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활동중심중재가 초등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우지연,이영철 한국특수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학연구 Vol.46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ctivity-based intervention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subjects were sampled among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t Y elementary school in K city, Jeollabukdo considering intelligence quotient, adaptive behavior quotient, sociality quotient, chronological age and so on. The design of the study is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consists of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test in sequence. And they were carried out in the special class of Y elementary school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programs 30times by three times a week(Monday, Wednesday, Friday). The activity-based intervention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not the activity which is designed independently for a special purpose but the activity which consists of various activities to stimulate the interest of children by extracting the contents centering a similar unit or topic among the basic education curriculum and national basic education curriculum related with interacting with others during play, telling information about oneself and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based intervent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action with others during play with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Especially there are significant changes such as responding to affectionate favors of others, greeting to familiar persons first, interacting with others in turn. Second, the activity-based intervention has positive effects on telling information about oneself and others. Especially there are significant changes such as telling one's names and one's and others' genders, listing siblings' names, telling family's titles and birthdays. 이 연구의 목적은 활동중심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은 놀이 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것과 정보말하기에 내용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K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지적장애아동 세 명을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로 Y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실에서 하루에 오전, 오후 2회에 걸쳐 매주 월, 수, 금 세 번씩 주당 6회기를 기본으로 총 30회기를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활동중심중재는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내용 중 비슷하거나 동일한 단원,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아동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계획된 활동으로 자연적인 중재를 의미한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중재는 지적장애아동의 놀이 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활동중심중재는 지적장애아동의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정보말하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교회 교육공간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환경구성

        우지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0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2

        As an element of education, the educational spac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purpose of education. The place of education is not only the passage to deliver actual curriculum, but also the purpose itself that can be accomplished through educational content. That is because the purpose of education cannot be achieved only with instructors, students, curriculum, and methods, but requires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space that represents the goal and the place where it all can be implemented. Nevertheless, the problem that lies with educational space is easy to be overlooked and it has been rather considered as an issue related to the finances or scale of the church.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gives birth to faith and growth, where spiritual development and experience may occur. However, the reality follows the drawbacks of conventional school classroom arrangements and structures. In addition, even if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can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its students, it cannot deviate much from the standard uniform format. In particular, the basic environment of church educational space is similar to that of standard school system in terms of arrangement of furniture such as chairs, desks, and its physical structure. As the school system was originally designed and tailored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knowledge and standardization, the space for church education must stay away from it. Humans are born and die in a space, where encounter with God also happens. Also, communication with God causes spacial conversion to humans, changing the place of their visitation. So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must be more meticulously designed and comprehensive than that of school which pursues physical, educational, psychological, social, and artistic purposes because the church educational space pursues the liturgical elements, as well. Therefore, the Christian learning environmental arrangements must seek liturgical elements, which is the major Christian value, by placing Christian artwork or symbols for church visitors. So in this research, I want to stress the role of Christian educational space for spiritual growth and pursue intrinsic and extrinsic changes in learning environment, leading to a greater awareness of the Christian educational space. 교육의 한 요소로써 교육공간은 교육의 목적과 분리될 수 없다. 교육공간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통로일 뿐 아니라 교육내용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 그 자체이다. 이는 교사와 학생, 교육내용, 방법만 가지고는 충실하게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고 이를 수행하고 대변할 수 있는 교육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공간에 대한 문제는 간과하기 쉬운 주제이고 이를 재정이나 교회 규모와 관한 쟁점으로 미뤄두고 있다. 교회 교육공간은 신앙이 잉태되고 자라는 영적 발달과 경험이 일어나는 곳이다. 그러나 현실은 학교 교실 공간의 배열과 구조가 가진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으며 교회 교육공간을 학습자 중심으로 구성한다고 할지라도 획일적이고 일반적인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학교 교실과 비슷한 교회 교육공간은 의자, 책상 등의 가구 배열이나 물리적 형태의 기본환경이 유사하다. 이는 지식전수, 획일주의 등의 목적에 적합하게 기획된 것이므로 교회 교육공간은 이를 지양해야 한다. 인간은 공간에서 태어나고 죽을 뿐 아니라 하나님과의 만남도 공간에서 일어난다. 그리고 하나님과의 교통은 인간에게 공간적 회심을 일으켜 방문하는 곳이 달라지게 한다. 그래서 교회의 교육공간이 학교 교실보다 더 세심하고 포괄적이어야 하는 것은 교회 공간이 물리적, 교육적, 심리적, 사회적, 예술적 목적을 추구하는 학교와 달리 이 모든 것에 예전적 요소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적 환경구성은 교회를 방문하는 사람에 대한 공간적 배려, 기독교 예술작품이나 상징물 등을 배치함으로 신앙교육의 환경 조성, 공간이 지니고 있는 기독교적 정체성인 예전성을 통해 기독교적 공간의 특성을 추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신앙 발달을 위한 공간의 역할이 있음을 강조하고 내·외재적 교육환경의 변화를 추구함으로 공간문제에 교육적 관심을 기울이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인간 영의 변형을 위한 기독교교육

