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극사실주의에서 나타나는 음식물 표현에 대한 연구 -2000년대 한국미술을 중심으로-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5

        Korean Art has been going through a lot of changes since the 2000s. Particularly, the resurrection of Hyper Realism with the popularity of Pop Art and its earning of attention in the art market is one of the changes among many others. Hyper realism had its golden age between the late 1960s and 1970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n it received attention as a new expression technique about 10 years later, in the late 1970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demand by art collectors in the Korean art market, it was resurrected again in Korea along with Pop Art in the 2000s. This study examines both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Hyper Realism in the 2000s with some work examples in which "Food" is favored as a theme. The expression of food in these works can be view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Snacks and Candy", "Cakes and Breads", "Fruit’ and "Cooking". Human desires in a consumer society and everyday life in the 2000s are apparent in these works and the advancement of both digital cameras and computer programs has helped develop these painting techniques. In addition, Korean Hyper Realism in the 2000s are reviewed together with American Hyper Realism from 1960s and 1970s and Korean Hyper Realism from 1980s in this study. Furthermore, how the foods are illustrated in Korean Hyper Realism in the 2000s is also investigated. 2000년대 들어 한국 미술문화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가운데 하나는 팝아트가 중심 되는 가운데 극사실주의가 새롭게 부활하여 미술시장에서 주목을 받게 된 것이다. 극사실주의는 미국에서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에 활성화 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약 10년 후인 1970년대 후반에 새로운 형상성 표현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리고 극사실주의는 2000년대 들어 한국 미술시장에서 팝아트와 함께 구매자들의 요구에 의해 다시 부활하였다. 본 연구는 2000년대 한국 미술에서 나타나는 극사실주의 가운데 ‘음식물’을 주제로 하여 표현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그 특성과 의미를 연구한 것이다. 음식물 표현을 보면 편의상 크게 ‘과자와 사탕의 표현’ ‘케이크와 빵의 표현’ ‘과일의 표현’ ‘요리의 표현’ 으로 분류하여 볼 수 있다. 이들 표현에는 2000년대 한국 소비사회와 일상에서 나타나는 욕망이 내재되어 있으며 기술적인 표현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발전과 컴퓨터 프로그램의 효과에 도움 받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극사실주의와 함께 1960-70년대 미국의 극사실주의, 1970-80년대 한국 극사실주의를 검토하고 있다. 나아가 2000년대 극사실주의에서 음식물은 어떠한 표현으로 나타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연구 하였다.

      • KCI등재

        1960년대 한국화에 있어 실험적 오브제 표현에 대한 연구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06 기초조형학연구 Vol.7 No.3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tyle painting started from abstract expressions and object adoption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techniques which only used paper, brushes and ink. Especially works by Ahn, Sang-cheol, Kim, Ki-chang, Park, Nae-hyun, Lee, Eung-no, Ahn, Dong-sook, and Kwon, Young-woo which show their attempts to reinterpret Western expression techniques with a modern sense in Korean style painting. Among these artists, Ahn, Sang-cheol, Lee, Eung-no, Ahn, Dong-sook, and Kwon, Young-woo applied experimental techniques to their objects. Ahn, Sang-cheol used objects from nature, like stones, Ahn, Dong-sook placed bamboo mats onto trees and both Lee, Eung-no and Kwon, Young-woo showed objects made of Korean paper. These attempts had significant meanings ofThe expansion of expression',A change from two-dimension to three-dimension', andAcquisition of modern art sense'. The experimental spirit of this period influenced contemporary Korean style painting and its advancement a great deal in later years. A Study of Experimental Objects in 1960s Korean Style Painting therefore,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when writing the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n style painting. This study examines how experimental objects appeared, what the works by artists in main stream were like and how influential their works were in the 1960s when modern Korean style painting was forming. 1960년대 한국화의 현대화 과정은 기존의 지(紙). 필(筆). 묵(墨)에 의한 전통적 표현과는 다른 추상적인 표현과 오브제를 이용하는 표현으로부터 시작된다. 특히 안상철, 김기창, 박내현, 이응노, 안동숙, 권영우 등의 작품에서 당시 서구의 표현 방법들을 재해석해서 한국화를 현대적인 표현으로 새롭게 변화시킨 것을 볼 수 있다. 그 가운데 안상철, 안동숙, 이응노, 권영우 등은 오브제를 이용한 실험적 표현을 하였다. 안상철은 돌 등 자연물을 오브제로 등장시켰고, 안동숙은 돗자리를 나무 위에 붙여 오브제로 등장시켰다. 그리고 이응노와 권영우는 한지를 이용한 오브제를 등장시켰는데 이러한 오브제 표현의 의의는 ‘표현의 확장’, ‘평면에서 입체로의 변화’, ‘동시대 현대미술과의 동시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실험성들은 이후 현대 한국화의 형성과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1960년대 현대 한국화에 있어 실험적 오브제 표현에 대한 연구’는 현대 한국화를 기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1960년대 현대 한국화가 형성되는 가운데 실험적 오브제의 표현들은 어떻게 출현하였으며, 중요 작가들의 당시 작품들은 어떻게 이루어졌고, 그 영향은 어떠한가 하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차용’ 표현에 대한 연구 - 회화 이미지의 차용을 중심으로 -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3

