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여전사의 동남아 주요 4개국 진출전략: 베트남

        오준범,신유란 사단법인 한국신용카드학회 2018 신용카드리뷰 Vol.12 No.2

        This study examines current macroeconomic and financial market condition, supervisory regulation, and launching strategy in Vietnam for the future developments of the micro-finance industry, which is worried about deterioration of profitability in domestic market due to the cost of borrowing rises resulting from rise in policy rate and market interest rate and intensified competition in the mid-range interest rate loan market. First, the macroeconomy in Vietnam shows stable growth and the domestic market is expected to grow. In aspects of business environment, it has been improving since 2011, but it is still lower than other AESAN countries where 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relatively advanced. Although several korean micro-finance companies have launched in Vietnam, there are other opportunities as considering the achievements of the companies that have launched previously and the growth potential of Vietnamese financial market. The internal strengths of domestic micro-finance companies are that they have a skilled workforce, abundant market experience and business know-how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the domestic market and a plenty of Korean companies in various sector has launched in Vietnam. However, the weakness is that domestic micro-finance firms are less well-known than global financial credit firms in the Vietnamese market. External opportunities are Vietnam's stable macroeconomy, high growth potential in the domestic market, and potential improvement in the investment and business environment. External threat is that the investment and business condition are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ASEAN countrie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acquire licenses for establishing a branch of foreign companies in Vietnam, and a lot of time required for the licensing process. The possible strategies for Korean micro-finance firms are that firstly it is necessary to enter the market quickly by linking with domestic companies that have launched in Vietnam. In addition it is needed to preoccupy the market as the competition with global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Vietnamese market is expected to intensify. 본 연구는 국내외 기준금리와 시중금리 인상 , 중금리 여신시장에서 경쟁심화 등으로 국내에서수익성 악화가 우려되는 여신전문금융업계의 향후 발전 방향 중 하나로 베트남 진출을 위한 거시경제현황과 진출 전략을 분석하였다 . 먼저 베트남의 거시경제는 안정적인 성장을 하고 있고 , 내수시장의 성장도 기대된다 . 비즈니스 환경 측면에서 2011 년 이후 개선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제 발전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동남아시아 국가들보다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 현재 많은 국내금융회사들이 베트남에 진출해 있지만 , 기 진출 기업들의 성과와 베트남의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 여신전문금융업체의 추가적인 진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국내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이 가지고 있는 내부적인 강점은 국내 시장에서의 카드 , 캐피탈 서비스경험을 바탕으로 숙련된 전문 인력과 풍부한 시장경험 및 비즈니스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과 다양한 산업에서 많은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에 진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 다만 약점으로 국내여신전문금융업체들의 글로벌 인지도가 베트남 시장 내에서 글로벌 여신전문금융업체에 비하여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 외부적인 기회 요인은 베트남의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거시환경과 성장가능성이 높은 내수시장 , 투자 및 비즈니스 환경의 개선 가능성 등이다 . 외부적인위협 요인은 먼저 베트남은 투자 환경을 개선 중에 있음에도 여전히 여타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투자 여건이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 또한 외국계 기업의 베트남 내 법인 지사설립 등에 있어 인허가 취득이 어렵고 , 인허가 절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점 역시 베트남 진출에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볼 때 , 국내 여신전문금융업체가 베트남 시장에서 취할 수 있는 전략으로 먼저 베트남에 기 진출한 국내 사업체와의 연계 등를 통해 빠르게시장에 진입할 필요가 있다 . 또한 향후 베트남 시장 내 글로벌 여신전문금융업체와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진출 이후 빠른 확장을 통해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

      • 현안과 과제 : 최근 경기순환의 특징과 전망 -국내경기 좌표, 현(現) 저점 형성중이거나 초기회복국면 추정

        오준범,주원(감수) 현대경제연구원 2016 현안과 과제 Vol.2016 No.5

        ○ 본 보고서는 최근 국내 경기의 큰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 경기순환을 살펴보고 향후 경기순환을 전망하고자 함 -경기순환은 경기저점을 기준으로 다음에 발생하는 경기저점까지의 순환을 의미하며, 회복기, 호황기, 후퇴기, 침체기로 구분 ?경기순환은 경기저점에서 경기정점까지를 확장국면, 경기정점에서 경기저점까지를 수축국면으로 정의함 ?구체적으로 확장국면 중 회복기는 투자, 소비 심리 회복, 호황기에는 투자, 생산, 소비가 실제로 증가하고 수축국면의 후퇴기에는 소비는 감소, 재고가 증가하며 침체기는 불황기를 의미함 - 본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의 경기순환을 추출하여 특징을 살펴하고 향후 경기순환을 전망하고자 함? 통계청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생산?소비?GDP 등 주요 경기지표 등을 검토하여 경기순환주기를 설정함? 통계청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2009년 2월(저점)이후 제 10순환이 진행되고 있으며, 2011년 8월에 정점을 지난 것으로 파악됨 ?본 보고서에서는 통계청의 방법론과는 달리 크리스티아노-피츠제럴드 필터링(Christiano-Fitzgerald Filtering)1)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부문별 경기순환의 특징을 살펴보고 향우 경기순환의 방향성을 살펴보고자 함

