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프랑스의 초등 교과서 문법 교육 비교

        유미향 ( Mi Hyang Yu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4 No.-

        본 연구는 한국의 초등 국어의 문법 영역을 구현하기 위해 프랑스의 블랭 출판사의 초등 문법 교과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현행 한국의 초등 국어 교과서 속에 문법 교육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살펴보고, 이를 프랑스의 초등 문법 교과서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개발하는 초등 국어의 문법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기하였다. 첫째, 새로운 국어 교과서 편제를 재고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행 국어 교과서는 기능 중심의 분권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1 교육과정의 국어교과는 ``국어``와 ``국어생활``이라는 교과서 편제를 갖게 된다. 이전과는 차별된 형태를 위하여 본교재와 보조교재식의 구성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교과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프랑스의 초등 국어 교과서 편제인 ``문학(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구성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 국어의 문법 영역을 구현하는 단원을 재고해야 한다. 현행 초등의 국어 교과서 단원은 영역 간의 통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문법 영역은 통합의 정도가 매우 약하며,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이 제대로 반영된 예가 드물다. 그러므로 문법 영역이 갖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다면 내용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문법 단원이 필요하다. 셋째, 문법 영역의 세부 내용 요소를 재고해야 한다. 현재의 초등의 문법 교육은 중등 교육과정과 같은 세부 영역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 체제나 단원 구성 방식과 매우 다르다. 교과서 편제상으로 문법 영역은 어느 곳에서 속하지 못하며, 또 각각의 세부 영역은 학년별, 학기별로 반영하고 있는 성취기준이 불규칙적이다. 그러므로 초등 문법 교육에 필요한 실제적인 학습을 위해 세부 내용 요소를 재편하야 할 것이다. 2011 교육과정이 반영된 국어 교과서는 새로운 책제로 인하여 내적 변화의 시도, 문법 교육의 세부 영역 확보, 문법 영역이 반영된 교과서 단원 구성 등에 대한 의견을 제기하였다. 그러므로 초등 국어의 문법 교육을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한 시점이다. 앞으로 변화될 교과서 편제가 외형적 변화가 아닌 국어 교과의 내적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을 기대하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French textbook and curriculum with the purpose of further diversifying and developing the Korean grammar curriculum and elementary textbooks. It focuses on the view of grammar of textbook systems and unit composing system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article provides Korean education with some important implications: (1) To reconsider the new construction of textbook. It has two kinds of external structure in new Korean textbook:the one is Korean, the other is living Korean. However, it has no information how to organize and where to arrange grammar education. (2) To reconstruct the grammar unit for new textbook. Actually the grammar education is of little importance in elementary textbook. Therefore it needs to study deep on how to make the integration unit. (3) To reconsider the contents of grammar curriculum. The grammar education in french curriculum has four sub-domains:grammar, orthography, vocabulary, conjugation. Thus, it has been constructed a grammar unit that integrated with four sub-domains. Now, the new elementary textbook is being developed in Korea. It needs more to focus on the grammar education of the elementary textbook while the former textbook didn`t do. There has studied deep on the grammar education how to make the contents of textbook and where to make the grammar unit.

      • KCI등재

        프랑스의 자국어 교과서 문법과 읽기 영역 분석

        유미향 ( Mi Hyang Y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2 한국어문교육 Vol.11 No.-

