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캠브리지대학 도서관 소장 한국 관련 고지도 연구

        오상학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8 한국고지도연구 Vol.10 No.2

        Cambridge University Library and British Library are famous for owning a lot of old maps.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Korea related old maps in Cambridge University Library and to find out their characteristics. I classified 262 maps which draw Korea in detail into several types in terms of the time of production, the country of production, regions, and tried to figure out the change of the shape of Korean peninsular, islands of Ulleungdo and Dokdo, Jeju, place names. Almost maps for research are made in United Kingdom during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re are a few maps made in the Netherlands, France, Germany. Especially the Admiralty charts of UK are important maps which influenced the Western perception of Korea because they were made based on the new information which acquired by the exploration of the British Admiralty.

      • KCI등재

        독도 관련 국내 언론기사의 분석

        오상학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2

        최근 들어 독도 영유권과 관련된 고지도의 발견이 많아지면서 언론에서 보도되는 기사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사들은 독도의 역사적 權原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제고시키는 역할을 하는 긍정적인 측면을 지 니고 있지만 기사 내용의 오류로 인해 대중들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는 부정적 기능도 지니고 있다. 연구를 통 해 파악된 문제점으로는 먼저 지도에 대한 전문가의 철저한 고증없이 제보자의 견해를 따라 일방적으로 보도하는 행태를 들 수 있다. 이 결과 여러 기사에서 사실과 다른 오보들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이전에 이미 공개되었고 학 계에서도 널리 알려진 지도들을 마치 새롭게 발견된 것처럼 보도하는 행태도 볼 수 있었다. 일본에서 제작된 『신 찬조선국전도』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특히 보도 기사가 객관성을 상실하고 지나치게 국수주의적 편향을 지니는 문제점도 여러 언론 기사에서 파악되었다. 전통적인 일본의 전도에 나타나는 ‘韓唐’을 독도로 해석하는 것이 대표 적인 사례이다. 민족감정을 앞세운 국수주의적 해석은 영토문제에 대한 대중들의 온전한 이해에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news reports on the sovereignty right of Dokdo have been gradually increased in line with the discovery of related antique maps. While such reports have positive aspects in increasing an understanding of the people on the historic authoritative source of Dokdo, these also have some negative functions to give wrong awareness to the public due to errors of contents of reports. Errors found in the news reports include unilateral press media according to the opinion of informants without strict historical investigation by experts on maps. As a result, incorrect reports were found in various news reports. In addition, there were some cases that maps already widely known to the public or in the academic circle have been reported as if they were found newly. The typical example is Sinchan joseongukjeondo. In particular, there are also many news reports that lost subjectivity of the news reports and that had biased attitude toward nationalistic ideology. It is a typical example to misinterpret ‘Handang’ in the traditional Japanese general map as Dokdo. Accordingly, it must be very cautious because such nationalistic interpretation with the national sentiment might be an obstacle for full understanding of the people on the territorial issue.

