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적교합 동안 힘껏 삼키기가 건강한 성인의 목뿔위근, 목뿔아래근, 깨물근의 활성, 근 활성 시작 시간 및 활성기간에 미치는 효과

        허원영 ( Won-young Heo ),문종훈 ( Jong-hoon Moon ),김택훈 ( Tack-hoon Kim ),원영식 ( Young-sik Won ) 대한신경치료학회 2021 신경치료 Vol.25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the onset time, and the duration of the suprahyoid, infrahyoid, and masseter muscle of effortful swallowing with static occlusion in healthy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 healthy adults. In this study, four swallowing methods were compared. Normal swallowing (NS) (5 times), normal swallowing with occlusion (NSO) (5 times), effortful swallowing (ES) (5 times), and effortful swallowing with occlusion (ESO) (5 times) were counterbalanced to exclude the order effect. NS (5 times), NSO (5 times), ES (5 times), and ESO (5 times) were counterbalanced to exclude the order effect. The time interval between each swallow was 30 seconds, and a rest of 5 minutes was provided between swallows according to each state. The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analyze the activity of the suprahyoid, infrahyoid, and masseter muscles activation, onset time, and duration. Results The activity of the suprahyoid muscle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swallowing methods (p<.05). The activity of masseter muscle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swallowing methods in ESO (p<.05). As a result of onset time analysis, ESO, ES, and NSO appeared significantly faster than NS in the suprahyoid muscle (p<.05), and among them, ESO appeared the faste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wallowing duration, ESO was the longest in the suprahyoid muscle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SO may be more effective in response time to swallowing than conventional ES or NSO.

      •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문종훈(Jong Hoon Moon),원영식(Young Sik W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7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 동안 모두 동일하게 보편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를을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구강 구조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선별검사의 하위항목인 구강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였다. 조음교대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속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구강 구조 및 기능, 교대운동속도, 연속운동속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강기능과 교대운동속도의 /퍼/와 /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은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기능과 조음기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Present study participated in fourtee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All subjects assigned that randomized each seven pati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ubjects of two groups received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dditionally that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supervised under caregivers, during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were the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of subscale for KOMSE(: Korean Oro-motor Mechanism Screening Examination), AMR(: Alternating Motion Rate), SMR(: Sequential Motion Rate). In results, Both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in all assessments(p<.05). In comparison of change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control group in oral cavity function, /pə/ and /tə/ of AMR(p<.05). We suggested that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the improvements of oral cavity and articulator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

        문종훈(Jong Hoon Moon),원영식(Young Sik W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8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간 주 5회, 하루 30분의 보편적인 삼킴장애 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결과측정은 흡인-침습 척도, 후두계곡 잔여물, 조롱박오목 잔여물, 혀의 최대 등척성 압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그룹은 중재 전과 후에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후두계곡 잔여물과 혀의 최대 등척성 압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은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두 내 잔여물 감소와 혀 근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on swallowing function and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This study participated in sixtee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ll subjects allocated that randomized each eight pati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ubjects of both group received to conventional dysphagia therapy during 30 min/day, 5 times per week,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dditionally that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supervised under caregivers, during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were the IOPI(: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VR(: Vellecula Residue), PSR(: Pyriform Sinuses Residue), MIP(: Maximum Isometric Pressures). In results of study. Both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in all assessments(p<.05). In comparison of change score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control group in PSR and MIP(p<.05).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suggested that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the reduction of residue in pharynx and improvements of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KCI등재

