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세계체제의 확장과 약소자의 정체성― 중국 조선족 작가 금희의 소설 세계

        오창은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0

        소설가 금희는 중국 조선족 문학계와 한국 문학계에서 동시에 주목받는 작가이다. 그는 조선족 거주지역인 길림성 장춘 구태시에서 나고 자랐으며, 한때는 한국에서 하위계층 노동자로 생활하기도 했다. 금희는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의 세계체제 변화에 따라, 중국 조선족의 삶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양상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금희의 소설에는 조선족으로서의 삶을 긍정하는 태도가 드러나고(「세상에 없는 나의 집」), 북한 이탈 주민을 약소자로서 형상화해내는 뛰어난 윤리적 감각을 보여주기도 한다(「옥화」). 개혁 개방 이후 중국 조선족 여성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면서 겪는 윤리적 갈등과 자기 욕망의 발견을 핍진하게 그려냈다(『천진 시절』). 중국 조선족 문학은 중국의 소수민족 문학이면서, 한국에서는 동일한 언어를 쓰는 재외한인문학으로 포용된다. 금희는 스스로를 ‘조선어로 작품을 쓰는 마지막 세대의 작가’라고 했다. 금희는 소설을 통해 농촌에서 도시로 옮겨온 이주민으로서, 가부장적 질서와 갈등하는 여성으로서, 세계체제의 하위주체로서 자기 정체성을 발견해나가는 과정을 형상화냈다. 금희 소설에 표현된 약소자로서의 정체성은 세계체제와 긴장하는 정치성을 띠고 있다. 금희의 소설은 디아스포라 문학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제기한다.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자는 자기가 속한 세계를 중심에 놓는 관점에서 벗어나 디아스포라적 주체의 시선으로 세계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금희의 소설은 중국 조선족의 자기 정체성의 발견을 제시함으로써, 전지구적 근대체제의 작동양상과 연관해 디아스포라 연구를 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한다. Geum Hee, a novelist, is a writer who i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both the Joseonjok (ethnic Koreans in China) literature circle and the Korean literature circle. She was born and raised in Changchun, Jilin Province, and she once lived as a lower-class laborer in Korea. Geum Hee has realistically depicted the rapid changes in the lives of Joseonjok in East Asia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world system since the 1990s. Geum Hee’s novel reveals an attitude that gives an affirmative depiction of the life of Joseonjok (My Home That Is Not in the World), and also shows an excellent ethical sense that embodies North Korean defectors as the Minority (Okhwa).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her novel plausibly portrays the ethical conflicts and the discovery of self-desire experienced by Joseonjok women as they move from rural to urban areas. (The Days of Tianjin) Joseonjok literature is ethnic minority literature in China, while it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using the same language. Geum Hee described herself as ‘the last generation of writers who write works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her novels, Geum Hee embodies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ir own identity of women in conflict with the patriarchal order as migrants from the countryside to the city and as a sub-subject of the world system. The identity as the Minority, expressed in Geum Hee Novel, is politicized in tension with the world system. Geum Hee’s novels call for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diaspora literature. Diaspora literature researchers should be able to look at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a diaspora subject, awa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puts their world at the center. Geum Hee’s novels present Joseonjok’s discovery of self-identity, indicating the need to study diaspora in relation to the workings of the global modern system.

      • KCI등재

        전태일 이후의 한국소설과 ‘기억의 정치’

