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증 교육을 위한 합리성 개념 고찰

        유상희 ( Ryu Sanghee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4

        논증이 합리성을 바탕으로 세워지고 합리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합리성을 어떻게 개념화하는가는 논증 교육의 목표 및 내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이 연구는 논증에서 합리성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논증 교육적 함의점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맥락에 독립적으로 의미를 갖는 합리적 요소에 집중하는 맥락-독립적 합리성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고, 맥락을 초월하여 의미를 갖는다고 여겨지는 논증의 요소 및 구조에 대한 분석적 접근은 중요하지만, 논증 교육이 심화됨에 따라 이러한 요소와 구조도 절대적인 진리가 아닌 비판적 고찰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것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다음으로 맥락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합리적 요소에 집중하는 맥락-기반 합리성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별히 맥락-기반 탐구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논증에서 탐구적 자세에 의하여 구성되는 합리성이 강조되었다. 이 연구는 논증 교육에서 합리성 재개념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 앞으로 논증 교육에서 근저에 흐르는 합리성 개념에 대한 다양한 고찰 및 논의가 이루어져서 국어교육 속 논증 교육이 체계화되는 과정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 Rationality is an essential part of argumentation in that argumentation is not only developed based on rationality but also pursues ration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ultiple conceptualizations of rationality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argumentation. As a heuristic tool for exploring the conceptualization of rationality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argumentation, this paper draws a context-independent view of rationality and a context-dependent view of rationality. It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e context-invariant, absolute view of rationality in terms of its possible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including superficial thinking and formulaic approaches to argumentation. This paper then discusses possible implications of a context-dependent view of rationality; in particular, investigational rationality. The aim of this discussion on rationality is to contribute to an extended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of argumentation an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heor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of argumentation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논술형 문항 개발을 위한 탐구 - GRE 논증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유상희 ( Ryu Sanghee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developing writing tasks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y analyzing the argument task in the writing section of the GRE (General Record Examination). As a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 the GRE argument task has two unique characteristics: 1) it provides a writing prompt guiding analysis and critical evaluation of logical reasonableness, and 2) it provides reading material that has logical problems. The main implication of the GRE argument task is considered to be the development of writing assessments that ask students to critique the logical reasonableness of reading materials that have some limitations or problems. In order to develop writing assessments for the CSAT that provide students meaningful direction in writing study, we need to explore diverse possibilities for writing task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critical evaluation of the logical soundness of texts, the GRE argument task provides meaningful characteristics that we could consider in developing a writing assessment for the CSAT.

      • KCI등재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를 위한 시론 : 리터러시 평가에서 ‘상황’을 고려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유상희(Ryu, Sanghee),옥현진(Ok, Hyounjin),서수현(Seo, Soohyu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8 교과교육학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상황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상황적 리터러시 관점에 기반하여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에서 고려할 수 있는 지점으로 상황의 중핵성, 평가의 실제성, 참여자의 주도성을 제안하였다. 상황의 중핵성은 평가 과제 개발에 있어서 상황이라는 요소가 얼마나 문항 구성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가와 관련되며, 평가의 실제성은 제시되는 텍스트와 평가 문항이 얼마나 피평가자의 실제 언어 사용 양상 또는 언어 사용 목적과 유사한지와 관련된다. 그리고 참여자의 주도성은 언어 사용자가 구체적인 의사소통 사건에 얼마나 주체적으로 참여하며 상황을 역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가에 대한 가능성과 관련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를 개발하기 위한 방향으로 상황화된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평가, 실제 리터러시 생태계를 반영한 지문과 문 항을 제시하는 평가, 참여자가 주도성을 갖고 상황을 구성하는 평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s a preliminary exploration, aims to explore significant theoretical approaches to situation from the situated literacy perspective in order to find possible meaningful directions for situation-based assessment. This study suggests three key elements for situation-based assessment: the core level of the situation, the authenticity level of the assessment, and the agency level of the test-takers. The core level of the situation defines to what degree the situation is regarded as the core value in developing assessment tasks. The authenticity level of the assessment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assessment tasks have an authentic purpose and/or are similar to literacy practices that happen in the test-takers’ daily lives. The agency level of the test-takers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assessment tasks provide possibilities for test-takers’ active/ agentive construction of situations. Focusing on these key elements, this study proposes meaningful directions for situationbased assessment: assessment providing specific communication scenarios, reflecting actual literacy ecosystems, and allowing test-takers opportunities for constructing interactional situations.

