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진이 오딧세이 : 이태준의 역사소설 <황진이>에 나타난 성적 모험에 대하여

        오양진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2 사회적질연구 Vol.6 No.4

        우리는 이태준의 역사‘소설’ <황진이>를 알레고리의 일종으로 간주하면서 조선 시대의 한 여성이 보여 준 삶의 궤적을 섹슈얼리티의 역사적 변동 과정과 여성적 현실의 변화 과정이 드러나는 우화적 비유 체계로 다루었다. 결국 역사‘소설’ <황진이>는 젠더의 세계에서 섹스의 세계로 나아가는 우화적 여행으로서의 이른 바 ‘황진이 오딧세이’를 통해 감정과 육체가 분열되지 않은 진정한 남녀관계란 불가능하다는 환멸과 허무의 알레고리가 되었다. 물론 이태준의 <황진이>는 진정한 남녀관계와 사랑의 이상이 좌절되고 만 절망적 현실 을 환기하는 데서 그치지 않았다. 젠더의 세계와 섹스의 세계를 넘어선 세계, 즉 감정과 육체가 분열되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세계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음도 분명하였다. 그 세계는 <황진이>라는 환멸과 허무의 서사가 보존하는 낭만주의적 기운과 무관하지 않은 세계였는데, 말하자면 우리는 죽은 젠더의 세계와 무책 임한 섹스의 세계가 지양됨으로써 에토스가 에로스의 혼란을 제어하거나 에로스가 에토스에 역동성을 부여 하는 세계를 <황진이>에서 만날 수 있었다.

      • KCI등재

        섹슈얼리티, 여성, 마더후드-이태준의『성모』에 나타난 ‘성애’와 ‘모성애’에 대하여-

        오양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1 No.-

        Lee, Tae‑jun's “Great Mother” shows an existential struggle of a woman who succeeded in healing the fatal damage to her’s own life by modern patriarchal system. She finds a task of the age through the moral choice to convert maternity into motherhood, despite of feminine difficulties that accompanied a sexual desire of the times. And she finally gains feminine self‑esteem. There is no doubt that a moral choice and an existential struggle shown by the heroine of “Great Mother” is a product of a virtuous determination resulting from a very active motive. One might point out that the will is consequences of unwilling adaptation of the helpless woman who was subordinated to patriarchal ideology and myth of maternity(motherhood). However,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a strong criticism on sexism based on essentialism is above all the existential status that she gained through implementation of socio‑cultural maternity as child education, rather than simple biological maternity of childbirth and parenting. A moral reality in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that we have noticed in Lee, Tae‑jun's novel reveals a part that was never recognized as a discourse of maternity(motherhood) myth solidified by a reductionist magic of feminism politics. According to “Great Mother”, maternity(motherhood) or motherly love is not just the basis for making it dependent on a general male including her husband. It is also a realm of possibility that women themselves can secure their social status stately. In Lee, Tae‑jun's “Great Mother”, maternity(motherhood) is both exploitative maternity of patriarchal project that represses women and healing motherhood as a strategic base that actively reconstructs women themselves. In the middle of factors that cause oppression and liberation to cross each other around maternity(motherhood), there is a ‘woman's work’ called ‘child education’. 이태준의 『성모』는 여성적 삶에 대한 근대의 가부장 시스템이 가한 치명적 훼손을 치유하는 데 성공한 어떤 여자의 실존적 고군분투를 보여준다. 그녀는 시대의 성욕이 수반한 여성적 곤경에도 불구하고 마터니티를 마더후드로 전환하는 도덕적 선택을 통해 시대의 임무를 발견한다. 그리고 그녀는 마침내 여성적 자기 존중을 획득한다.『성모』의 여주인공이 보여준 도덕적 선택과 실존적 고투는 매우 능동적인 동기에서 비롯된 고결한 의지의 소산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누군가는 그 의지의 이면에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와 모성(성)의 신화에 포섭된 무력한 여성의 비의지적 순응의 결과를 볼 수 있다고 지적할지 모른다. 그러나 그녀가 출산과 양육이라는 단순한 생물학적 모성의 발현이 아니라 자녀 교육이라는 사회문화적 모성의 구현을 통해 획득한 실존적 지위가 무엇보다도 본질주의에 기초한 성 차별주의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명백한 사실이다. 우리가 이태준의 소설에서 주목한 남녀관계의 도덕적 사실성은 그동안 페미니즘 정치학의 환원주의적 마법으로 견고해진 모성 신화 담론으로는 결코 인식할 수 없던 부분을 드러낸다. 『성모』에 따르면, 모성 혹은 모성애는 단지 남편을 포함한 남성 일반에게 종속되도록 만드는 근거이기만 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여성 스스로가 당당히 사회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의 영역이기도 하다. 이태준의 『성모』에서 모성(성)은 여성을 억압하는 가부장적 기획의 착취적 마터니티이면서 동시에 여성 스스로를 능동적으로 재구성해온 전략적 거점으로서의 치유적 마더후드이다. 그리고 모성(성)을 둘러싸고 억압과 해방이 서로 교차되도록 하는 요인의 한가운데 ‘자녀 교육’이라는 ‘여성의 일’이 위치한다.