        건강한 성인의 정상삼킴과 노력삼킴에서 목뿔위, 깨물, 입둘레근의 활성 차이

        문종훈(Jong-Hoon Moon),원영식(Young-Sik W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노력삼킴이 건강한 성인의 목뿔위, 깨물, 입둘레근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하였다. 젊고 건강한 참가자(평균나이 25.27±2.19세) 20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은 정상삼킴과 노력삼킴을 3회씩 총 6회 삼켰다. 참가자들은 정상삼킴과 노력삼킴을 각각 무작위 순서로 실시하였다. 목뿔위, 깨물, 입둘레근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여 평균값과 최대값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정상 삼킴과 노력삼킴에 대한 근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였다. 노력삼킴은 목뿔위근의 평균값과 최대값, 그리고 입둘레근의 평균값에서 정상삼킴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p<.05). 깨물근에서 노력삼킴과 정상삼킴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노력삼킴이 삼킴장애 환자의 치료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identified to effects the effortful swallow on suprahyoid, masseter, orbicularis oris muscle activity in healthy adults. Twenty healthy participants recruited our study (mean age 25.27±2.19). All participants are swallowed three times a total of six times swallowing saliva for each method. participants was performed two swallowing, randomized order of each swallowing performed. Activity of suprahyoid, masseter, orbicularis oris muscle was analyzed utilizing surface electromyography. Statistical analysis was analyzed by Paired t - test. Effortful swallow was significantly greater activity in suprahyoid, orbicularis oris muscle than normal swallow(p<.05). In masseter muscle activity for effortful swallow and normal swallow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p>.05). We suggest that effortful swallow may be a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muscles related to swallowing.

      • KCI등재

        뇌졸중 환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손 기능, 균형, 일상생활의 비교 및 상관관계

        문종훈(Jong-Hoon Moon),원영식(Young-Sik Won)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21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손 기능, 균형, 일상생활의 비교와 상관관계를 알고자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인천에 소재한 I병원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우세손이 오른손인 뇌졸중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한 평가는 대상자들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기위하여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우측과좌측의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젭슨 기능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버그균형척도를사용하였으며, 일상생활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판 수정바델지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인지기능은 나이와 손상측, 손상위치에 따른 유의한차이가 있었다(p<.05). 우측과 좌측의 손 기능은 손상측에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균형은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5). 일상생활의 총점은나이와 발병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상관분석에서 일상생활의 총점은 인지기능, 우측 손 기능, 균형과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일상생활의 하위 항목과 인지기능은 일상생활의 의자차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우측 손 기능은 일상생활의 하위항목인 개인위생, 식사하기, 용변처리, 옷 입기, 대변조절, 소변조절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좌측 손 기능은 일상생활에서 이동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p<.05). 균형은 일상생활의 모든 항목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환경에서 재활치료를 받고있는 뇌졸중 환자들의 치료목표와 계획을 설정하는데 도움이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hand function,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The current study included 50 right-handed patients who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Incheon. The measured evaluations used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cognitive function. The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was used for right- and left-hand functions. The Berg Balance Scale was used to balance the subjects, and the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was used for ADL.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ge, lesion side, and lesion loc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 hand function of the right and left sides according to the lesion sid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p<.05). Bal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 total ADL score according to age and onset perio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total score of ADL, cognitive function, hand function on the right side, and balan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5). All subscales of ADL and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except for the ADL wheelchair (p<.05). Hand function on the right sid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 hygiene, feeding, toilet, dressing, bowel control, and bladder control in the ADL subscales (p<.05). The hand function of the left sid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ransfer of ADL (p<.05). Balance and all subscales of AD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setting treatment goals and plans for stroke patients undergoing clinical rehabilitation.

      • KCI등재

        뇌졸중 노인의 기능적 독립수준과 인지기능 및 우울증간의 상관관계

        조남주 ( Nam Ju Cho ),원영식 ( Young Sik Won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5 No.1

        목적: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수준(FIM), 인지능력(K-MMSE), 우울증(GDS)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60세 이상 뇌졸중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FIM과 K-MMSE, FIM과 GDS, K-MMSE와 GDS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FIM의 세부항목 중 K-MMSE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과 K-MMSE의 세부항목 중 FIM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그리고 K-MMSE와 FIM의 각 세부항목에 대한 GDS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을 위하여 단순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IM과 K-MMSE, FIM과 GDS, K-MMSE와 GDS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FIM, K-MMSE, GDS 세부항목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FIM, K-MMSE, GDS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세부항목을 분석한 결과, FIM은 K-MMSE의 시간 지남력, K-MMSE는 FIM의 의사소통, GDS는 FIM의 의사소통과 K-MMSE의 시간 지남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다. 결론: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와 우울증까지 고려된 포괄적인 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동작을 최대화 시킬 수 있다. Objective: In order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unctional independence, the cognitive function and the depression. Metho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FIM and K-MMSE, FIM and GDS, and K-MMSE and GDS were calculated. To find the primary detail factors affected on each measure, the simple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lso used by using the SPSS version 12.0.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IM and K-MMSE, FIM and GDS, and K-MMSE and GDS. 2) There were stastisti 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details of FIM, K-MMSE and GDS 3) In the analyses of the primary detail factors affected on FIM, K-MMSE and GDS, FIM correlated with the orientation of time of K-MMSE. K-MMSE correlated with the communication of FIM. GDS correlated with the communication of FIM and the orientation of time of K-MMSE. Conclusion: The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treatment on not only function but also the cognitive feature and the depression have to be optimized and considered to result more independent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인지 기능, 구강 구조와 기능, 구강안면 근력, 삼킴 수용력의 비교 및 상관관계