      • 주택 매매시장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오준범,신유란 현대경제연구원 2019 한국경제주평 Vol.845 No.-

        ■ 개요 주택가격은 2018년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다 최근 상승률이 둔화되었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주택가격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지방권은 주택가격 하락세가 확대되며 지역간 차별화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정부의 주택시장 규제 강화 등으로 주택 매매거래가 위축되면서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주택거래 수급 및 주택시장 정책 방향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주택 매매시장에 대한 국민인식 ① 주택가격에 대한 인식과 전망 (최근 주택 매매가격 인식) 최근 1년간 해당 거주 지역의 주택 매매가격은 0% 내외로 변동하며 보합세를 보였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다만,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했다는 인식보다는 상승했다는 인식이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강원도, 대전, 광주, 서울에서는 주택가격이 상승했다는 인식이 우세한 반면, 울산과 경상도는 하락 인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주택 매매가격 전망) 2019년 내 주택가격 변동은 0% 내외로 보합세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다만, 주택가격 하락 전망보다는 상승 전망이 소폭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도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상승 및 하락 전망 응답 중에서 서울은 상승 전망이 우세한 반면 경상도, 부산은 하락 전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내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한 이유로는 ‘지역 내 개발호재’, ‘대체투자처 부족’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반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한 이유로는 ‘신규 공급물량 증가’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어서 ‘국내 경기 부진’, ‘대출규제 강화로 인한 대출 어려움 증가’ 등을 하락 원인으로 응답하였다. ② 주택 거래에 대한 인식 (거래 계획 및 거래 시점) 무주택 가구와 주택을 2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 가구는 향후 주택 매수 계획을 가진 응답자 비중이 가장 높았던 반면 1주택 가구는 주택 거래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비중이 가장 높았다. 다만 주택 거래 계획이 있는 가구 중 주택을 매수하려는 의사가 있는 가구의 대다수는 매수 시점으로 2020년 이후를 고려하고 있는 반면, 주택을 매도하려는 가구의 매도 계획 시점은 2020년 이내와 2020년 이후가 비슷한 비중으로 분포하고 있어 주택 매수와 매도 거래 시점 간 미스매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소유별로 향후 주택 거래계획의 이유를 살펴보면, 주택 매수 계획이 있는 무주택 가구의 경우 ‘심리적 안정 및 이사의 번거로움 해소’를 주택을 매수하려는 주된 이유로 응답하였으며, 이외에도 ‘전세가격 상승으로 인한 임차료 부담 증가’ 등도 그 이유로 응답하여 실거주목적의 주택 매수 의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택을 살 계획이 없는 무주택 가구의 경우 ‘금전적 여력 부족’, ‘주택 매매가격이 너무 올라서’를 주된 이유로 꼽아 주택가격 및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주택 가구의 경우 주택 매수 계획이 있는 가구는 ‘거주지 이전’, ‘주택규모 조정’을 주택을 사려는 주된 이유로 응답하였다. 다만, 다주택 가구에서는 ‘임대수익 기대’를 응답한 비중도 높아 다주택 가구는 투자 목적의 주택 매수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주택 가구 중주택을 매수할 계획이 없는 가구는 ‘기존 주택 거주’를 가장 큰 이유로 응답하였다. 특히 1주택 가구 중 많은 비중이 주택 매수 계획이 없으며 그 이유가 기존 주택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인 점, 주택 매수계획이 있는 무주택 가구의 주택 매수 이유 응답 등을 고려할 때 대부분의 국민은 실거주 목적으로 주택 거래를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유주택 가구 중 향후 주택 매도 계획이 있다면 그 이유는 주로 ‘거주지 이전’, ‘주택규모 조정’이었으며, 매도 계획이 없다면 그 이유는 ‘실거주 목적’으로 나타났다. 이 점을 고려하면 주택거래의 목적이 대부분 실거주 목적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유주택 가구 중 일부는 ‘대체투자처 부족’ 및 ‘임대수익 발생’ 등을 팔 계획이 없는 이유로 꼽아 금전적인 여력이 있는 가구는 주택을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③ 주택 매매시장 정책에 대한 평가 정부의 주택매매시장 정책에 대한 설문에서, ‘잘하고 있다’는 응답과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비슷하게 분포하고 있어 정부의 주택시장 정책에 대한 평가가 양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소유별로는 무주택 가구 및 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일수록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순자산이 5억원 이상으로 높은 가구에서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높았다. 정부의 주택 관련 주요 정책의 향후 방향에 대한 질문에서 주택공급 관련해서는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으며, 양도세 및 보유세는 현행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LTV, DTI 등 대출 규제 관련해서는 현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는 비중이 높았으나, 완화해야 한다는 비중 또한 높아 상당수의 가구에서 대출 규제로 인해 주택 마련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시사점 최근 정부의 주택 매매시장에 대한 정책들이 가격 안정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지역별 및 거래시점간 수급 불일치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택매매시장의 안정과 국민의 주거 안정화를 위해서는 첫째, 기본적으로 수급 안정에 바탕을 둔부동산 정책 기조를 유지하되 일관성 있는 정책 유지를 통해 시장 내 경제주체들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지역별 주택매매시장의 차별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역별 맞춤형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 매매 지원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 안정화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