      • KCI등재

        한·중·일 고지도에 표현된 이어도 해역 인식

        오상학 국토지리학회 2011 국토지리학회지 Vol.45 No.4

        The recognition of Ieodo waters can be found in world maps and East Asia maps, specially in maps of Jeju Island during Joseon dynasty. There is no place name of Ieodo waters in the maps of Joseon dynasty. Some cases that called ‘Baekhae(white sea)’ are found in the riterature. Most of recognition of Ieddo waters was based on the geographical thoughts from China, but some of that on the newest information for example, map of Haedongjegukgi and Haedongsamgukdo. The recognition of Ieodo waters in Chinese traditional maps based on Sinocentrism was not noticeable. After map making of Christian missionary it gradually became elaborate. The recognition of Ieodo waters in Japanese maps before 16th century was also vague, but after 18th century became more accurate owing to induction of western geographical thoughts and interchange with Ryukyu. 한국의 고지도 가운데 세계지도와 동아시아 지도, 일부의 제주도 지도에서 이어도 해역에 대한 인식을 볼 수 있다. 이어도 해역에 대한 바다 명칭이 붙여져 있지는 않으나 일부 문헌에서는 ‘백해(白海)’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사례가 있었다. 대부분 중국에서 들여온 지리지식에 기반한 것이 많았으나 조선전기 『해동제국기』의 지도나 조선후기 『해동삼국도』 등의 지도에서는 최신의 정보를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이어도 해역을 표현한 것도 있다. 중국의 경우 중화적 세계관에 입각한 전통적인 지도에서는 이어도 해역에 대한 인식이 미약하다. 서양선교사의 세계지도가 제작되면서 이어도 해역에 대한 인식은 점차 정교해졌다. 16세기 이전의 일본지도에서는 이어도 해역에 대한 인식이 거의 드러나지 않지만 서양의 지리지식이 유입되고 유구와의 교류가 증대되면서 제작된 18세기 이후의 지도에는 이어도 해역에 대한 인식이 풍부해졌다.

      • KCI등재

        중국 고지도에 표현된 제주도 인식의 변천

        오상학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13 문화 역사 지리 Vol.25 No.2

        한국, 중국, 일본이 둘러싸는 동북아시아 해역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주도는 과거 '탐라'라는 독립 왕조가 있었던 오랜 역사적 기원을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제주도는 인접한 중국의 고지도에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명대 이전의 고지도에 제주도에 관한 인식은 원대에 제작된 일부 지도에서 보이고 이전 시기의 지도에서는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명대의 지도에서 제주도에 대한 인식은 보다 진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6세기에 제작된 職方世界 중심의 전통적인 지도에서는 제주도가 '탐라'라는 역사지명과 함께 그려졌다. 1555년 제작된 『廣輿圖』의 「조선도」에는 이전 지도와 달리 '제주'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1602년에 제작된 마테오 리치의 『坤輿萬國全圖』는 제주 인식의 새로운 전기가 되었고, 이는 서양 지도의 제주 인식에도 영향을 주었다. 청대에는 명대보다 제주도의 인식이 훨씬 정교해지는데 1718년의 『皇輿全覽圖』의 「조선도」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황여전람도』에는 제주도가 한반도의 서남쪽에 제대로 위치해 있고, 위도는 약간의 편차가 있으나 경도는 거의 실제와 일치한다. 이러한 『황여전람도』의 제주 인식은 19세기의 『海國圖志』, 『萬國大地全圖』에 그대로 이어지고 1905년 『大淸帝國全圖』에는 제주가 더욱 정교하게 표현되었다. Jeju Island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Northeast Asian sea area has a long history of independent dynasty which had been called 'Tamna'. Jeju Island was variously represented in old Chinese maps. Jeju Island can hardly be seen in the maps of pre Ming dynasties except for maps made in Yuan Dynasty. Jeju Island was more clearly expressed in the maps made in Ming Dynasty. Jeju Island was represented with the historical place name, 'Tamna', in the traditional maps made in 16th century. The place name of 'Jeju' was seen for the first time in the Guangyutu(atlas of the world) which was made in 1555. Kunyu Wanguo Quantu created by Matteo Ricci became the turning point in the recognition of Jeju Island, and influenced the western maps. Jeju Island was more accurately represented in the maps of the Qing Dynasty like Huangyu quanlan tu compared to those of Ming Dynasty. Jeju Island was correctly described in the 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had accuracy in coordinates. The recognition of Jeju Island in the Huangyu quanlan tu lasted in Haiguo tuzhi and Wanguo Dadi Quantu and became more elaborated in Daqing Diguo Quantu made in 1905.

