독성에 대한 감태(Ecklonia cava) 추출물의 보호 효과

        박선경(Seon Kyeong Park),강진용(Jin Yong Kang),김종민(Jong Min Kim),유슬기(Seul Ki Yoo),한혜주(Hye Ju Han),신은진(Eun Jin Shin),허호진(Ho Jin Heo)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5

        감태(Ecklonia cava)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효과 및 초미세먼지로 유도된 세포 독성에 대한 비강(RPMI-2650), 폐(A549) 및 뇌신경(MC-IXC) 세포에서의 세포보호효과를 검증하였다. 감태는 총 페놀성화합물(물 추출물: 189.32, 80% 에탄올 추출물: 418.08 mg GAE/g of dried weight) 및 총 플라보노이드(물 추출물: 44.93, 80% 에탄올추출물 111.22mg RE/g) 함유량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ABTS/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지방질과산화 억제효과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감태 추출물은 초미세먼지로 유도될 수 있는 세포 내 산화적스트레스를 저해함으로써 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로 판단되며, 80% 에탄올 추출물뿐만 아니라 물 추출물 또한 산업적 활용가능성이 기대된다.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Ecklonia cava on ultra-fine dust (PM2.5)-induced cytotoxicity,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cell viability after exposure to PM<SUB>2.5</SUB>. E. cava was extracted using water and 80% ethanol,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rmined using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ssays. The 80% ethanol extract showed relative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e water extract. The cell protective effect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ontent and viability of nasal epithelial (RPMI-2650), lung epithelial (A549), and brain neuroblastoma (MC-IXC) cells. Results showed that the 80% ethanol extract inhibited ROS production more than the water extract. In contrast, both extracts showed similar effects on cell viability in the PM<SUB>2.5</SUB>-induced cell death assay. Thus, Ecklonia cava may act as an effective resource for preventing PM<SUB>2.5</SUB>-induced cytotoxicity in nasal, lung, and brain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