        본 연구는 새로운 국어 교과서 개발을 위해 외국의 사례인 프랑스의 자국 어 교과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전제로 해당 국가 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정책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프랑스의 자국어 교과서의 문법 영역과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한국의 교과서 개발 에 대한 여라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자국어 교과의 성격을 재고할 수 있다. 프랑스는 2008년 개정 교육 과정 이후, 프랑스의 자국어는 예술사를 하위 영역으로 도입하였고, 읽기의 내용 요소를 학년별 문학 작품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자국어 교과가 지닌 문화적 성격이 강화되었음을 보야 준다. 또한 프랑스의 자국어는 문법을 매우 강조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단원을 구성하고 있다. 둘째, 하위 영역 범위와 내용 요소를 재고할 수 있다. 한국의 ``문법`` 영역 과 유사한 언어 학습은 세부 영역인 문법, 철자법, 어휘를 갖고 있으며, 타 영역에 비해 그 비중이 매우 높다. 또한 세부 영역은 학년에 따라 쓰기, 읽기와 연계할 수 있는 내용 요소를 갖고 있다. 셋째, 하위 영역 간의 통합을 재고할 수 있다. 프랑스의 교육과정은 그 내 용이 매우 간략화 되어 있으며, 하위 영역 간의 통합을 위한 내용 요소나 교수·학습 방법이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영역 간의 통합은 교과사 단원 구성에서 직접 드러나는데, 통합의 정도나 방법이 매우 다양하다. 넷째, 단원 구성을 재고할 수 있다. 프랑스의 교과서는 단원 구성 요소가 출판사 학년, 제재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예술사나 이미지 읽기를 중심 제재로 하는 앍기 단원은 소단원을 5개 이상 갖고 있으며, 단원 구성 요소도 일정하지 않다. 프랑스의 교과서는 단원의 특성에 따라 자유로운 단원 구성 방식과 체제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단원의 제재를 재고할 수 있다. 프랑스의 읽기 영역은 문학 텍스트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소단원 제재를 문학 텍스트의 l-2쪽의 분량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나머지 분량은 제재 읽기 후의 학습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비문학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를 구별하는 한국의 읽기 영역 과는 매우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다. This study is about the french vernacular textbook and curriculum with the purpose of further diversifying and developing the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Korean education with some important implications: (1) To re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subject: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emphasizes knowledge and cultural value in France. Therefore it contains art history as subordinate section and the list of many literary works in reading section. (2) To reconsider th subordinate sections of vernacular subject: Them are two kinds of unit in French textbook one is a grammar section(language study) unit, the other is a reading section unit Moreover the vernacular textbook emphasizes a grammar section that has orthography, vocabulary, grammar(such as sentence) for sub-section. in case of reading section unit, it has many literary works for reading text (3) To make the many kinds of integrative unit in textbook: It is found that them are many methods of combining subordinate sections in unit However, grammar section is distinguished from reading section by the method (4) To reconsider how to arrange units in textbook and organize the unit cont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nit it has many different arrangement for constructing the unit contents in French textbook (5) To re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ext in reading unit: There has many kinds of text genre and images(picture, photo, movie and so on) that mule the textbook more interesting and attractive.

      • KCI등재

        어문 규범 영향 평가의 개념 및 연구 방법

        이관규 ( Kwan Kyu Lee ),유미향 ( Mi Hyang Yu ),박보현 ( Bo Hyun Park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50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perform and what kind of methods to use for the language norms impact assessment. For this objective, this study has to analyze 4 major language norms impact assessments that had been already implemented in 2010, 2011, 2012 and 2014 on account of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in 2005. Before analyzing each impact assessment, we needs to prepare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language norms impact assessment. We have to reconstruct the table 2.2.1 in Canter(1997, p. 48) in applying for the language norms impact assessment as choosing three general procedures and twelve types of methods in arranging them. There are several results after analyzing existing language norms impact assessment through the new table. It can be summarized like this: Those language norms impact assessments were not fulfilled completely in that they had no impact evaluation or impact prediction after carrying out impact identification. They focused on impact identification as the first stage. They did not try to utilize more various and effective methods except questionnaire and literature researching. Because they started to enforce the law without scrutinizing whole aspects of relative fields. We need to survey the valuable theoretical basis for methodology and procedure for the newly emerging language norms impact assessments.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관리시스템 활용 사례 연구 -블랙보드(Blackboard)를 중심으로-

        이소라 ( So Ra Lee ),정인경 ( In Kyung Chung ),유미향 ( Mi Hyang Yu ),김중신 ( Jung Sin Kim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6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습관리시스템 블랙보드(Blackboard)를 활용한 사례를 소개하고, 블랙보드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성과 및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면대면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학습 주체 간 상호 작용이 저조하며,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갖고 있다. 이러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갖는 문제점 과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블랙보드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수업 전, 중, 후의 진행 맥락에 따라 블랙보드를 활용할 수 있는 사례를 제안하고, 글쓰기 수업에서 블랙보드를 활용한 성과 및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해 보면 블랙보드는 글쓰기 과정에서 교수·학습 주체의 상호작용 강화 측면과 피드백의 활성화를 통한 글쓰기 밀착 지도 측면에서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미래지향적 학습관리시스템의 도입의 필요함을 시사하고, 소통 중심의 밀착 지도형 대학 글쓰기 교육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was to introduce cases that Blackboard a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has been used for developing academic writing proficiency and to disclose educationally good results and significance of using Blackboard in college writing. Blackboard Learn platform has been used primarily for online or blended learning, supporting the placement of course materials online, associating students with courses, and medi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s as well as their instructor etc. in oder to enhance and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in classroom teaching. This essay also tried to establish a categorial model, "Before instruction" "In instruction", and "After instruction" to interro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cases when Blackboard was utilized for college writing.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Blackboard carried out the effective function medi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s as well as their instructor in aspect of the developable management. Second, Blackboard could have implications for providing feedback in aspect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Here was to study effective strategy to introduce LMS as future-oriented educational technology. A instructional design guideline was propos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interactivity and communication in college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