        오창은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2

        In a novel narrative dealing with historical events, memory is recorded in text as political unconsciousness. On November 13, 1970, Jeon Tae-il's burning himself to death was a historical event that shook the Korean society. His sacrifice led to the creation of the first democratic union, the Cheonggye Clothes Trade Union, and gave birth to the solidarity movement of workers and university students. Since the 1970s, the Korean populace movement an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have started from Jeon Tae-il's burning himself to death. After his death, the Korean novels about Jeon Tae-il were a scene where 'the politics of memory and the unconscious of forgetting' compet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since the 1980s, Korean writers have played a variation of the ritualistic narrative about "the sacrifice of Jeon Tae-il". Appearing in Korean novels are a persistent obsession with records, a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events through individuals' memories, and intentional twists intended for the introspective awareness of memories. This study sought to trace the changing aspects of the memory narrative about 'the sacrifice of Jeon Tae-il' according to the times in Korean novels. Thus, a metaphoric meaning of politics was given to the narrative patterns of of writers responding to the politics of memory and unconsciousness of forgetting. Park Tae-sun's Mother (1985) as a work in the 1980s, Jeon Tae-il and Showgirl (1997), published by Kim Young-ha as a novel in the 1990s, and Lee Jae-woong's Jeon Tae-il's Bronze Statue (2013) were analyzed. Through these texts, efforts were made to define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that worked to the Jeon Tae-il reproduction patterns according to to age and generation. Park Tae-sun attempted to build the politics of record and memory that resisted the era of oppression. Kim Young-ha planned a recapitulation of events from the individual's point of view by gazing at the wounds left to individuals by collective memories. Lee Jae-woong delved into the 'self-introspection of memory' through the pattern of multi-layered struggle against transforming memories. Since the 1980s, novels about Jeon Tae-il's sacrifices have been an important field where 'politics of memory' was implemented. Korean writers raised 'ethics of memory' through 'political struggle' surrounding 'Jeon Tae-il's sacrifice'. 'Ethics of memory' is a product of the determination to reconstruct the value of' individuals' memories' in response to collective memories, while resisting the dominant ideology. 역사적 사건을 다룬 소설에는 망각에 저항하는 기억의 의지가 텍스트에 기입된다. 1970년 11월 13일, 전태일의 분신은 한국사회를 뒤흔든 역사적 사건이었다. 그의 희생이 계기가 되어 최초의 민주노조인 ‘청계피복노동조합’가 만들어졌고, 노동자와 대학생의 연대운동이 싹텄다. 1970년대 이후 한국 민중운동과 민주화운동은 전태일의 분신으로부터 출발했다. 그의 분신 이후, 전태일을 다룬 한국소설은 ‘기억의 정치와 망각의 무의식’이 경합하는 현장이었다.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작가들은 ‘전태일의 희생’에 대한 제의적 서사를 변주해왔다. 한국 소설에는 기록에 대한 집요한 집착, 개인의 기억의 통한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 기억에 대한 성찰적 인식을 위한 의도적 비틀기 등이 나타난다. 이 논문은 한국소설 속에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전태일의 희생’에 대한 기억 서사의 양상이 변화하는 것을 추적하기 위해 쓰여졌다. 이를 통해 기억의 정치와 망각의 무의식에 대응하는 작가들의 서사적 반응 양상을 정치적으로 의미화했다. 1980년대 작품으로는 박태순의 「어머니」(1985), 1990년대 소설로는 김영하가 발표한 「전태일과 쇼걸」(1997), 2000년대 텍스트로는 이재웅의 「전태일 동상」(2013)을 분석했다. 이들 텍스트를 통해 시대와 세대에 따라 전태일의 재현 양상이 변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태순은 억압의 시대에 저항하는 기록과 기억의 정치를 구현하려 했고, 김영하는 집단의 기억이 개인에게 남긴 상처를 응시함으로써 개인의 관점에서 재구성되는 사건 서술을 기획했으며, 이재웅은 변형되는 기억에 대한 다층적 투쟁의 양상을 통해 ‘기억의 성찰성’에 대해 천착했다. 1980년대 이후, 전태일의 희생을 다룬 소설들은 ‘기억의 정치’가 이뤄지는 중요한 현장이었다. 한국 작가들은 ‘전태일의 희생’을 둘러싼 ‘정치적 투쟁’을 통해 ‘기억의 윤리’를 제기하고 있다. ‘기억의 윤리’는 지배이데올로기에 저항하면서, 집단적 기억에 대응하는 ‘개인의 기억’의 가치를 재구성하려는 의지의 산물이다.

