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유두한(Yoo Doo Han),홍덕기(Hong Deok Gi),황선정(Hwang Sun Ju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4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만 3~10세 뇌성마비 아동 87명의 감각처리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보호자를 대상으로 동의 후에 평가용지와 평가지침서를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해 작성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Winstep 3.81을 통해 라쉬분석을 실시하여 항목과 대상자의 적합성, 항목의 난이도, 평정척도의 적합성, 대상자와 항목의 분리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87명의 뇌성마비 아동 중에 4명의 아동이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났다. 부적합한 대상자를 제외한 83명의 대상자로 항목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15개 항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항목의 난이도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비해 낮은 난이도의 평가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높은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프로파일의 평정척도 분석결과에서는 5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점 척도의 항목과 대상자에 대한 분리신뢰도는 0.90 이상 값으로 우수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난이도가 높은 새로운 평가항목의 개발과 3점 척도의 점수체계 변환으로 타당도가 검증된 감각프로파일의 임상적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 congenital cerebral palsy. Parents of 87 children(the ages of 3 to 10) with congenital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Winstep version 3.81 using the Rasch model to examine the uni-dimensionality of the fit of each item, the distribution of difficulty of each item, and the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rating scale. Based on a Rasch analysis, four out of the 87 children were considered to be inappropriate participants, and 15 item of the Sensory Profile was determined to be an inappropriate item. The items of high-level difficulty are needed as new items of the Korean Sensory Profile. The rating scale of three categories were appropriate than those of the five categories. The person and item separation reliability of three categories was above 0.90, which is a relatively excellent value. Finally, it will be need to verify of validity for Korean version of Sensory Profile, to develop new item of a high level of difficulty and convert into three point rating scale.

      • KCI등재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시골지역 거주 장애인의 버스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

        유두한,박헌경,전병진,Yoo, Doo-Han,Park, Hun-kyung,Jeon, Byoung-Jin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목적 : 본 연구는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에 관한 경험을 이해하고, 버스의 이용에서 성공적인 전략을 통해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에 대한 행동과 언어 그리고 그 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연구 중 현상학적 접근법과 해석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참여자에 대한 인터뷰,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현상학적 방법과 해석학적 방법을 통해 기술과 해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에서 보행 가능한 장애인은 버스 이용에 대한 자신감이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 버스 탑승과 하차의 긴박한 승부의 순간에 버스 안에서 좌석을 이용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돌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항시 긴장을 놓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버스 이용 시 좌석에 앉기와 이동 시에 환자의 부담감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 :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에 있어 자신감이 독립적인 이동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항상 넘어짐에 대한 경계를 하고 여러 심리적 어려움과 돌발 상황을 예측하고 극복하며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taking a bus, investigate successful strategies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 : In this study, a phenomenological and hermeneutic approach was use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the language, the process. For participants throug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data were collected.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way through technology and to evaluate the results. Result : Ambulatory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have confidence in the bus-independent movement in the community possible. And get on and off the bus at the moment of urgent strategies to use in the bus seats were taken. To cope with unexpected situations like that do not put stress was confirmed. In addition, by bus and go sit on the seat to look at the patient's burden was to. Conclusion : Ambulant disabled people's confidence in the bu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dependent movement. Always on the lookout for falling, and many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to overcome unforeseen circumstances to predict and know that public transportation could be.