      • KCI등재

        시선 추적 실험에 기초한 슈퍼히어로 캐릭터 이미지의 시각 선호 연구 - 미국 영화 어벤져스: 엔드게임 중심으로

        오양진,그림 올리버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3 No.3

        세계적인 흥행 기록을 세운 10편의 영화 중 마블(Marvel)의 슈퍼히어로 영 화가 4편이 포함되어 있으며, 총 4.3 억 명의 관객을 끌어들였다. 그 중에 ‘어벤져스: 엔드게임’이 제일 대표적이다. 이 현상은 슈퍼히어로에 대한 대 중의 호감을 잘 보여준다. 그런데 관객이 슈퍼히어로에게 갖는 호감에 관한 실증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는 영화‘어벤져스: 엔드게임’이 예로 시선 추 적(Eye-tracking) 실험을 통해 관객은 슈퍼히어로 캐릭터에 대한 시각 선호 를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슈퍼히어로 캐릭터에 관한 긍정적 인 평가, 기원과 시각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선 추적 실험을 통해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의상, 메이크업, 소품이 항상 가장 중요한 부분 인 것을 확인했다. 또 관객은 상식을 벗어난 시각 특징이나 관객의 지역 문 화와 맞은 시각 특징이나 많은 시각 정보를 가진 캐릭터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적 연구 방법으로 관객은 슈퍼히어 로 캐릭터에 대한 선호하는 시각 요소를 분석하여, 영웅 캐릭터 디자인에 관한 체계적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rvel Cinematic Universe superhero films occupy 4 of the top 10 films globally, attracting 430 million audiences. "Avengers: Endgame" stands out as the box office representative. However, specific preferences and reasons for superhero character images remain to be further investigated. Guided by theories of experimental psychology, this study designed an eye-tracking scientific experiment to explore audience preferences for superhero character images.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took the box office representative film "Avengers: Endgame" as an example, analyzing the related positive reviews, the origins of characters, and the visual elements they embody. Then, an eye-tracking experiment was designed to analyze audience preferences for the ten main characters in the film The results indicate that costumes, makeup, and props are crucial to character portrayal. Among them, Characters such as Captain America's image, Hawkeye's costume, Hulk's muscles, and Gamora's skin, which possess extraordinary qualities, familiar cultural symbols for the audience, or convey rich visual information, are more likely to attract audience attention and influence their preference judgments. This study can provide analytical reference materials for the future production of superhero characters.