        우지연,Woo, Ji Yeon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6

        인간은 영적 존재로 하나님과 관계하기 위해 창조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영이 하나님과 대면을 통해 변형되기를 거부하면서 인간의 영은 위기를 경험하게 되었다. 영의 위기는 궁극적 근원이신 하나님으로부터 연결되지 못한 영적 문제로부터 기인한 것이지만 인간은 이러한 부재를 인간의 성취와 기술과 같은 노력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그래서 과학기술시대에 발생하는 인공지능, 로봇, 복제 등의 문제는 인간론과 관련되며, 정신이라 불리는 마음, 혹은 이성적 발전도 세계의 발전 못지않게 파괴와 혼동에 대한 근거를 찾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인간의 마음에 집중한 교육은 온전한 교육이라 할 수 없다. 마음은 인간의 사고와 의지, 신념과 같이 인간 삶을 선택하고 이끌어가는데 주된 역할을 감당하고 있으며 이것은 기독교교육이 아닌 다른 학문의 영역에서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영은 마음과 다르게, 인간의 한 영역을 담당하나 부분적이고 단편적이라 할 수 없고 인간 삶 중심에 영향을 미치는 변형의 중심이 된다. 기독교교육은 다른 학문에서 관심을 기울이는 인간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좀 더 분명하고 단순하게 영에 관심을 기울이고, 하나님과 만남이 인간 영의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즉, 기독교교육은 오늘도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실재 속에 인간의 영이 하나님과 연결되는 통로이며 영을 통해서 보다 완전한 인간 이해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기독교교육은 하나님과 인간의 대면이 일어날 가능성을 높이는 보다 근본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만남이라는 말에는 초대자와 초청자의 상호성이 일어나기 때문에 만남이라는 말 대신 하나님의 주도성을 인정하고 인간을 변화시켜 나가는 주체자로서 하나님을 강조하고자 변형이라 표현하고, 일상에서 하나님과 소통하고 경험할 수 있는 현장으로 예배를 강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인간 영의 변형이 일어나기 위한 준비와 과정을 살펴봄으로 기독교교육이 인간 영의 변형을 목적으로 할 때 이것이 개인적 경험이나 확신으로 끝나지 않고 신앙공동체에서 계속적인 변형의 변형을 이루어갈 수 있는 신학적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Humans are created as spiritual beings that can relate to God. However, when a human spirit refuses to transform through confronting God, it experiences a crisis. A spiritual crisis results from disconnecting with God, who is the ultimate foundation, but we humans try to overcome such absence through accomplishments and efforts. In this technological age, the ethics issues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nd cloning are related to anthropology. The development of the mind, heart, and logic cannot suggest a basis for destruction and confusion as much as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In fact, education focused on the human mind cannot be considered holistic. Mind, together with thought, will, and belief, plays a crucial role in making choices and leading a human life. So it is actively studied in other domains other than Christian education. However, although the human spirit takes care of some territory of humanity, unlike the mind, it can neither be partial nor fragmentary. Instead, it manages the transformation that influences the core of human life. Therefore, Christian education must clearly concentrate on the spirit rather than on other human elements, intentionally concerning spiritual transformation through encounters with God. In other words, Christian education is the passage connecting a human spirit to God's presence at work, which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human being as a whole. For this, we must put our efforts to increase the chances of encountering God through Christian education. While "Encounter" requires both parties' interaction, "Transformation" stresses God as the main agent and His proactive nature. I also want to emphasize "worship" as the opportunity to communicate and experience God in our daily lives. By examining the preparation and the process of the spiritual transformation of humans, this paper would offer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continued transformation of the human spirit in the faith community, rather than personal experience or conviction.