        Appropriation in art history refers to borrowing images from either masterpiece paintings of the past or advertising media and these images are often newly recomposed in artwork. In recent years, appropriation is used as a meansto both challenge and mock the worship of the originality of Modernism and the elements of appropriation become either the purpose or the theme of the work. Appropriation in contemporary art came into play when Postmodernism began to flourish. Along with replication, appropriation expanded its boundary with both 'parody' and ' pastiche', while cutting across painting, industrial advertisement, mass-produced goods and photography. There were some artists who took an interest in the use of appropriation before Postmodernism was introduced in the 1980s in Korea but appropriation began to unfold in earnest after Postmodernist art arrived in Korea. As it did in Western art, appropriation brought both the expansion of meanings and freedom of expression in Korea as well by denying the uniqueness and originality of artist. There were many examples that borrowed famous images from traditional art works or iconography. Although some artists hazily use iconic images from old art forms such as folk art, most of them attempt to re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images in a new creative way. 미술에서 차용은 ‘미술사에서 이미 등장한 과거의 명화나 광고 미디어 등에서 나타난 형상을 인용하거나 새롭게 재구성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모더니즘의 독창성에 대한 숭배에 도전하고 비웃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차용이라는 요소가 작품의 주제가 되거나 목적이 되고 있다. 현대미술에서 차용이 부각된 것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이 활성화되면서 부터이다. 차용은 ‘패러디’와 ‘패스티쉬’의 표현방법으로 회화 뿐 아니라 산업사회의 광고 이미지나 대량생산된 기성용품을 넘어 사진을 통한 차용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넓게 펼쳐졌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이 유입되기 이전에 ‘차용’의 표현으로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가 있었지만 대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유입 이후에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의 특징은 서양미술과 같이 작가의 독창성, 원본성을 부정하고 새롭게 해석함으로서 의미의 확대와 표현의 자유를 가져왔다. 그러한 가운데 전통미술에서 나타나는 유명작품이나 도상을 차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부에서는 민화와 같은 옛 미술품에서 나타나는 도상들을 막연하게 이용하는 작가들도 있으나 대개 우리의 전통 조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재해석 하여 새로운 창조적 방법으로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무릉도원도(武陵桃源圖)의 표현에 대한 연구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6