      • KCI등재

        슈퍼히어로 캐릭터 디자인의 시각적 선호 연구 -미국 영화 어벤져스(Avengers)를 중심으로-

        오양진,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3

        세계적인 흥행 기록을 세운 10편의 영화 중 ‘어벤져스’가 있다. 이어서 다양한 파생상품까지도 관객의 호응을 얻었다. 이 현상은 슈퍼히어로 캐릭터에 대한 대중의 호감을 잘 보여준다. 그런데 관객이 영웅 캐릭터에게 갖는 호감에 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는 영화 '어벤져스'에서 출발해 진화미학의연구를 통해, 슈퍼히어로의 시각 선호를 탐구하려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슈퍼히어로 영화 캐릭터의 기원, 현황과 몸매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실험을 통해 슈퍼히어로 캐릭터의 몸매 특징을 황금비율과 가까운 시각적 선호를 확인했다. 즉, 첫째, 슈퍼히어로 여성 캐릭터는 일반적으로 최고의 허리-엉덩이 비율(WHR)에 가깝다. 둘째, 슈퍼히어로 남성 캐릭터는 일반적으로 최고의 골격과 근육이 비율에 가깝고 발달하다. 또 여기에 진화미학 관점으로 설명한다. 이상의 캐릭터 시각 특성은 진화 과정에서 힘을가진 지도자의 우월한 형질을 의미하며 관객의 호감을 불러일으킨다. 마지막으로 슈퍼히어로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응용 사고를 제안한다. 진화 미학의 관점초정상 자극 계념으로 보면 황금 비율과 가까운 슈퍼히어로 캐릭터는 일반 캐릭터보다 더 매력적이고, 시청자의 주의력을 끄는 것을 더욱 쉽다. 본 연구는 진화미학 관점으로 슈퍼히어로 캐릭터에황금 비율로 호감의 원인을 분석하여, 영웅 캐릭터 디자인에 관한 과학적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기대한다. Reviewing the top 10 box offices worldwide and in North America, the film "The Avengers" entered the list. The linked derivative industries have all received an overwhelming response. It visually illustrates the public's favorable opinion of superheroes. However, an exploration of the reasons for their favorability is lacking.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e of audiences' visual preferences for superhero characters from the film The Avengers, starting from evolutionary aesthetics. To this end, this study compiles and analyzes American superhero film characters' origin, current development, and stature characteristics. Secondly, researcher designed an experiment to verify the public's golden ratio stature preference for superhero characters. The reasons for the selection are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aesthetics. That is to say, female characters have a near-optimal waist-to-hip ratio, and males have a near-optimal skeletal-muscular balance. It implies a superior trait of the leader in the evolutionary process, with a sense of power, which attracts the audience's attention. Finally, the above analysis incorporates applied thinking about hero character design. Combined with the evolutionary aesthetics view of supernormal stimulus, superhero characters close to the golden ratio body shape are more attractive and likelier to attract the audience's attention than the average characters. This study analyzes the reasons for a visual preference regarding the golden ratio in superhero characters' body fea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aesthetics, hoping to provide scientific reference material for producing hero characters.

      • KCI등재후보

        캐리커처의 인류학-남정현 소설의 풍자와 아이러니에 대하여

        오양진 한국근대문학회 200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7 No.1

        It is seen from a characteristic of satire in Nam, Jeong-Hyeon's novels that the modern situation is when 'the scorn' becomes social condition. Therefore, the politics of satire is blocked frequently in Nam, Jeong-Hyeon's novels which is caused to the critical concern by naturally discriminating between a subject of the satire and a object of the satire inside the moral power of discrimination. Because the satire of Nam, Jeong-Hyeon's novels which is divided but indiscriminate now is transformed to the place of chaos that can be called the 'inter-scorn' and 'inter-disdain' above a border of the satire in the weakening or disappearance of moral sincerity. After all, Nam, Jeong-hyeon's novels cannot be understood anymore from the general composition of the satire that is based on the moral power of discrimination. If so be that, How can we know the distinction between the general satire and the satire of Nam, Jeong-Hyeon's novels? It is above all things by whether a moral predicament will be or not. That is to say,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difference dividing between a criticism as the form of literature proposed by 'the discrimination interested’ and a scorn as the social condition caused to by ‘the indifference discriminated'. Here we try to name a literary reflection of the scorn a caricature, just the sole concern of this cartoon is wholly the scorn on the human being. 남정현 소설의 풍자성에서 보게 되는 것은 '경멸'이 사회적 상태가 되어버린 근대적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도덕적인 차별성 안에서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풍자하는 사람과 풍자되는 사람을 구분함으로써 비판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식의 ‘풍자의 정치학’은 여기서 자주 봉쇄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구분되면서도 무차별적인 남정현 소설의 풍자는 도덕성의 약화 내지 소멸 속에서 이제 풍자의 경계를 넘어 상호 경멸과 멸시라는 어리지운 자리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남정현 소설은 도덕적 차별성을 기초로 하는 일반적인 풍자의 구도 속에서는 더 이상 이해되기 어렵다. 그렇다면 일반적인 풍자와 남정현의 풍자를 구별 짓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도덕적 곤경의 유무(有無)라고 생각된다. 다시 말해 ‘관심이 가는 구분’에서 제기된 문학적 형식으로서의 ‘비판’과 ‘구분된 무관심’에서 유발된 사회적 상태로서의 ‘경멸’의 차이라고 풀이될 수 있다. 바로 여기서는 그러한 ‘경멸’의 문학적 반영을 ‘캐리커처(caricature)’라 부르고자 하는데, 이 ‘만화’의 유일한 관심은 오로지 ‘인간 경멸’이다.