      • KCI등재
      • 한국문학과 커피, 세련된 일상을 지향하는 매혹의 음료

        오창은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1 문학이후 Vol.1 No.-

        이 연구는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phy)’의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자의 경험과 연구대상을 겹쳐내는 글쓰기를 시도한다. 1장에서는 연구자가 경험한 커피문화와 한반도에서 커피가 수용되는 역사적 과정을 함께 기술 했다. 커피는 ‘근대의 음료, 매혹의 음료’였다. 그리고 세련됨의 표상이기 도 했다. 2장에서는 문헌을 통해 한반도에서 커피가 유입되는 과정을 재구 성했다. 커피가 한반도에 유입된 시기는 대략 1861년 즈음이다. 프랑스 선교사 베르뇌에 의해 조선에 유입된 커피는 조선의 상층계급으로 전파되 었다. 이후 민중계급이 커피를 마심으로써 취향의 평등성을 이뤄냈다. 커피는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기호품이다. 그렇다보니 상층계급 의 특수한 소비형태가 지속되었다. 3장에서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 문 학 텍스트를 통해 그 시기 커피가 일상 소비문화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는 가를 추론해 보았다. 1920대까지만 해도, 커피는 기호품으로서 비교적 비싼 품목에 속했고, 제한적으로만 소비되었다. 4장에서는 1930년대에 이르러서 카페, 다방문화와 연결하여 커피의 일상적 소비가 이뤄졌음을 살폈다. 결론에서는 현대 한국인에게 커피라는 일상문화가 어떤 정치적 성찰을 촉구하는지에 대해 기술했다. 한국인들은 인스턴트 커피에서 자판 기 커피, 믹스커피에 이르는 커피 향유의 변화과정을 겪었다. 커피는 때로 는 세련됨의 상징이었고, 취향의 구별짓기이기도 했다. 커피 소비문화는 제국주의의 효과,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커피는 취 향의 계급성을 안고 있는 ‘식민지 지배체제’의 부산물이다. 세련됨에는 계급성이 있듯이, 취향의 정치성도 존재한다. 커피 문화의 확산 과정을 통해 근대적 취향에 대한 성찰이 이뤄질 수 있다. Coffee is called ‘the drink of the bourgeoisie.’ This paper reconstructs the process of coffee establishing a culture of taste after it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Coffee was first introduced by the French missionary Berneux around 1961 and was spread to the upper classes from the foreigners. Later, as the general public started to consume it, it presented the experience of the equality of taste. Coffee was a luxury product that was entirely dependent on imports. Therefore, there was a phase in which the special consumption patterns of the upper classes continued. Until the 1920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ffee was mostly a culture enjoyed by the privileged class and in the 1930s, coffee became a common practice in connection with the cafe and dabang culture. Coffee was a by-product of the ‘colonial rule system’ that entailed the hierarchical nature of taste. Just as sophistication has a hierarchical nature, taste also has a political nature.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the spread of coffee culture, we can make a reflection on modern tastes.

