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림바이오매스 이용 마을단위 지역난방에 관한 주민 인식 분석 - 화천 산림탄소순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유선화,김성학,Ryu, Sun-Hwa,Kim, Seong-Hak 한국환경과학회 2020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articipating resident awareness of the improvements to forest carbon cycle villages cre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by introducing a system for district heating basedon forest biomass in mountainous areas. Hwacheon Forest Carbon Circulation village was established in Paroho-neureup village in Yuchon-ri, Hwacheon-gun between 2011 and 2013. However, its operation has not been smooth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households rapidly leaving the district heating system. This study surveyed 76 households that participated in the district heating system using forest biomass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ject. This includes households participating in the district heating system(participating households) and households not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district heating system(withdrawal households) from September 2019. Surveys focused o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forest carbon cycle village projects, and satisfaction in local heating and policy requirements. Of the 67 households, excepting those not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due to death or having moved elsewhere, 36 households participated and 31 households the were in the process of leaving the village were also included.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ng and exiting households in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district hea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s to reflect the importance of awareness of residents in the operation of the forest carbon cycle village. This will be utilized as an important dataset for improvement as a means to promote the re-entry if outgoing households. It will also help set the direction of the forest town revitalization project, utilizing forest biomass in the future.

      • KCI등재

        겨울우산버섯의 원형질체 분리와 유전자 형질전환

        유선화,김명길,Ryu, Sun-Hwa,Kim, Myung-Kil 한국미생물학회 2014 미생물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에서는 백색부후균인 겨울우산버섯의 원형질체 분리 조건과 유전자 형질전환 방법을 확립하였다. 겨울우산버섯 균사에 세포벽 분해효소로 0.5% Usukizyme을 처리하여 ml당 $1{\times}10^7/ml$개의 원형질체를 확보할 수 있었다. 형질전환체의 선별을 위해 hygromycin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유전자(hph)를 선택표지로 이용하여 형질전환용 벡터(pHYgpt)를 제작하였다. 40% polyethylene glycol 용액과 aurintricarboxylic acid와 heparin, supermidine을 첨가하여 형질전환을 수행 한 결과 벡터 $1{\mu}g$ 당 100-160개의 수율로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도입된 벡터는 hph 유전자의 PCR 증폭을 통해 형질전환체의 염색체내에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olyporus 속의 유전자를 활용한 새로운 균주 개발에 유용한 기술이 될 것이다.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proper conditions for protoplast isolation and genetic transformation of the white rot fungi, Polyporus brumalis. The protoplasts were formed from mycelia at a frequency of $1{\times}10^7/ml$ with 0.5% Usukizyme. The transformation vector (pHYgpt) was constructed using hygromycin resistance gene (hph) for the selectable maker. The yield was 100-160 transformants/${\mu}g$ DNA in a transformation mediated by 40%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with aurintricarboxylic acid, heparin and supermidine. The genomic integration of the pHYgpt was confirmed by hph-specific PCR and the expected amplified band appeared only in the transformants. These results could be an efficient tool in gene engineering of the genus polyporus.