      • KCI등재

        몰입형 영상의 인지신경과학에 관한 연구

        오양진,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4

        Recently, multi-surface immersive images that project multiple channels such as walls, screens, floors, and roofs through the screen at the same time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viewers. However, this kind of immersive image is only studied in terms of presentation and projection technology. Still, it does not explain why viewers are attracted to this kind of immersive image. This study suggests that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viewers’ preferences for immersive images, we can plan images more proactively.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immersion phenomenon and explored the structure of favorable feelings toward the immers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immersion, there are four types of immersion: systematic immersion, narrative immersion, multisensory immersion, and challenging immersion. Secondly, based on the first research in cognitive neuroscience, we have organized the cognitive mechanism of the brain for immersion phenomena and grasped the structure of the occurrence of immersion phenomena. The immersion phenomenon can also be described as the concentration of a continuous unconscious state. In other words, in a state where self-consciousness disappears for a long period, the brain concentrates on the stimulus, and everything that is necessary to solve the cognitive problem is carried out in automatic neural activity. The cognitive processes in the brain that deal with this neurological phenomenon are as follows. First, the phenomenon of on major media sites brain immersion refers to the state of a temporary decrease in the cognitive state of the frontal lobe of the brain. This state temporarily inhibits the explicit system, embodies tacit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enhances cognitive flexibility and fluency. Second, in the immersion phenomenon, activation of the goal-directed compensatory system results in good feelings. Based on this, this study establishes an immersive imag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system and makes suggestions. Designers can consider the factors in each current image, such as 3D, IMAX 3D, 4D, 5D, VR, and VR360 to induce input and apply them to the im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mersive image design by proposing the structure and method of understanding immersive image design and research. 벽면, 화면, 바닥 면, 지붕 등을 스크린으로, 동시투영하는 다중채널의 다면적 몰입형 영상이 관람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렇게 비일상적 스크린을 사용하는 다면 영상은 관람자의 관심을 끌어 몰입하게 한다. 하지만, 이런 몰입형 영상은 표현의 양식과 투영기술에 관한 연구만 있을 뿐, 관객이 이에 몰입해 호감을 느끼는 구조를 연구하려는 시도는 부족하다. 몰입형 영상에 관람자가 느끼는 호감의 구조를 이해하면 더 능동적으로 영상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몰입 현상의 호감 구조를 탐구하기 위해, 몰입 현상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한다. 몰입의 구조에따라 체계적 몰입, 서사적 몰입, 다감각적 몰입, 도전적 몰입 등 4가지로 구분한다. 다음으로 인지신경과학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몰입 현상에 대한 두뇌의 인지 메커니즘을 정리하고, 몰입 현상이 발생하는 구조를 파악한다. 몰입은 지속적인 무의식 상태의 집중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긴 시간 동안 자아의식이 소실된 상태에서 자극에 집중하고, 인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전하는 것 모두가 자동화된 신경 활동으로진행된다. 이러한 신경 현상에 대응하는 두뇌의 인지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뇌의 몰입 현상은 뇌의 전두엽이 일시적으로 인식상태가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는 명시적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서, 암시적 지식과 기술을 구현하여 인지의 유연성과 유창성을 강화한다. 둘째, 몰입 현상 중 표적 지향보상 시스템을 활성화해 호감을 얻는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몰입 영상에 대한 분류 및 평가체계를 수립하고, 제안을 제공한다. 디자이너는 현재3D, IMAX 3D, 4D, 5D, VR, VR360 등 각 영상에 존재하는 몰입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해 영상에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몰입형 영상 디자인 및 연구의 인식적 구조와 방법의 제안으로써 몰입형 영상디자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연의 서사와 텍스트의 무의식—서기원의 「이 성숙한 밤의 포옹」에 나타난 시간 구조에 대하여—