      • KCI등재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중심에 둔 교사의 최적화 행동 연구: 국어 수업에서 ‘구성적 불일치’ 사례를 바탕으로

        유상희 ( Sanghee Ryu ),정혜승 ( Hyeseung Chung ),민병곤 ( Byeonggon Mi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4

        Our education policy has emphasized the consistency of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and students’ achievement of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policy is implemented in a Korean language class and the elements affecting the policy in order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pplying micro-ethnographic discourse analysis with the concept of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In this class, the teacher aiming to integrate the curriculuminstruction- evaluation conducted student-centered instructions consisting of an activity-oriented class and process-oriented assessment with feedback. However, a constructive inconsistency has been found in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in limited settings of the meaning of achieving learning goals, simplification of knowledge, exclusion of discours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goal, and execution of a performance evaluation with correct answers. The positive elements within our education policy actually appeared in problematic patter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and various contexts in the class.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of the actual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her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reconsideration of declarative emphasis on educational policy in the absence of specific direction or practical support, strengthening organic linkage between standards and educational goals, and developing teacher curriculum literacy.

      • KCI등재

        디지털 기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과정에 나타난 인지 작용 양상- 대학생들의 프레젠테이션 제작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서수현(Seo, Soo-Hyun),유상희(Ryu, Sanghee),김지연(Kim, Ji-Youn),김희동(Kim, Heedong(),옥현진(Ok, Hyounjin)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교육적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두 팀(각 3명씩 총 6명)의 대학생에게 디지털 매체 기반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활동을 수행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 작용의 양상을 분석하여 이를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 내용 요소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과정에서 동원되는 인지 작용은 크게 설계와 제작의 두 요소로 범주화되었으며, 설계 범주는 다시 수사적 맥락 고려하기, 배양하기와 창안하기, 조직하기로, 제작 범주는 배치하기, 형상화하기, 편집하기로 구분되었다. 리터러시 교육에서 중요한 내용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 이해 또는 표현의 과정에 동원되는 인지 요소임을 고려할 때, 이 연구의 결과는 우선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과 관련된 리터러시 교육에서 어떠한 측면들을 균형 있게 교육의 내용으로 다루어야 할 것인지 밝혔다는 점에서, 그리고 대학생들이 텍스트 제작 과정에 동원하는 인지 작용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생들이 유사한 리터러시 활동을 수행할 때 평가의 기준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후속 연구를 통해 초중등 학습자와 성인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 내용의 위계를 설정하는 데 단초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As educational needs for digital literacy increa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gnitive aspects in the process of multimodal texts production in digital environments by asking two group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 make a PPT for present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ognitive aspect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design and production. Then the design category can be divided into three elements such as considering rhetorical contexts, incubate & invent, organize and the production category into three elements such as arrange, materialize text, edi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designing educational contents of digital literacy in undergraduate courses and evaluating them. Other educational and research implication was discussed at the end.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종윤 ( Kim Jong-yun ),서수현 ( Seo Soohyun ),김인숙 ( Kim Insuk ),조병영 ( Cho Byeong-young ),김지연 ( Kim Ji-youn ),유상희 ( Ryu Sanghee ),김희동 ( Kim Heedong ),오은하 ( Oh Eunha ),옥현진 ( Ok Hyounji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2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한 여러 문헌들을 먼저 검토한 뒤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한 개인이 자신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 도구와 기술을 활용하여 텍스트를 탐색·이해·평가·적용하고, 새로운 텍스트를 창조하며, 사회 구성원들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 평가도구가 디지털 리터러시를 얼마나 잘 평가하는지 검토하기 위해 8종의 기존 평가도구(CBAL, DIL, ePIRLS, ICILS, ORCA, PARCC, PISA DRA, SBA)를 평가틀의 측면, 평가 도구의 설계 및 문항 구성 방식의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평가도구들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제 측면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읽기 영역 평가에 치우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 설계 및 문항 구성 방식은 평가도구별로 상이하였으며, 여러 측면에서 참조할 만한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각 평가도구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의 개선 방향으로서 시나리오 기반 평가와 근거 중심 평가 설계에 대해 제안하였다. As a preliminary exploration, this study aims to build a theoretical grounding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ssessment that is particularly focused on cognitive domain. First,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of the digital literacy was conducted to provide a theoretical lens to conceptualize digital literacy: individuals` ability to search, understand, evaluate, utilize, and create text and communicate with others by using digital tools and technologies to achieve one`s goal. Next, eight digital literacy assessments (CBAL, DIL, ePIRLS, ICILS, ORCA, PISA DRA, PARCC, SBA) were reviewed in terms of their assessment framework, design, and struc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ach assessment partially measured digital literacy but failed to adequately capture the whole domain of digital literacy.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assessment were also identified, analyzed, and compared. The study suggests scenario-based assessment and evidence-centered design as a usefu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