        박희수(Park Hee-Su),원영식(Won Young-Sik),김민정(Kim Min-Jeong),문종훈(Moon Jong-Hoon) 대한치료과학회 2020 대한치료과학회지 Vol.12 No.1

        Objectiv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nd comparison among cognitive functi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orofacial strength, swallowing capac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stroke. Method: Fifty four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present study. Korea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to measure cognitive function, Korean Oromotor Mechanism Screening Examination(KOMSE) to assess oral structure and function, Tongue Pressure Strength(TPS-100) was used to measure oral and facial muscle strength, and Swallowing Capacity Test(SCT) was used to verify swallowing capacity. Results: The age, oral and facial muscle strength in the study subjec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wallowing capacity(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wallowing function is related to age and orofacial strength of stroke patients.

      • KCI등재

        테블릿 pc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및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문종훈(Jong Hoon Moon),원영식(Young Sik W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테블릿 pc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훈련이 인지 손상이 있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및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인천에 소재한 I병원에 입원 중인 14명의 아급성 뇌졸중 환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14명의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7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모두 전통적인 인지치료를 4주간 주 5회, 1일 30분의 중재를 받았으며, 실험군은 테블릿 pc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훈련을 30분씩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평가는 중재 전과 후에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수정된 바델 지수, 시각 상사 척도를 사용하여 인지기능, 일상생활, 만족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그룹은 중재 전과 후로 몬트리올 인지평가와 수정된 바델 지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몬트리올 인지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만족감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테블릿 pc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훈련은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법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gnitive training using tablet pc applications on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and satisfac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This study participated in fourteen subacute stroke inpatients, in I general hospital, at located in Incheon. All subjects assigned that randomized each seven pati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wo groups received to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during half hour/day, 5 times per week,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dditionally that cognitive training using tablet pc applications for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were the K-MMSE(: Korea-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oCA-K(: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s-Korea), MBI(: Modified Barthel Index), VAS(: Visual Analog Scale) for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satisfaction. In results, Both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in MoCA-K, MBI(p<.05). In comparison of change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control group in MoCA-K(p<.05). In comparison of satisfaction of two groups, both group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p>.05). we suggested that Cognitive training using tablet pc applications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the improvements of cognitive func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KCI등재

        건강한 성인의 Shaker 운동과 수정된 Shaker 운동 동안 목뿔위근, 목빗근, 전사각근, 머리널판근의 활성 차이

        유동완 ( Dong-wan Yoo ),정혜지 ( Hye-ji Jeong ),문종훈 ( Jong-hoon Moon ),원영식 ( Young-sik Won ) 대한신경치료학회 2021 신경치료 Vol.2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aker exercise (SE) and modified Shaker exercise (MSE) on the activity of the suprahyoid (SH), Sternocleidomastoid (SCM), anterior scalene (AS), splenius capitis muscles (SC). In addition, we want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and fatigue during SE and MSE according to forward head posture (FHP). Methods Thirty-nine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SE and MSE isometric exercise, and the exercise sequence was counterbalanced. SE and MSE measured the mean, maximum, and fatigue levels of SH, SCM, AS, and SC muscles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All exercises were repeated 5 times and were performed isometrically for 20 seconds, with an interval of 30 seconds between exercises. A 20-minute break was provided between the two exercises. For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90˚ abduction was performed 3 times based on the middle deltoid muscle. The craniovertebral angle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FHP. Results SH and AS, SC muscles activ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SE than in SE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M muscle activity and fatigue between the two exercises. In SE, the group with FHP less than 50 degre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tivity in SH and SC muscles than the group with 50 degrees or more.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SE can be used a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SH muscles than conventional 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