      • KCI등재

        시·도별 특수교육 전공 전문직 배치와 특수교육 예산 및 특수학급 설치율 조사

        우지연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2

        이 연구는 최근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 동안의 특수교육 연차보고서를 중심으로 시·도별 특수교육 전공 전문직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각 시·도 간의 외형적인 변화와 내용적인 변화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5년 동안의 시·도별 특수교육 담당 전문직 현황을 살펴보면 울산이 90%로 특수교육 전공 전문직이 가장 많고 다음은 광주, 제주, 인천, 대전의 순이었다. 둘째, 최근 5년 동안의 시·도별 교육예산 대비 특수교육 예산을 살펴보면 대전이 4.1%로 교육예산 대비 특수교육 예산이 가장 높고 다음은 제주, 인천, 울산, 광주의 순이었다. 즉, 특수교육 전공 전문직이 많을수록 해당 시·도 교육청의 교육예산 대비 특수교육 예산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최근 5년 동안의 시·도별 초등학교 과정 일반학교 대비 특수학급 설치율을 살펴보면 부산이 92.1%로 일반학교 대비 특수학급 설치율이 가장 높고 다음은 인천, 광주, 대전, 대구의 순이었다. 이는 통합교육 측면에서 현재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특수교육 전공 전문직의 교육행정 및 정책의 형성과 집행의 전문가로서의 의지와 긍정적인 마인드에 따라 시·도별 특수학급 설치율도 높아진다는 점을 예견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전공 전문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특수교육행정 및 정책 수행의 집행 전문가로서 본연의 업무에 전념하여 그 결과 특수교육대상자들의 교육의질 개선을 위한 제도를 마련하거나 개선하는 방법의 모색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related with school vice-commissioners, who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and had related certificates, by cities and provinces based on the annual reports of special education for past 5 years from 2007 to 2011 and to examine the formal and content changes in the special education of each city and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current school vice-commissioner condition of special education by cities and provinces for past 5 years, Ulsan had the most professional jobs for special education, 90%, and was followed by Gwangju, Jeju, Incheon, and Daejeon. Second, for the budget related with special education compared with total education budget by cities and provinces for past 5 years, Daejeon had the largest budget for special education compared with total education budget, 4.1%, and was followed by Jeju, Incheon, Ulsan, and Gwangju. In other word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more school vice-commissioners each city has for special education, the more budget it has for special education compared with total education budget of each city or province educational office. Third, for the number of special classes for the handicapped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classes in the elementary schools by cities and provinces for past 5 years, Busan was the highest, 92.1% and was followed by Incheon, Gwangju, Daejeon, and Daegu. It means that although for integrated education, the number of the speci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is increasing, it depends on the will and positive mind as the school vice-commissioners to form and execut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olicy of special education. With these results, I hope that the necessity of special education will be recognized, the school vice-commissioners to execute special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policy will devote themselves to their tasks, and that consequently the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will be arranged and be be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