      • KCI등재

        베트남 전쟁, 개인의 발견을 통한 삶의 윤리 재구성 -『 전쟁의 슬픔』의 한국적 수용 양상에 관한 연구-

        오창은 한민족문화학회 2023 한민족문화연구 Vol.81 No.-

        Bao Ninh's "The Sorrow of War" is considered a monumental work of "Vietnam War" literature written by a North Vietnamese veteran. As a country that also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Korea has accepted this novel as "Vietnam War literature" seen through a new perspective. Since its introduction in 1994, there have been translations of as many as three different editions. Through the publication of these translations,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changing aspects of exchang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literature and literary people. There have been three different published translations of "The Sorrow of War". The first book, "Jungle", was translated by Choi Jong-min and published by Cheongeum in 1994. The second book, "The Sorrow of War", was translated by Park Chan-gyu and published by Yedam in 1999. The third book, also titled "The Sorrow of War", was translated by Ha Jae-hong and published by Asia in 2012. The Jungle, translated by Choi Jong-min, is a direct translation of the English version, and contains the ideological perspective of Western Europe. Not from the perspective of Vietnamese culture and the lives of Vietnamese people, it is characterized by the "universalistic generalization" of the Vietnam War. The Sorrow of War, translated by Park Chan-gyu, attempted to increase the precision of translation by referring to French and English versions, but it still showed an indirect acceptance of Vietnamese literature due to its indirect translation from a third language instead of literal translation. Ha Jae-hong's "The Sorrow of War" is a direct Vietnamese translation into Korean. The Korean translation of Vietnamese literature is an important event that shows that Korean translation literature has entered the stage of direct exchange in translation through influential languages such as indirect translation from English and indirect translation from French. This shows that it can relativize Western Europe from an Asian perspective, and that it has entered a direct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Vietnam, breaking away from the universalist ideology of Western Europe. In the reading culture, it also had the effect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languages, internal exchange through literature, and exchange of a common human sense." This change is the result of exchanges between writers such as "A Group of Young Writers to Understand Vietnam" and the efforts of scholars who have developed their capabilities by studying in Vietnam. Bao Ninh delved deeply into the issues of death and war through an Eastern worldview. The indiscriminate nature of death and the brutal equality a war brings is something one would want to avoid, but it is a harsh reality that exists.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Kien, shows the reality of the war he experienced in a realistic way, even in the midst of confusion, as a survivor's duty. His writing His is also a record of the journey of overcoming the horrific life after survival through "writing". When viewed in the context of the divided reality of Korea and the state of ceasefir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orrow of War" allows us to look at war from the perspective of populist egalitarianism. Representing a pinnacle of Asian war literature, "The Sorrow of War" is a panorama of tragedy that highlights the value of peace. Literature, through the narrative of war, generates empathy towards the yearning for peace. The Korean reception of Bao Ninh's "The Sorrow of War"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the process of direct exchange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literature for war literature in pursuit of peace. 바오 닌의『 전쟁의 슬픔』은 북베트남 참전 병사가 쓴 ‘베트남 전쟁’ 문학의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던 한국으로서는 새로운 시각으로 본 ‘베트남 전쟁 문학’으로 받아들여졌다. 1994년 이 작품이 소개된 이후 세권의 다른 판본 번역이 존재할 정도였다. 번역본 간행을 통해 한국과 베트남 문학과 문학인의 교류 변화 양상도 살펴볼 수 있다. 『 전쟁의 슬픔』의 세 가지 번역 단행본 간행은 다음과 같다. 첫 책은 1994년 ‘청음’ 출판사에서 최종민이 번역한『 정글』이다. 두 번째 책은 1999년 박찬규 번역으로 간행한 ‘예담’ 출판사의『 전쟁의 슬픔』이다. 세번째 책은 2012년 ‘아시아’ 출판사에서 하재홍의 번역으로 발간된『 전쟁의 슬픔』이다. 최종민 번역의『 정글』은 영어본을 번역한 것으로, 서구 유럽의 이데올로기적 관점이 기입되어 있다. 베트남 문화와 베트남 민중의 삶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베트남 전쟁에 대한 ‘보편주의적 일반화’가 특징적이다. 박찬규 번역의『 전쟁의 슬픔』은 프랑스어본과 영어본을 참고하여 번역하여 번역의 엄밀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했다. 하지만, 직역이 아닌 중역이어서 여전히 베트남 문학의 간접적 수용 양상을 보였다. 하재홍 번역의『 전쟁의 슬픔』은 베트남어를 한국어로 직접 번역한 책이다. 베트남 문학의 한국어 직역은 한국의 번역문학이 영어 중역, 프랑스어 중역과 같은 유력 언어를 매개로 한 번역에서, 직접 교류의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이는 아시아인의 관점에서 서구 유럽을 상대화할 수 있고, 서구 유럽의 보편주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한국과 베트남의 직접적인 문화교류로 접어들었음을 보여준다. 독서 문화에서도 ‘두 언어권 간의 직접적인 소통, 문학을 통한 내면의 교류, 인간적 공통감각의 교류’라는 효과를 발휘했다. 이러한 변화는 ‘베트남을 이해하려는 젊은 작가들의 모임’과 같은 작가들 간의 교류와 베트남 현지에서 공부하며 역량을 키워온 학자들의 노력의 결실이다. 바오 닌은 동양적 세계관으로 죽음, 전쟁의 문제를 깊이 있게 그려나갔다. 전쟁이 가져오는 죽음의 무차별성, 참혹한 평등성은 피하고 싶지만, 냉혹하게 존재하는 현실이다. 소설의 주인공 끼엔은 살아남은 자의 도리로서, 자신이 경험했던 전쟁의 실상을 혼돈 속에서도 사실적으로 보여준 인물이다. 바오 닌의 소설 쓰기는 살아남은 이후의 참혹한 삶을 ‘글쓰기’로 극복해 나가는 여정의 기록이기도 하다. 엄존하는 분단현실과 휴전 상태의 한반도 상황에 비춰볼 때,『 전쟁의 슬픔』은 민중주의적 평등주의의 관점에서 전쟁을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아시아 전쟁문학의 한 정점을 보여주는『 전쟁의 슬픔』은 평화의 가치를 돋보이게 하는 비극의 파노라마이다. 문학은 전쟁 서사를 통해 평화의 간절함에 대해 공감하게 한다. 바오 닌의『 전쟁의 슬픔』의 한국적 수용은 평화를 위한 전쟁 문학의 한국․베트남 문학의 직접적 교류로의 변화과정을 보여준다는데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