        오양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이 글은 어떤 언어적이고 구조적인 결정이 무의식적 결정과 중첩되는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서기원의 「이 성숙한 밤의 포옹」(이후 「포옹」으로 약칭)이 드러내는 ‘플롯’, 즉 그 ‘이야기—주인공이 애인에게 가지만, 한동안 가지 않다가, 간다는 서사—의 이유’를 새롭게 해명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주인공이 애인에게 가는 임박한 목적에도 불구하고 시작에서 종결로 향하는 서사의 ‘중간’이 지연 과정을 통해 유별나게 확장되는 양상을 「포옹」의 시간 구조와 서사 구조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포옹」에서 의식적 언어로 확장된 서사의 ‘중간’이 실은 무의식적 욕망의 구조화된 거처라는 점을 고찰한다. 이는 「포옹」에서 그 ‘중간’을 길게 늘이는 텍스트의 행위성이 어떤 의도 속에 있는지를 해명하는 작업이다. 그 과정으로부터 시작의 ‘간다’와 종결의 ‘간다’가 맺는 필연적 연관성은 ‘가지 않는다’는 「포옹」의 ‘중간’이 그 변형에 개입한 무의식적 충동으로 가능한 것이었다는 해석에 도달한다. 결국 「포옹」은 ‘지연의 서사’라는 ‘기억의 형식’ 속에 ‘텍스트의 무의식’이라는 ‘욕망의 형식’을 내장한 독특한 서사 텍스트라는 점이 확인된다. 여기서 「포옹」의 무의식은 ‘타나토스’의 무의미로 가는 지름길의 허무가 ‘에로스’의 고통이라는 우회로를 통해 제어될 때 어떤 실재적 진실을 품는다. 이를테면 ‘삶’은 죽기까지 살아지고, 하여 ‘서사’의 불가능성은 회피될 뿐만 아니라, 그 서사로부터 오는 ‘의미’는 인간 존재의 이유가 된다는 것. 이러한 결론은 아울러 한국전쟁 이후 현실의 혼돈과 절망에 빠진 사람들을 캐릭터로 해서 무기력과 허무주의를 보여준다는, 이른바 ‘전후 소설’에 대한 기존의 비평적 선입견을 내려놓도록 만든다. This article aims to shed new light on the “plot” of “The Embrace(Hereafter abbreviated as),” that is, “the reason for its story”—a narrative in which the protagonist goes to his lover but does not go for some time. To this end, Chapter 2 first examines how the narrative “middle,” which move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ing despite the protagonist’s imminent purpose of going to his lover, is unusually extended through a process of delay,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temporal and narrative structure of “The Embrace.” Next, Chapter 3 considers how the narrative “middle” in “The Embrace,” which is expanded into conscious language, is actually a structured abode of unconscious desire. This is done by unpacking the intentionality of the textual performativity that lengthens the “middle” in “The Embrace.” In the process, we arrive at the interpretation that the inevitable connection between the "go" of the beginning and the “go” of the ending is made possible by the unconscious drive of the “middle” in “The Embrace,” which is “not going.” In the end, it is confirmed that “The Embrace” is a unique narrative text that embeds the "form of desire" of the "textual unconscious" within the “form of memory” of the “narrative of delay.” Here, the unconscious of “The Embrace” bears the “real” truth that when the futility of the shortcut to meaninglessness of "Thanatos" is controlled through the detour of pain of “Eros,” “life” is lived to the point of death, the impossibility of “narrative” is not only avoided, but the “meaning” that comes from that narrative becomes the reason for human existence. This conclusion also forces us to set aside our existing critical preconceptions about the so-called “post-war novel,”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lethargy and nihilism of people who are mired in the chaos and despair of the post-Korean War reality. On the other hand, we can see the possibility that “The Embrace” can be an exemplary text for reconstructing the “realism” of the postwar reality.

