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찰적 글쓰기로 살펴보는 초등교육실습

        오희정(Hui-Jeong Oh)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3 교육실습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초등교사 양성 교육에서 성찰의 개념을 살펴보고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을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에서 초등교육에 관한 관점, 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초등교사에 대한 기대,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수업 기술 체득 등 현장과 부합하는 교육관을 정립하게 되었다. 또한, 수업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철학, 교육관, 지식, 수업 기술, 학생과의 상호신뢰와 애정을 바탕으로 하는 상호작용이고, 학생의 관심과 흥미가 고려되어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초등교육실습에서 성찰적 글쓰기와 성찰적 사고의 습관은 초등교육과 예비교사의 교육관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더불어 그동안 익힌 이론 및 핵심역량을 학교 현장에 활용하는 실천으로 이어지기 위해 유용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reflection i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and analyzes the educational practicum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reflective writing. Preservice teachers came to establish an educational view consistent with the field, such as the perspective on elementary education in educational practicum, the expectations of elementary teachers required in the school field, and the acquisition of teaching skills through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addition, they realized that class is not simply the delivery of knowledge, but an interaction based on the teacher's philosophy, educational view, knowledge, teaching skills, and mutual trust and affection with the students, and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The habits of reflective writing and reflective thinking in elementary educational practicum will be useful for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on elementary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views, as well as for practicing of using the theories and core competencies learned so far in the school field.

      • KCI등재

        교사소진 문제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수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오희정(Oh, Hui Jeo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2016의 2차년도와 3차년도 초등학교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사소진 문제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차년도 266명, 3차년도 266명의 초등학교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변인별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매개 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소진과 교사효능감 및 수업은 서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고, 교사효능감과 수업은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교사소진은 교사효능감과 수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사효능감은 수업에 높은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교사소진과 수업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의 소진은 교사효능감을 부분 매개하여 수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본 연구에서 판명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언하였다. 첫째, 교사소진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관리 및 개선하기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피력하고, 이와 관련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사 데이터와 관련하여 동일한 대상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조사 및 조사 대상자의 확대, 문항 추가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본 연구와 관련하여 필요한 후속 연구들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teacher burnout problem on the class through teacher efficacy was analyzed using data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2nd and 3rd years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2016. Using the data of 266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second year and 266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third year,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variable,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burnout, teacher efficacy, and class, and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class. Second, teacher burnout had a nega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and class, and teacher efficacy had a high positive effect on class. Third, it was found that teacher 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burnout and class. Thus,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class by partially mediating the sense of teacher efficacy. Based on this, the following was suggested. First, it was pointed out that it was necessary to diagnose the problem of teacher burnout, and to prepare policies to manage and improve it, and suggested related measures.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in relation to teacher data, continuous follow-up of the same subject, expansion of the number of subjects and add questions were suggested. Third, it suggested the necessary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 KCI등재

        학생의 인성과 학업성취도 관계의 종단적 분석

        오희정(Oh Hui Jeong),김갑성(Kim Kap 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2013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생의 인성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국 5364명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4년간의 종단 자료에 대해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의 인성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학생의 인성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셋째,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다음 시점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설명 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이전 시점의 인성은 다음 시점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도는 다음 시점의 인성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회귀분석을 통해 동일 시점 에서 인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가적으로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즉, 이전 시점의 인성과 학업성취도는 다음 시점의 인성과 학업성취도를 높게 예견하였고,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도는 다음 시점의 인성에 정적인 영향을 끼쳤지만 이전 시점의 인성은 다음 시점의 학업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동일 시점에서 인성은 학업성취도에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학업성취도가 후 속하는 인성 및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학습자들에게 성취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업성취에 단절이 없는 올바른 지식을 함양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인성의 함양을 위한 노력은 현재와 미래의 바른 인성을 예견하며, 현재의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끼치므로, 꾸준한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haracter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data fro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1st~4th year. We performe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z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using 5,364 students’ 4 year term data from elementary fifth graders to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character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character of the student appeared to be stable over time. Third,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very high explanatory power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next time point. Fourth, the character at the previous tim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next time point. Fifth, the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haracter at the next time poi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 influenc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same time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dditionally.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characte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other words, the character and academic achievement predicted highly that at the next time point. Also, the academic achievement had positive effect on the character at the next time point but the character had n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next time point. However, the character influenc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same time positively. Based on these, we suggested the followings. Since the academic achiev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ubsequent character and academic achievement, it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achievement and foster correct knowledge without disruption to academic achievement. Also, it needs constant student character education because efforts to cultivate character predict the right character of present and future an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rrent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및 독서활동과 학업성취도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분석