      • KCI등재

        후천적 장애인이 이성과의 관계 맺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헌경,문정인,유두한,Park, Hun-Kyung,Moon, Jung-In,Yoo, Doo-Han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목적: 본 연구는 후천적 장애인이 이성과의 관계 맺기에 대한 장애인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성과의 관계 맺기 속에서 일어나는 경험한 내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후천적 장애인들의 경험과 감정, 그 과정에 대한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 현장 기록, 기술적 관찰 일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후천적으로 장애를 갖게 된 대상자들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특히 이성과의 관계 맺기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대상자 8명의 심층 면담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6가지의 주제 모음 1) 진단에 대하여 다양한 심리적 반응 2) 보호자 및 이성의 다양한 심리적 반응 3) 적극적인 지지를 통한 재활 의지변화 4) 장애를 갖게 된 이후 사회성 결여 5) 재활을 통한 자신감 변화 6) 이성에 대해 다양한 생각이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후천적 장애인이 이성과 관계 맺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및 감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유용하다. 이성과의 관계 맺기는 다른 어떤 사회속에서의 상호 작용하는 행위보다 의미가 있다. 관계 맺기 과정에서 갈등이 존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의 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emotions of disabled in starting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and disclosing experienced events related to starting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Methods : In order to gain an understanding of experience, emotions and process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y, phenomenological study, a form of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Data on subjects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the-scene recording and technical observation diary, etc and were analyzed through Colaizzi'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Results : Subjects who had acquired disabilities experienced changes in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spects and especially in the course of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of 8 subjects were analyzed 6 types of subject themes were derived. 1) Diagnosis of varying psychological reactions. 2) Various psychological reactions of parents and the other gender. 3) Through aggressive support rehabilitation volition will change. 4) After you have a disability as a lack of social skills. 5) Changes in confidence through rehabilitation. 6) the other gender for the different ideas. Conclusion : This research is valuable in presenting important data in understanding problems and emotions of relationships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with opposite gender. Starting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has more meaning than any other interacting activities in society. Conflicts exist in starting relationships and support programs for various specialists are indispensable.

      • KCI등재

        치매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다중언어 사용에 관한 체계적 고찰

        임영명(Young-Myoung Lim),유두한(Doo-Han Yoo),문민호(Min-Ho Mon),함민주(Min-Ju Ha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3

        본 연구는 다중언어 사용에 따른 치매와 경도인지장애의 발병 지연효과와 인지적 예방 효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들을 체계적 고찰 하였다. 자료검색은 MEDLINE, CINAHL, Cochrane Library,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 연구는 총 10편이었으며, 방법론적 질 평가, PICOS 방법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분석결과, 발병연령에 대한 지연효과는 증상 및 진단시점(최대 7.4년)과 연구보고시점(최대 7.1년) 모두 단일언어군보다 다중언어군의 연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병연령과 관련된 잠재적 요인들의 영향과 인지적 예방 효과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는 일관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모국어 이외에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것은 치매와 경도인지장애 발병을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결과가 우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잠재적 요인과 인지적 예방에 대한 이점은 명확한 결론을 짓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향후 다중언어 사용에 따른 발병연령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 요인을 구분하고, 언어구사 능력에 따른 효과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ystematic reviewed retrospective studies on the age of onset and cognitive reserv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due to multilingual use. For data search, databases of MEDLINE, CINAHL, Cochrane Library, and Library, and PubMed were used. A total of 10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the data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systematic by quality assessment and PICOS. As a result, the delay effect on the age of onset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multilingual group than in the monolingual group at both the time of symptom and diagnosis(up to 7.4 years) and the time of research report(up to 7.1 years). The effects of potential factors related to age of onset and the significant results of effectiveness on cognitive were found to be inconsistent. Accordingly, it has been shown that speaking a language other than the mother tongue can delay the onset of MCI and dementia, and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ve result prevail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draw a clear conclusion about the potential factors and the benefits for cognitiv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assify potential factors affecting the age of onset according to the use of multilingual and analyze the effect according to language proficiency.

      • KCI등재

        원격재활 기반 작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성순(Park, Seong-Sun),김수경(Kim, Su-kyung),유두한(Yoo, Doo-Han),김 희(Kim, He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1

