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주변화가 이주배경 청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 및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태도에 의해 조절된 진로 목표 불일치의 매개효과

        장현진,류예진,왕희찬,연규진,김민선,폴김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3

        This study investigated career goal discrepanc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rgin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foreign-born parental culture as moderators of the mediation model. Data collection took place through the Gallup Korea Research Institute. Migrant background youths (N = 329) aged 25 to 34 responded to a survey that included measures assessing our study variabl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4.1.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goal discrepancy was a ful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rgin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lso,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foreign-born parental culture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mean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marginalization, the more career goal discrepancies are experienced by young people from migrant backgrounds, which lowers life satisfaction. Also,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cceptance of Korean and foreign parental culture, the more the mediation effect is weakened. Finall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ith immigrant youths in South Korea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이주배경 청년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진로 목표 불일치가 매개하는지 탐색하고, 한국과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태도가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한국갤럽연구소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전국의 만 25∼34세의 이주배경 청년 329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 목표 불일치가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진로 목표 불일치가 매개하는 과정에서 한국 문화와 외국인 부모 문화 수용 태도 각각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배경 청년들이 사회적 주변화를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 목표 불일치를 더 많이 경험하게 되고, 이는 삶의 만족을 낮추게 되는데, 이때 한국 및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매개효과가 완화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이주배경 청년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억울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취업한 기혼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김은하,박소영,왕희찬 한국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y married working men and women feel eogul and how they behave in those situations. For this, we conducted online surveys and analyzed the surveys using a modifi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results revealed four domains for the general causes of feeling eogul (‘having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ings that are not my fault or being misunderstood,’ ‘not being fairly evaluated or compensated,’ ‘having health or financial problems,’ ‘encountering relational difficulties or observing corruption’). Men and women appeared to experience eogul due to different reasons. Four domains (‘being blamed for being a male’, ‘experiencing work-related stress’, ‘experiencing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s’, ‘experiencing discrimination’) emerged for men, while five domains (‘being weaker than men’, ‘experiencing work-related stress’, ‘experiencing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ing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s’, ‘male supremacy’) emerged for women. Lastly, three domains (avoidance, direct expression, and indirect expression) emerged for eogul-related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