        무릉도원은 동양의 이상적 낙원이자 근원으로 예술 속에서 다양하게 형상화되어 왔다. 무릉도원의 이미지는 주로 도연명의 <도화원기(桃花源記)>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세속을 벗어난 선경(仙境)으로 관념화하고, 미화되어 있는데 특히 미술이나 문학에서는 이를 동경하고 재현하려 하였다. 한국의 미술표현에 있어서도 그 영향을 미쳤다. 조선시대 안견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그리고 이광사, 심사정, 이하곤, 정선, 윤재홍, 김수철, ... 장승업, 안중식 등 많은 작가들이 무릉도원을 주제로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한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무릉도원도는 도연명의 <도화원기>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기 보다는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차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도화원기’의 내용과 관련없이 무릉도원도를 현실과 관계시키면서 새롭고 자유롭게 표현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은 표현 모두 무릉도원도의 재해석이라 할 수 있는데 무릉도원이 이상향적 선경으로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자연이 있는 곳이 바로 무릉도원이고 나아가 이웃과 소통하며 살아가고 있는 삶의 현장이 무릉도원임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Land of Peach Blooms is an Eastern Utopia and it has been portrayed in diverse ways in art. The imagery was originally from the book Taohuayuanji by Tao Yuanming and it is conceptually depicted as a fairyland beyond the mundane world. Both art and literature particularly have longed for and attempted to reproduce this Utopia.   The Land of Peach Blossoms also influenced Korean literature and painting.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om Land (Mongyudowondo) by Ahn, Gyeon during the Chosun Dynasty, is the oldest example of a painting that depicted the utopia in existence. Since then, many artists, such as Lee, Kwang-sa; Sim, Sa-jeong; Lee, Ha-gon; Jung, Sun; Kim, Soo-chul; Jang, Seung-up and Ahn, Joong-sik have produced works inspired by the Land of Peach Blooms, even up to until contemporary times.   The Land of Peach Blooms in contemporary art often borrows the image of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om Land by Ahn, Gyeon rather than depicting details of Taohuayuanji by Tao Yuanming. Meanwhile, attempts to connect the Peach Bloom Land to reality in a new and liberal way were also made regardless of the story of Taohuayuanji. All of these are reinterpretations of the Land of Peach Blossoms as a land that doesn’t exist separately as a Utopian fairyland, but it is expressed metaphorically as a place where beautiful nature exists and where a real life comes to an understanding with its surroundings.

      • KCI등재

        한국 팝아트에 있어 동물의 표현 연구 - 2000년대를 중심으로 -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2

        While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world famous Pop Art artists were continually introduced to Korea, full-fledged pop art only began in Korea in the 2000s. It was influenced by the impact of Chinese and Japanese Pop Art and the movement of the new art market, including auctions and art fairs. The appearance of animals in Korean Pop Art in the 2000s became a favored art expression that has both an appeal and intelligibility to the public as it was under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the propensity to consume in Korean society. When looking into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consumption is reinterpreted as an animal and highlights consumption through the exaggerated image of animals. Animals are sometimes characterized as well-known trademarks in order for the viewers to consume the images. Furthermore, artists publicize their works by imprinting viewers with their own creation of animal images and attempt to turn them into a brand and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nimals are expressed in Korean Pop Art in the 2000s. For this,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is classified into Characters Expressions, Reinterpretation of Folk Art, Anthropomorphic Expressions, Variational Expressions, Heroic Expressions, and related works by major artists are reviewed. 팝아트에 대한 외국 전시나 세계의 유명 팝아트 작가들에 대한 소개는 꾸준히 이어져 왔지만 본격적인 한국의 팝아트는 2000년대 들어 시작되었다. 그리고 중국과 일본의 팝아트에 영향 받았고 경매제도와 아트페어 등 새로운 미술시장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은 바 크다. 2000년대 한국의 팝아트에서 동물의 표현은 동시대의 소비적 상황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면서 대중들에게 호소력과 전달력을 지닌 미술표현으로 자리 잡았다. 쉽게 소비하고, 소비를 재해석하여 그것을 다시 소비하듯이 과장된 동물의 이미지 표현으로 소비를 강조하기도 한다. 때로는 동물의 형상을 마치 유명 상표와 같이 캐릭터화 하여 관람자들에게 동물의 이미지를 소비하기도 한다. 나아가 작가 자신만의 동물 이미지를 관람자들에게 각인시키며 작품을 널리 알리는 동시에 브랜드화 하고 다른 작가와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팝아트에서 나타나는 동물표현의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 동물표현을 ‘캐릭터의 표현’ ‘민화의 재해석적 표현’ ‘의인화의 표현’ ‘변이적 표현’ ‘영웅주의적 표현’ 으로 분류하여 이에 해당하는 작가들의 작품들을 논하였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1970년대 한국화의 오브제 표현에 대한 연구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The 1970s was a period of Korean Style Painting establishing its own style with the experience of Western Informal Art of the 1960s and Minimal Art of the 1970s. During this time, a number of experimental attempts were made with the use of objects made of various materials. Objects word for a thing, a material, an object, target, item or matter. In art, it implies the way an object’s genuine existence that destroys rational consciousness in response to the target. Initiated from the collage technique of Cubism, the use of object materials have varied, depending on the life styles and industrial goods of the time. Objects were adopted in Korean Style Painting by artists like Sang-choel Ahn, Dong-sook Ahn, Ung-ro Lee and Young-woo Kwon in the 1960s. The experimental spirit of the 1960s continued in the 1970 and later years. Leaders among objects using artists in the 1970s include Kyung-ja Shim, who used the patterns of tree rings and wooden rice cake moulds Chang-kyeong Sung, who used traditional Korean doors; Soo-gil Kim,who used wire mesh or corroded tin cans; Soo-ryeon Song, who used paper mulberry, hemp, paper and strings; Jae-jin Lee, who used reed baskets Seol-ja Lee, who used old coins and Young-ae Choi, who used circular wire and steel plates. As reviewed above, the use of objects in Korean Style Painting in the 1970s can be evaluated as a new expressive method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traditional medium. 1970년대 한국화 분야에서는 1960년대 서양의 앙포르멜 미술과 1970년대 미니멀 미술의 상황을 직접 경험하면서 ‘한국화'를 정립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시기였다. 그러한 가운데 실험적인 표현은 계속 되었으며 여러 가지 재료의 오브제를 사용하기도 하였다.오브제(Object)는 사물, 물체, 대상, 물건, 물품, 객체를 의미한다. 미술에서는 주제에 대응하여 합리적 의식을 파괴하는 ‘물체 본연의 존재방식’을 가리키는데 입체주의의 꼴라쥬로부터 시작하여 그 시대의 생활방식이나 산업생산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화 분야에서는 1960년대 들면서 안상철, 안동숙, 이응로, 권영우 등에 의해 오브제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그리고 1960년대의 실험적 표현은 1970년대와 그 이후로 이어졌다. 1970년대 오브제를 사용한 대표적인 작가들의 작품을 보면 심경자는 나무의 나이테나 떡살무늬, 성창경은 전통 한옥의 문, 김수길은 철망이나 부식된 깡통, 송수련은 닥이나 마(麻), 종이, 노끈, 이재진은 갈대 광주리, 이설자는 옛날 엽전 형태의 오브제, 최영애는 원형의 철사와 철판 등을 오브제로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1970년대 한국화에서 오브제 표현은 전통 한국화의 재료적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표현 방법론으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Galvanic Corrosion Behaviors of Cu Connected to Au on a Printed Circuit Board in Ammonia Solution