      • 표면마감처리별 목재제품의 폼알데하이드 방출량 분석

        유선화 ( Sun-hwa Ryu ),홍채린 ( Chea-rin Hong ),박주생 ( Joo-saeng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최근 환경부에서는 환경표지인증제품 중 목재제품이 사용되는 바닥제와 천장 및 벽면 마감제의 인증기준을 개정하였다. 변경된 사항은 폼알데하이드 분석방법을 실내공기질관리법의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기준과 일치하도록 소형챔버법과 병행하고 있던 데시케이터법을 2년간 유예기간을 주고 2024년부터 사용할 수 없도록 삭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재제품의 폼알데하이드 분석방법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면가공 전·후의 MDF와 PB를 사용하여 소형챔버법과 데시케이터법으로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E0 등급의 MDF를 LPM, PET, PVC, PP로 표면가공한 경우 데시케이터법에서는 표면가공 전 제품이 0.263 ㎎/ℓ 였으며 표면가공 후 제품은 0.242 ~ 0.265 ㎎/ℓ로 가공 전·후 차이가 10% 이내였다. 반면 소형챔버법에서는 표면가공 전 0.035 ㎎/㎡·h에서 표면가공 후에는 0.001~0.007 ㎎/㎡·h로 크게 감소되었다. E0 등급의 PB를 LPM, PET, PVC, PP로 표면가공 한 경우는 데시케이터법으로 측정시 표면가공 전 0.168 ㎎/ℓ에서 표면가공 후 0.171~0.183 ㎎/ℓ으로 약간씩 증가하였으나 가공 전·후 차이는 10% 이내였다. 반면 소형챔버법에서는 표면가공 전 0.017 ㎎/㎡·h이 표면가공 후에는 0~0.007로 크게 감소되었다. LPM 표면가공 후 MDF와 PB에서 81%와 56% 감소되어 표면가공 방법 중 가장 적은 폭으로 감소되었고 PET, PVC, PP 표면가공은 94%이상 높은 감소폭을 나타냈다. 소형챔버법에서 표면가공에 의해 방출량이 크게 감소하는 이유는 제품의 표면가공된 면에서 방출되는 폼알데하이드만 측정하기 때문에 측면이나 내부의 폼알데하이드는 측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형챔버법은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이 매우 높은 불량제품도 표면가공에 의해 방출량이 감소되어 환경표지 제품으로 둔갑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개정안의 보완이 필요하다.

      • 데시케이터 및 소형챔버를 이용한 목질판상제품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 분석

        유선화 ( Sun-hwa Ryu ),박주생 ( Joo-saeng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목질판상제품은 다중이용시설 및 신축공동주택 100세대 이상 건축물에 사용될 경우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라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기준에 적합한지 사전검사를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 환경표지 인증제품은 실내공기질관리법의 사전검사를 면제받기 때문에 목질판상제품에서 환경표지 인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표지 인증기준에서 소형챔버법의 오염물질 방출량 적합 기준은 매우 낮은 반면 검사기관에서 측정되는 오염물질 방출량의 차이가 너무 크다는 추측이 많으며 때문에 소형챔버법 측정값의 신뢰성에 대한 산업계의 우려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제품을 사용하여 폼알데하이드와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톨루엔 방출량을 4개 시험기관에 의뢰하여 측정값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은 데시케이터법을 사용했을 경우 측정값은 검사기관에 따라 최대 2.3배 차이가 난 반면 소형챔버법은 최대 18배 차이가 났다. 변동계수로 나타내면 데시케이터법은 30%, 소형챔버법은 70%를 나타내었다. 소형챔버법에 의한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 측정값은 검사기관에 따라 최대 82배까지 차이가 났으며 변동계수는 9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소형챔버법에 의한 톨루엔 방출량 측정값은 최대 2배의 차이가 났으며 변동계수는 24%로 나타났다. 데시케이터법에 의한 폼알데하이드와 소형챔버법에 의한 톨루엔 방출량 측정값은 모두 환경표지 인증기준에 적합한 반면 소형챔버법에 의한 폼알데하이드,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 측정값은 검사기관에 따라 환경표지 인증기준에 적합하거나 부적합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향후 소형챔버법의 폼알데하이드 및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측정값의 변동성이 큰 원인을 분석하여 목질판상제품에 적합한 시험방법과 조건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아교버섯 형질전환체가 생산한 리그닌분해 고정화효소에 의한 염료 탈색

        민동숙,유선화,김명길,최형태,Min, Dong-Suk,Ryu, Sun-Hwa,Kim, Myung-Kil,Choi, Hyoung-T.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3