        오희정(Oh Hui Jeong),김갑성(Kim Kap 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에서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2016의 1~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기주도학습 및 독서활동과 학업성취도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부산광역시 1,753명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까지 3년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별 기술통계, 상관분석,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자기주도학습과 학업성취도, 독서활동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적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독서활동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셋째, 학업성취도 역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넷째, 이전 시점의 자기주도학습은 다음 시점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하게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에, 이전 시점의 독서활동은 이후 시점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학업성취도는 이후 시점의 자기주도학습에 유의하게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도는 이후 시점의 독서활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하여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해 종단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양방향의 영향관계가 존재함이 밝혀졌으며, 독서활동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종단적으로 양방향의 영향관계가 존재하지 않음이 드러났다.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effects of self-regression cross-delay betwee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g ac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data from the 1st and 3rd year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2016.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reading ac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reading activity were stable over time. Third, academic achievement was also stable over time. Fourth, self-directed learning at the previous tim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t the next time. On the other hand, reading activity at the previous tim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t the later time. Fifth, academic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t the later time. However,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previous tim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eading activity at the later time. Thus, in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a bidirectional influence relationship but there was no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c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감이 학습태도를 매개로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오희정(Oh Hui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본 연구에서는 진로교육 현황조사 2016~2018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감이 학습태도를 매개로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6년 3125명, 2017년 3721명, 2018년 3006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자료를 활용하여 변인별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한 결과, 첫째, 진로교육 활동 만족감과 학습태도 및 진로인식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진로교육 활동 만족감은 학습태도와 진로인식에, 학습태도는 진로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진로교육 활동 만족감과 진로인식의 관계에서 학습태도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진로교육 활동 만족감은 학습태도를 부분 매개하여 진로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내실 있는 진로교육 활동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바르게 신장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와 관련하여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에 관한 다양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on career recognition through learning attitude in the elementary school using data on career education surveys 2016-2018. Using data of 3,125 sixth grade students in 2016, 3,721 sixth grade students in 2017, and 3,006 sixth grade students in 2018, I performed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by variables.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learning attitude, and career recognition. Second,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ttitude and career recognition, and learn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recogni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career recognition, it was found that learning attitude was partly mediat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in this study that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recognition by partially mediating the learning attitude in the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is, the following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bstantia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attitude. Third, in connection wit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career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 교육실습제도 내실화 방안의 탐색: 교육대학교의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오희정(Hui Jeong Oh)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5

        본 연구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에서 교육실습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현행 교육실습 관련 문제를 해소하고, 예비교사에게 충분한 배움과 적성의 확인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실습 내실화의 일환으로 교육실습제도 운영의 다양한 방안과 교육실습의 연장 중 하나의 방안인 실습학기제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교육실습제도 운영에 필요한 지원 체제를 모색하고, 향후 내실 있는 교육실습제도 개선을 위한 향후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원양성 교육과정 중 상대적으로 경시되어 왔던 교육실습의 의미를 재확인하고, 교육실습 내실화를 통해 예비교사의 현장 교직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racticum in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llill, solves current education practicum-related problems,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learn and confirm aptitude. As part of the substantialization of education practicum, various methods of operating the education practicum system and the practical semester system, which is one of the extensions of education practicum, were reviewed. In addition, the support system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such an education practicum system was sought, and future tasks were deriv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ubstantial education practicum system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eaning of education practicum, which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ill be reconfirmed, and it will be helpful to strengthen the field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education practicum.

      • KCI등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오희정(Oh Hui Jeong),김갑성(Kim Kap 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2013 1~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전국 3116명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까지 5년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분석한 결과,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학업성취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자녀의 자아개념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초기 시점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녀의 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녀의 초기 자아개념은 초기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초기의 부모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녀의 학업성취 변화에만 유의한 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는 자녀의 학업성취도 변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있었다. 이를 통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있 어 그 시작부터 변화되는 양상에 까지 영향을 주어 학업성취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초기에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자녀의 초기 자아개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녀의 자아개념 변화는 초기의 부모 사회 경제적 지위와 미미한 부의 영향관계가 나타나고 다른 변수들과는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존재하지 않아 해당시점에서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학생들의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 차이를 좁힐 제도의 마련, 자아개념 변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후속연구, 관측변수들을 새롭게 설정하고 생성함으로써 잠재변 수들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력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influence that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influen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adiated self-concept using data fro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1st~5th year. We performed the technical statistics and analyzed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using 3,116 students’ 5 year term data from elementary fifth graders to middle school third grader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ere increased with time, but students self-concept were decreased with time. Second,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had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at initial point. Also, students self-concept had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 initial point. In addition to, the initial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had a statistically ignificant influence on only change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lso, the change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hange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ith this,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had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 initial point and change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o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is an imprtant factor that determines academic achievement. Also,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had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elf-concept at initial point. But, change of students self-concep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t initial point marginally and didn 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other factors. So students self-concept had an influential at this poi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followings. We need to prepare the system that narrow the gap in the students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of different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lso, it need to perform a follow-up study to grasp the characters of self-concept variables. Moreover, it need set of new observed variables to enhance an influential of relationship with latent variables.