        오세권,김영준,정기민,박미석,손민영,권혁상 대한금속·재료학회 2018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ol.24 No.1

        During etching treatments of printed circuit board (PCB) with ammnioa solution, galvanic corrosion occurs betweenelectrically connected gold and copper, and resulting in unexpected over-etching problems. Herein, we determinecorrosion of galvanic coupled Cu to Au quantitatively in ammonia solutions, and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corrosionof galvanic coupled Cu to Au (i.e., area ratio of anode to cathode and stirring speed). The difference of thecorrosion rate (Δi = icouple, (Cu-Au) – icorr, Cu) of Cu connected to Au (117 μA/cm2) and of single Cu (86 μA/cm2) infersthe amount of over-etching of Cu resulting from galvanic corrosion in ammonia solution (Δi = 0.31 μA/cm2). Asthe stirring speed increases from 0 to 400 rpm, the corrosion rate of galvanic coupled Cu to Au increases from 36 to191 μA/cm2. Furthermore, we confirm that an increase in the area ratio (Au/Cu) from 0.5 to 25 results in a higherrate of corrosion of Cu connected to Au. The corrosion rate of galvanic coupled Cu to Au is approximately 20 timeshigher when the area ratio of Au to Cu is 25 (1360 μA/cm2) than when the ratio is 0.5 (67 μA/cm2).