        목적 : 본 연구는 원격재활에 기반 한 작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재활병원에 외래로 통원하는 환자 30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5명씩 무작위 할당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 집단과 실험군의 중재는 모두 주 3회 18회기로 실시하였다. 실험군 15명에게는 전통적 작업치료와 함께 더불어 가정에서의 원격재활 기반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대조군 15명은 전통적 작업치료만 실시하였다. 실험 참가자의 실행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실행기능 수행평가 한국판(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 Korean version; EFPT-K)으로 측정하였고,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작업수행은 클라이언트 중심의 과제수행을 측정하기 위해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이용하였다. 결과 :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실행기능,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수행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p<.05),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작업수행에서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증진이 나타났다. 결론 : 원격재활과 작업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작업치료에 병행된 원격재활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에 추가적인 효과가 있음을 근거로써 제시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lerehabilitation on execu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 outpatients with stroke residing in community. Both groups underwent the intervention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18 sessi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elerehabilitation was administered at home to only fifteen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chedule, and it was supervised by the caregiver. Fifteen people in the control group underwent only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Executive func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 (EFPT-K). The basic daily activities of living were assessed using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was used to evaluate the client-centered occupational performance.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improvements in execu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Occupational performance improved more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ele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therapy positively affect execu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stroke. We suggest that telerehabilitation combined with occupational therapy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 KCI등재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들이 경험하는 ‘먹기’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홍덕기 ( Hong Deok-gi ),전병진 ( Jeon Byoung-jin ),유두한 ( Yoo Doo-ha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연하장애를 경험한 환자들에게 ‘먹기’는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연하장애를 경험한 뇌졸중 환자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로부터 얻은 원 자료는 현상학적 방법 중 Colaizzi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료에서 94개의 의미 있는 진술들을 찾아냈고, 69개의 구성된 의미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의미에서 16개의 주제를 선정하고, 6개의 주제묶음으로 분류하였다. 최종적인 ‘먹기’의 범주로 생존, 맛의 즐거움, 기본적 욕구, 재활의지로 조직화 하였다. 연하장애 환자의 ‘먹기’에 대한 의미를 최종적으로 기술 하면, 먹기는 생존을 위해서 필수적이고, 맛의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며,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그리고 먹기는 재활을 위해 체력을 회복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연하재활을 수행하는 임상전문가는 연하장애 환자의 먹기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심리ㆍ정신적 지지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eating’ means to patients experiencing dysphagia.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5 stroke patients who experienced dysphagia. The raw data obtained from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nalys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Ninety-four significant statements were found in the raw data, and sixty-nine formulated meanings were derived. Sixteen themes in the derived meaning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n classified into six theme clusters. Survival, pleasure of taste, and rehabilitation will were organized into the final category of eating. To finally describe the meaning of eating for dysphagia patients, eating is essential for their survival, makes them feel the pleasure of taste, and satisfies human basic needs. Eating is also a means of regaining the strength needed for rehabilitation. Therefore, clinical professionals who perform swallowing rehabilitation sh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eating for dysphagia patients and provide them with necessary psychological and mental support.

      • KCI등재

        치매환자의 디지털 헬스를 이용한 재활치료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홍서진(Seo-Jin Hong),이재신(Jae-Shin Lee),김희(Hee Kim),유두한(Doo-Han Yoo)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4

        목적: 디지털 헬스를 이용한 재활치료가 치매환자의 인지 기능, 우울,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들에 대해 고찰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외, 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0년 1월부터 2022년 5월까지의 연구 중 총 15편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선정하였다. Pedro scale을 통해 문헌의 질을 확인하였고, 디지털 헬스를 이용한 재활치료가 치매환자의 인지 기능, 우울, ADL, IADL,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검정하고자 R 4.2.0을 사용하여 효과크기, 통계적 이질성, 출간오류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선정된 15편의 논문의 평균 Pedro scale은 6.4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에 속했으며, 15편의 연구는 전산화 인지재활 6편, 가상현실을 이용한 중재 5편, 원격재활 2편, 디지털 회상치료 1편, 로봇 1편으로 구성되었다. 메타분석 결과, 치매환자의 인지 기능(0.30, p = 0.01)과 우울(-0.71, p < 0.0001)에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ADL (0.41, p = 0.26), IADL (0.20, p = 0.34), 삶의 질(0.31, p = 0.11)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치매환자에게 디지털 헬스를 이용한 재활치료는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지 기능 감소와 우울 증상을 보이는 치매환자의 재활을 위해 디지털 헬스를 이용한 중재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previous reports confirming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using digital health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dementia. Methods: Fiftee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selected among studies from January 2010 to May 2022. The quality of the published literature was assessed using Pedro scale. Additionall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R version 4.2.0, and publication bias was investigated. Results: The average Pedro scale score was 6.4 points. Of the 15 studies, six use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five used virtual reality intervention, two used telerehabilitation, one used digital reminiscence and one was robot intervention. This meta-analysis revealed medium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0.30, p = 0.01) and depression (-0.71, p < 0.0001) in people with dementia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DL (0.41, p = 0.26), IADL (0.20, p = 0 .3 4), or quality of l ife (0.3 1, p = 0.11). Conclusion: Digital health rehabilitation improves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individuals with dementia. Therefore, interventions using digital health will be useful for people with dementia, reduced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