      • KCI등재후보

        전후소설에 나타난 아이러니와 인간상의 탐구 -손창섭의 「혈서」와 장용학의 「비인 탄생」을 중심으로-

        오양진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0 No.-

        This writing departs from the question about how a ironical situation corrodes characters of men. To put it concretely, the goal of this writing searches for human images which two postwar writers represent, by menas of analyzing that human beings are effected by irony as a situation in Son, Chang-seop's postwar novel 「Writing in Blood」 and Jang, Yong-hak's postwar novel 「Inhuman Birth」, with the assumption that irony is not a spirit which shows suspicion and reexamination, skepticism and criticism about certain subjects but a modern situation which establishes in contradiction and opacity of those. As a result of the quest, 「Writing in Blood」 with background of postwar reality in which modernity has been radicalized, converges a moral insensibility of the people who experiences irony of the world that necessity can't catch the human life into an inhuman image of ‘accidentally living human being.’ Meanwhile, 「Inhuman Birth」 shows aspects in such inhumanity which is radicalized in the maelstrom of undergoing an irresolute irony of postwar reality that can't be made out through contingency of ground being substituted for necessity of heaven. That is to say, an ironical modern life will ultimately creates a ‘fierce beast’ as non-human being combined insanity with resentment with the people. Finally, an ironical reality expels a kind of mature formation from life, and limits it in a process of transformation. How does the irony corrode characters of human being? It makes those inhumanly. 이 글은 아이러니가 어떻게 인간의 성격을 부식시키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다시 말해서, 아이러니가 어떤 대상에 대한 의심과 회의와 비판의 정신이 아니라 그 대상의 모순과 불확실성에 기초한 근대적 유동성의 현실을 나타낸다는 전제 아래, 손창섭의 소설 「혈서」와 장용학의 소설 「비인 탄생」을 대상으로 그런 유동적인 상황으로서의 전후 현실이 등장인물들의 의식과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두 사람의 작가가 제시하는 전후소설의 인간상을 탐구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탐구의 결과, 「혈서」는 근대적 유동성이 첨예화된 전후의 사변적인 현실을 배경으로 확실성이 더 이상 삶을 붙들어 주지 못하는 세계의 아이러니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도덕적 무감각을 “우연히 살아 있는 인간”이라는 비인간적 형상을 통해 집약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가 하면 「비인 탄생」은 유동성과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근대성의 첨예화된 형태로서의 전후 현실 안에서 그러한 비인간성이 극단화되는 양상을 드러낸다. 말하자면 전후에 나타나는 삶의 아이러니는 사람들을 궁극적으로 울분과 광기가 결합된 비인간으로서의 “사나운 짐승”으로 만들게 되는데, 이것은 쓸모없는 상품을 만들어 파는 것을 유용한 일로 간주하는 6・70년대 산업 사회의 아이러니가 야기할 문학사적 사태를 짐작하게 한다. 비인간적인 변신 과정을 예고하는 것이다.

      • KCI등재

        남녀관계의 불안 - 김유정의 「동백꽃」과 이상의 「날개」에 나타난 서술과 인간상

        오양진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29 No.-

        The goal of this writing is to compare narration of Kim, Yu-jeong's Dongbaekgoz with that of Lee, Sang's Nalgae. Specially it wants to come up with the reality of relations between the sexes of 1930's and the image of man which reacts differently at it by noticing the tone of narrators in told two novels. At this time, it's a notion of Bakhtin that provides a fundamental prerequisite. According to him, the true and pure novel can be a important passage in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ondition which nestled in one era. And this writing comes up with the image of man in Kim, Yu-jeong's narration and Lee, Sang's not from characters but narrators by referring to Bakhtin's argument, which it's existence of narrators to lead narration that becomes a proper standpoint in grabbing the historical essence of narratives. As a result, the narrator in Kim, Yu-jeong's novel appears to be a humorist who overcomes anxious liquidity in general relations between the sexes of 1930's by a humorous tone, and the narrator in Lee, Sang's appears to be a black humorist who relaxes despair in relations between the sexes of 1930's by a comical tone, which is inspired due to fluid relationship liquidity and even possibility of betrayal caused by it based on sentimental freedom. 이 글은 김유정의 「동백꽃」과 이상의 「날개」에 나타난 서술을 비교하는 가운데, 특히 서술자의 어조에 주목함으로써, 1930년대 중반이라는 동일한 역사적 시공간에서 출현한 남녀관계의 현실과 이에 대해 각기 다르게 반응하는 인간의 이미지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서 진실하고 순수한 소설은 한 시대에 널리 자리 잡고 있는 역사적 조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로가 될 수 있다는 바흐친의 서술 개념은 기본적인 전제가 된다. 그리고 이 글은 서술을 이끄는 서술자의 존재야말로 서사의 역사적 정수를 포착하는 데 적절한 입각점이 되어준다는 바흐친의 논의를 다시 한 번 참조함으로써 김유정과 이상의 서술에 나타난 인간상을 등장인물이 아닌 서술자로부터 도출한다. 그 결과 김유정의 서술자는 1930년대 일상적 남녀관계의 불안한 유동성을 유머러스한 어조를 통해 극복하는 유머리스트로 나타나고, 이상의 서술자는 감정적 자유에 기초한 관계의 유동성과 심지어 그로 인한 배신의 가능성으로 고조된 1930년대 남녀관계의 절망감을 익살스러운 어조를 통해 순화하는 블랙 유머리스트로 드러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