      • KCI등재

        현대 한국화에 나타나는 ‘차용’ 표현에 대한 연구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Appropriation in art refers to the use of objects or images of well-known artworks. Artists often borrow pre-existing images that appeared in popular culture. They do not simply recycle theses objects and images, but also reinterpret or reconstruct them for their artworks. The discussion on appropriation was stimulated as postmodernism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art world. There have been terms for appropriation in East Asian paintings. Mojak, imjak, and bangjak are the examples, which means emulation and learning. In the contemporary Korean art history, the term 'appropriation' began to be used in the late 1980s. In Korean Style paintings, many artists have employed appropriation for their art creation. The most frequently appropriated elements are taken from folk paintings, traditional paintings, and western paintings. Different from representative expressions in the previous period, 'appropriation from folk paintings' in the 2000s is somewhat strategic, which often appeared in pop art. Hong Jiyeon and Kim Jihye are major artists who belong to this sub-group. ‘Appropriation from traditional paintings' uses masterpieces in Korean traditional art, and Seok Cheolju and Yi Gilwoo are main artists. ‘Appropriation from western paintings’ is employed by Nam Hyeonju and Yi Hyeonjin. These artists appropriate images in masterpieces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rtifacts, and folk art. Adopting digital technology and combining a variety of images from the different periods in the East and West in the process of appropriation, their artworks transform into new styles of paintings. 미술에서 ‘차용’은 과거의 미술사 등에 이미 등장했던 명작을 인용하거나 대중문화와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등장했던 기존의 이미지들을 끌어와 새롭게 재해석하거나 재구성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차용의 논의는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표현에서 촉발되었다. 차용과 비슷한 의미로 동양회화에서는 모작, 임작, 방작의 표현이 있었다. 이들은 모두 학습의 개념인 ‘학(學)’에 바탕을 두고 ‘본받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국 현대미술에서는 1980년대 후반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유입과 함께 ‘차용’의 표현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한국화 부분에 있어서도 포스트모더니즘 유입 이후부터 ‘차용’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작품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민화’ ‘전통회화’ ‘서양회화’가 주요 차용의 요소였다. ‘민화의 차용’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 이전의 재해석적인 표현과는 다른 전략적인 차용의 표현으로 민화가 팝아트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대표 작가로는 홍지연, 김지혜 등이 있다. ‘전통회화의 차용’에서는 우리의 전통 명화를 차용한 것으로 대표 작가로 석철주, 이길우 등이 있다. ‘서양회화의 차용’에서는 서양의 명화를 차용하여 표현한 것으로 남현주, 이현진 등이 있다. 주요 특성으로는 차용 가운데에서도 전통 미술에서 나타나는 명화, 유물, 민화를 차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차용과정에 있어 디지털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회화로 변용되었으며 시간과 공간이 다른 이미지를 융합하거나 동양과 서양의 명화 이미지를 융합하여 표현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

        텍스트 <The Soothayer's Recompense>, <Pressure>의 ‘분절’과 ‘결속’에 대한 연구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6

        This study is a continuation of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ext- Painting' that I have been working 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rst examine each unit principle's 'articulation' of text <The Soothayer's Recompense> & <pressure>, then to find the 'cohesion' of units through articulation of text style. Text-painting is made by the 'cohesion' of each unit and this cohesion is made by the 'articulation' of units, just like text in language. In order to understand text- painting, first you have to analyze the text then interpret it with the analysis results. Analyzing text is to see how cohesion is created between 'unit principles' and what meanings are produced when the cohesion is detected through the articulation of unit principles. Each articulated unit exists within the context of adjacent texts, relys on one another and creates cohesion. Thus, 'cohesion' is made through 'articulation' and both cohesion and articulation are the connection of the text's surface structure. this study analyzes text <The Soothayer's Recompense> & <pressure>,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ulation' and 'cohesion' is an extension of studying how the structure of text-painting is set up, and how it can be interpreted would be the priority direction of the study. 이 연구는 필자가 그동안 지속적으로 연구해 온 ‘회화 텍스트의 분석과 해석’에 대한 연장에서 시도된 논문이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회화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각 단위소별 분절과 결속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며 둘째, 텍스트 <The Soothayer's Recompense>와 <Pressure>의 분석을 통하여 단위소의 분절과 결속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는 것이다. 회화 텍스트도 언어로 이루어진 텍스트와 마찬가지로 각 단위 요소들의 ‘결속’에 의해 이루어져 있고 그 결속은 단위 요소들의 ‘분절’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회화 텍스트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분석해야 하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해석을 한다. 회화 텍스트의 분석은 텍스트를 이루고 있는 ‘단위소’들이 어떻게 결속을 이루고 의미를 발생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는 것인데 여기서 결속은 텍스트를 이루고 있는 단위소들의 분절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분절된 각 단위소는 서로 인접하고 있는 전체 텍스트의 맥락 속에서 존재하고, 서로 의존하며, 결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결속’은 ‘분절’을 전제로 이루어지고 분절과 결속은 텍스트 표층구조의 연결성이다. 이 연구는 텍스트 <The Soothayer's Recompense> 와 <Pressure>의 해석 부분이 아니라, 분석 부분이 된다. 두 가지 텍스트의 구조가 어떻게 설정되어 있으며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의 연장에서 ‘분절’과 결속’ 관계를 파악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방향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