        백색부후균류가 가지는 리그닌 분해효소들은 기질특이성이 넓기 때문에 다양한 난분해성 화합물들을 분해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3가지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laccase와 manganese peroxidase가 각각 도입된 아교버섯 형질전환체의 배양 상등액 효소를 고정화 효소로 만들어 대표적 염료의 하나인 Remazol Brilliant Blue R (RBBR)의 탈색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알긴산을 효소 용액과 직접 반응하여 만든 고정화 효소에서 48시간 반응 후 약 75% 탈색을 보였다. 비록 한번 사용했던 고정화 효소를 재사용하였을 경우 탈색능이 10-15% 정도 감소되었으나 본 실험에서 제시한 방법이 리그닌 분해효소의 고정화 효소 활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Lignin degrading enzymes from white rot fungi show broad substrate specificities, and therefore they can degrade variety of recalcitrant compounds. We have used three different protocols for the generation of immobilized laccase and manganese peroxidase crude enzymes from the genetically transformed strains of Merulius tremellosus Fr. These immobilized enzymes were used in the decolorization of Remazol Brilliant Blue R (RBBR), and they showed about 75% decolorization rates during the 48 h reactions. Although the decolorization efficiency decreased by 10-15% after a repeated use of the immobilized enzymes, these can be reused in various degrading reactions.

      • KCI등재

        아교버섯(Phlebia tremellosa)의 리그닌 분해효소 형질전환체를 이용한 염료의 탈색

        금현우,이성숙,유선화,최형태,Kum, Hyun-Woo,Ryu, Sun-Hwa,Lee, Sung-Suk,Choi, Hyoung-T. 한국미생물학회 2010 미생물학회지 Vol.46 No.1

        리그닌 분해효소 군을 가진 백색부후균들은 다핵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여 염료와 폭약 및 내분비장애 물질의 분해 등 다양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 리그닌 분해효소 중 laccase와 manganese peroxidase (MnP)를 각각 발현하는 벡터를 국내에서 분리한 백색부후균류의 하나인 아교버섯(Phlebia tremellosa)에 형질전환 방법으로 도입시킨 형질전환체를 사용하여 염료의 탈색능력을 분석하였다. Methyl green의 경우 3일 후 약 50%의 탈색을 보인 야생형에 비하여 laccase 형질전환체(TF2-1)와 MnP 형질전환체(T5) 모두 90% 이상의 탈색을 보였다. Remazol brilliant blue R (RBBR)에서는 야생형이 약 67%의 탈색을 보인 반면 두 가지 형질전환체들은 약 85%의 탈색을 보였다. 각각의 형질전환체들은 laccase와 MnP의 활성 및 유전자 발현도 활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White rot fungi which have lignin degrading enzymes show high degrading activity to diverse recalcitrant compounds such as polycyclic aromatic compounds, dyes, explosives and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We have examined decolorizing activity of dyes by Phlebia tremellosa and two transformants which had genetically transformed using laccase or manganese peroxidase (MnP) gene. In case of methyl green, wild type strain showed 50% decolorization while laccase transformant (TF2-1) and MnP transformant (T5) showed more than 90% decolorization on day 3. Remazol brilliant blue R(RBBR) was decolorized up to 85% by two transformants while the wild type showed 67% decolorization on day 3. Transformants TF2-1 and T5 both showed increased laccase and MnP activity respectively during the whole growing phase.

      • 수세용 타월의 습윤 인장강도 분석을 통한 한국산업표준 개정

        유원재 ( Won-jae Youe ),유선화 ( Sun-hwa Ryu ),이태주 ( Taiju Lee ),박주생 ( Joo-saeng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2

        본 연구에서는 위생용지 시장이 확대되고 소비자들의 위생용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종이 타월의 품질을 분석하고 현재 한국산업표준으로 제정된 수세용 타월(KS M 7710)의 품질기준 중 습윤 인장강도의 합리적 기준에 대한 개정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수세용 타월의 습윤 인장강도 분석을 통한 한국산업표준 개정

        유원재 ( Won-jae Youe ),유선화 ( Sun-hwa Ryu ),이태주 ( Taiju Lee ),박주생 ( Joo-saeng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2

        본 연구에서는 위생용지 시장이 확대되고 소비자들의 위생용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종이 타월의 품질을 분석하고 현재 한국산업표준으로 제정된 수세용 타월(KS M 7710)의 품질기준 중 습윤 인장강도의 합리적 기준에 대한 개정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