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비교과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상경험 및 임원경험을 중심으로

        유백산(BaekSan Yu),황여정(YeoJeong Hwa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1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비교과영역 성취에 대한 관심은 대입에서 이를 주요 전형요소로 활용하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최근 들어 급속히 확산되면서 추동된 측면이 없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교과영역 성취를 반영하는 다양한 지표들 가운데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가장 광범하게 적용되는 지표인 임원경험과 교내ㆍ외 수상 경험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이들 영역에서 성취를 거두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교 재학 중 임원을 지낼 가능성에는 학업성취도, 자아효능감, 부모-자녀 관계,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 및 지원, 그리고 교사와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고교 재학 중 교내ㆍ외 수상여부와 관련해서는 대체로 학업성취가 우수하고 독서향유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주지교과 수상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타 영역 수상의 경우에는 교사와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비교과영역 성취 역시 기존의 학업성취도 평가와 유사하게 학생들이 지닌 문화자본이나 가정 안팎의 사회자본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술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비교과영역 평가를 도입한 본래 취지를 구현하려면 비교과영역 성취를 포착할 수 있는 방법을 좀 더 다양화하고, 가정배경과 같은 요인의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학교차원의 지원을 확대하는 등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awards records, as identified by Korean high school teacher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evaluating a student’s potential and the experience of school officials for leadership assessment in the wake of the expansion of the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high GPA, self-efficiency, parent-child relationship, a higher level of parental support and interest and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 to the experience of officials. On the one hand, the probability of receiving an award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has somewhat distinction depending on inside and outside school or the awards field. Generally, however, while key subjects are affected by high GPA and reading enjoyment, in the case of the others, reading enjoy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within the restricted extent and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plays a relatively important ro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hievement in extra-curriculum fields is not irrelevant to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as are academic subj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value of diversification of awards field, readership assessment and the school-based extended support.

      • KCI등재

        가정배경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양식이 학생-교사 관계 및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유백산(Yu, Baeksan),신수영(Shin, Suye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4

        본고는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가정배경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양식이 학생-교사 관계 및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가설과 문제를 수립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부모-자녀 간에 개방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수준은 학생-교사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며, 이렇게 강화된 학생-교사관계는 직업포부수준에도 유의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목도되었다. 이 과정에서 가정의 SES→개방적 의사소통→교사관계 그리고 개방적 의사소통→교사관계→직업포부수준 사이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가정배경 수준에 따라 부모-자녀 사이의 의사소통양식이 상이한 양상으로 존재하며, 이것이 계층 간 자녀의 성취격차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 내 의사소통양식에 따른 청소년들의 성취격차 완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언하였다.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styles on teacherstudents relationships, and occupational aspirations amo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parents’ SES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open family communication styles were. In addition, the open family communication style affected the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and this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Furthermore, the Sobel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open family communication style was a significant mediator of the effect of parent’s SES on the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There were also indirect influences of the open family communication style on occupational aspiration through the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exists in a different form when it comes to parent’s SES, and this can lead to an achievement gap between classes. From this finding, several policy measures have been proposed to mitigate the gap between youth achievement levels.

      • KCI등재

        그릿이 아동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임혜정(Hyejung Lim),유백산(Baeksan Yu)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2

        본고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초4패널 1, 2차 자료를 사용하여 아동들의 그릿수준과 주관적 웰빙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수의 국내 선행연구들이 아동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해왔으나 그릿의 개념을 아동의 웰빙 증진 가능성과 연계시킨 실증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수준에서 수집된 대표성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학교고정효과 모형을 적용, 주관적 웰빙 지표를 국제적 척도 기준에 맞춰 다각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의 그릿-흥미유지와 삶의 만족도 그리고 그릿-노력지속과 학교만족도와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분석된 결과는 누락변수 편의에도 일정 부분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그릿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개입이 적기에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그릿 증진방안을 제안하고, 가정 및 지역사회 지원의 필요성 또한 제기하였다. Despite the growing concerns about child well-being and mental health in many developed nation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grit influences child subjective well-being. Moreo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relied on cross-sectional analyses focusing on a single measure of child well-being such as life satisfaction or happiness. To address these issue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 multilevel school fixed-effects model framework employing various child well-being indicators (e.g., school satisfaction, peer/teacher relationships, subjective health). Results based o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2019)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hild grit-interest and life satisfaction, and grit-effort and school satisfaction. The observed findings are also robust to unobserved confounding.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

        희은(Heeeun Yoo),유백산(Baeksan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지금까지 국내 몇몇 연구들이 문화 예술경험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아동··청소년들의 교육적 성취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고하였으나 특정 지역 및 집단만을 대상으로 한 상관관계 분석 수준의 연구들이었다. 이에 본고는 성별, 가정배경, 지역에 따른 청소년기 문화 예술경험 격차를 대표성 있게 수집된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의 종단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확대되어가는 한국사회의 교육불평등 문제를 이해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1패널(N=2,590)을 사용하여 청소년기 문화··예술경험과 행복감,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등과 같은 정의적 측면과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고정효과모형을 적용, 측정오차와 관측되지 않은 시간불변 혼동변수의 영향력을 통제하였으며 추가분석을 통해 결과의 강건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기술통계 분석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그리고 부모의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문화·예술경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문화·예술경험과 정의적 성취의 정적인 관계는 남학생에게서 두드러졌다. 구체적으로 남학생의 경우 작년 한 해 동안의 문화·예술경험과 현재의 삶의 만족도, 행복감, 자아존중감과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창의성 변수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서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는 사회계층에 따른 문화 예술경험 격차와 청소년들의 정의적 발달과 문화··예술경험의 종단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공교육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parities i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It seeks to clar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affective achievements, shedding light on the growing issue of educational inequality in Korean society. Method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Middle School Panel,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fixed effects were appli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affective aspects such as happines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and those with parents of higher educational and income level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Meanwhil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affective achievements was more pronounced among male students. Specifically, for male stud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during the past year and current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self-este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creativity was positively significant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Conclusions Th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e gap i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across social classes, an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and adolescents' affective development. It supports the need for enhanced accessibility to cultural and art education through public educa-tion systems.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집중지원 학생의 인지적ㆍ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서울시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백병부(Baek, Byoung-Bu),김정숙(Kim, Jung-Sook),유백산(Yu, BaekS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집중지원을 받는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경향점수매칭 방법을 통해 내생성에 따른 선택편의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분석 결과 집중지원은 대상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거나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집중지원은 인지적 학업성취의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개념과 성취목표의 향상에는 유의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 사업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특히 과거에 교육복지 학교가 독점하고 있었던 교육복지적 마인드나 프로그램의 수월성이 사라져가고 있고, 교사들의 관심과 열의와 감소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사업 추진의 방법과 내용에서의 질적 전환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집중지원 대상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낙인효과와 프로그램 참여 기피 경향을 예방하기 위해 선별적 복지에서 보편적 복지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target of concentrated support using SELS data. This study tries to minimize the selection bias resulted from endogeneity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s employ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concentrated support has nega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growth an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affective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renew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in general. In specific,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licy change and renewal of methods and contents in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because there have been no longer monopolistic status since lots of similar programs implemented in the other schools for the disadvantaged. In addition, teachers' interests and passion in educational welfare schools have been decreased. Furthermore, it is urgently needed to move into general welfare program from selective welfare program which can cause stigma effects and unwillingness of program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