      • KCI등재

        초등학교 현장에서 선호되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Q-사정도구 개발 및 적용

        오희정(Oh, Hui-Jeo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2

        본 연구는 학교장이 다양한 지도성 특성들을 가치체계에 따라 복합적으로 발휘하고 있다는 통합적 인식 하에 초등학교 현장에서 선호되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들이 실제 현장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를 측정할 수 있는 사정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실제 학교 현장에서 각 범주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범주 Ⅱ(142명, 38.6%), 범주 Ⅰ(86명, 23.4%), 범주 Ⅴ(61명, 16.6%), 범주 Ⅳ(41명, 11.1%), 범주 Ⅲ(38명, 10.3%)의 순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 분포하고 있었다. 교사의 성별과 직위는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에 대한 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교사의 연령, 교직경력, 소속 학교 규모와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에 대한 인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의 사정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실제 현장에서 그 양태를 살피고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 학교장 지도성 특성 분류 범주가 존재함을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rved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s of preferred principal leadership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unified recognition that principals were exerting various leadership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value system. By developing and applying an assessment tool that measures the classifications of principal leadership characteristics, I examined how these classifications appeared in elementary schools. Results were distributed in the following order: Category Ⅱ (142, 38.6%), Category Ⅰ (86, 23.4%), Category Ⅴ (61, 16.6%), Category Ⅳ (41, 11.1%), and Category Ⅲ (38, 10.3%). Moreover, teacher gender and pos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classification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age, teaching career, school size, and their recognition. By using the classification assessment tool to examine and analyze patterns in schools, this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classifications of principal leadership characters in the academic context.

      • KCI등재

        부모-자녀 관계가 자녀의 교육포부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오희정 ( Oh Hui Jeong ),김갑성 ( Kim Kap Su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의 4~7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교급별 부모-자녀 관계가 자녀의 교육포부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지속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국 3,405명의 중학교 2~3학년, 고등학교 1~2학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첫째, 부모-자녀 관계와 자녀의 교육포부 및 학업성취도는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해당 시점의 부모-자녀 관계는 자녀의 교육포부와 학업성취도에, 교육포부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부모-자녀 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교육포부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t시점의 부모-자녀 관계는 t시점의 자녀 교육포부를 부분 매개하여 t+1시점의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중학교와 고등학교 시기 학업성취에 있어 부모-자녀 관계와 자녀 교육포부가 해당 시점과 그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직·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한 부모-자녀 관계를 형성하고 교육포부를 고취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 방안을 제시하였고, 자료의 보완을 통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using data from the 4th to 7th year of the 2013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 analyzed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 for each grade level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ir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using longitudinal data of 3,405 middle school 2nd-3rd graders and 1st-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parent-child relations during those grade level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ducational aspir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aspirations were found to mediate partially. Fourth, the parent-child relations at [t]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t [t+1] by partially mediating the child's educational aspirations at [t].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parent-child relations and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continued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orm healthy parent-child relations and to inspire educational aspirations, suggest a plan, and propose a follow-up study including additional of data.

      • 아스피린 과민성을 동반하지 않은 아세트아미노펜 아나필락시스

        김윤정 ( Kim Yun Jeong ),유금혜 ( Yu Geum Hye ),유민아 ( Yu Min A ),오희정 ( O Hui Jeong ),박창한 ( Park Chang Han ),맹선희 ( Maeng Seon Hui ),조영주 ( Jo Yeong Ju )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증례 특집호 65-5 부록3 Vol.0 No.-

        Acetaminophen is a world-wide used analgesic and anti-pyretic drug with less anti-in-flamma-tory effect, available without prescription in most countries. Allergic-like reactions to this drug, including urticaria, angioedema, and anaphylactic reactions 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