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매노인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꽃장식의 효과와 꽃의 선호도 조사

        윤숙영,김홍열,--,우태양 한국화훼연구회 2002 화훼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햇빛치매어르신주간보호센터>에 있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꽃장식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꽃장식에서 꽃의 색과 크기의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치매노인 6명을 대상으로 2002년 2월 14일부터 2002년 5월 9일까지 주 1회씩 총 12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모두 여성이었다.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MMSE-K 평가결과 대상자 A는 원예치료 실시 전 13점에서 실시 후 18점으로, 대상자 D는 원예치료 실시 전 5점에서 13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대상자 B는 7점에서 8점으로, 대상자 E는 3점에서 7점으로 향상되었으나 유의차가 없었다. 대상자 C는 원예치료 실시 전 15점에서 실시 후에는 14점으로 오히려 낮아졌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대상자 F는 인지능력이 없는 대상자로서 실시 전후 큰 변화가 없었다. 꽃의 선호도 조사결과 색은 적색과 황색 그리고 분홍색 순으로 선호하였고 크기는 중간형보다는 크거나 작지만 풍성한 꽃을 선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꽃장식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재료는 매회 달랐지만 작품을 구사하여 다듬고, 자르고, 꽂고 하는 반복적인 활동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여 적극적으로 자신감을 갖게 되었으며, 또한 결과물을 가족들과 함께 공유하게 함으로써 가족관계도 개선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research preference of flowers, to analyze the impacts of floral decoration on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ability in the demented old adults in order to develop an more effectiv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the demented old adults. The subjects were made out of the demented old adults who were taken care of at <HABIT Demented Old Adults Day Care Center> located in Icheon-dong, Nam-gu, Daegu Metropolitan City. Total six subjects were included in experiment. They were all female, and their average age was 76.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February 14 to May 9, 2002, total in 12 times. The experiment was only focused on floral decorations. The color and size of flowers were considered to decide the subjects preference. The subjects preferred red and yellow flowers. They also liked big flowers or small but opulent ones. As for floral decoration, the material flowers were different each session. But the subjects were aroused into interest via repetitive activities such as designing their works and arranging, cutting, and putting in flowers. Their active and confident attitudes became evident,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y grew better as they shared their works with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