      • KCI등재

        목판본 「탐라지도」의 내용과 지도학적 특성

        오상학 한국지도학회 2016 한국지도학회지 Vol.16 No.2

        목판본 「탐라지도」는 여타의 제주도 지도와는 달리 격자 형태의 방격과 한라산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의 방위선이 그려져 있어서 일찍부터 학계의 관심을 끌었다. 「탐라지도」는 지도에 기재된 내용으로 볼 때, 1706년에서 1716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해안선의 윤곽과 표현 기법 등은 1709년의 「탐라지도병서」와 유사하여 같은 계열의 지도로 평가된다. 지도는 텍스트인 주기문을 같이 수록하고 있는데 제주도의 위치관계, 도서, 명소 등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탐라지도」는 방격법과 방위선법을 사용하고 있다. 방격법은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거리 관계를 명확히 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고, 방위선법은 주변국과의 위치관계를 정확하게 표현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방위선법은 서양의 포르톨라노 지도와 유사하나 실제 항해용으로 사용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Unlike other Jeju Island maps, the wood-block printed 「Tamna jido」 has direction line drawn centering on Hallasan Mountain and rectangular grid, and thus has drawn the attention of the academia since early on. From what is specified on the map, 「Tamna jido」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between 1706 and 1716. The overall coastal boundaries and expression techniques, etc. are similar to 1709 「Tamna jido byeongseo」, and is regarded as a map of the same kind. The map is accompanied by texts, comprised of topographical relations, islands, and famous places of Jeju Island. 「Tamna jido」 employs grid method and direction line method. The grid method comes from China, and aims at clarifying the distance relations, and the direction line method intends to express the topographical relations to neighboring countries accurately. The direction line method is a rare case that is hard to find in ancient maps of China or Korea. The direction line method is similar to portolan charts of the West, but it appears that it had not been used for actual voyage navigation.

      • KCI등재

        고려시대 제주 법화사의 역사지리적 고찰

        오상학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1

        법화사는 고려시대 제주의 대표적인 사찰로 조선중기까지 이어져 내려왔다. 일부에서는 장보고가 법화사를 창건했다고 보고 있으나 이를 입증할 수 있는 문헌사료나 고고학적 유물이 없기 때문에 장보고와 연관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보다는 고려시대 불교가 제주 지역으로 유입되면서 비보사찰로서 창건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후 원의 탐라 지배가 본격화되면서 대사찰로 중창되어 원나라 황실의 원찰과 더불어 원 지배세력의 근거지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법화사의 입지에는 용천수가 큰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주변 중심취락과의 접근성, 사원의 재정에 긴요한 경지의 확보 등이 입지에 영향을 주었던 요인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법화사 주변의 벼농사 가능지역은 법화사의 경제적 기반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Beophwasa was a representative temple that existed in Jeju island until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are not historical records and archeological relics, it is impossible to insist that Jang Bogo established Beophwasa temple. It will be reasonable to say that Beophwasa temple was founded in the period of introduction of Buddhism in Jeju. After Mongolian domination over Jeju, Beophwasa became a temple of Mongolian imperial household and a stronghold. The site of spring water greatly influenced the location of Beophwasa temple, and the accessibility to central settlements, obtainment of arable land for temple were the important factors of location. In particular, the rice farming region around Beophwasa temple was a helpful resource for economy of temple.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제주도 9진성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고지도에 표현된 내용을 중심으로-

        오상학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9 한국고지도연구 Vol.11 No.1

        조선시대 제주도에서는 해안 방어를 위해 화북진성, 조천진성, 별방진성, 수산진성, 서귀진성, 모슬진성, 차귀진성, 명월진성,애월진성 등 9개의 진성을 축조하여 운영하였다. 15세기에서 17세기에 걸쳐 진성이 축조되었는데, 현존하는 회화식 고지도에서 구체적인 모습을 파악해 볼 수 있다. 1694년 이익태 목사가 제작한 탐라십경도 계열의 지도와 1702년 이형상 목사가 제작한 탐라순력도에는 9진성의 모습이 잘 표현되어 있다. 성곽의 형태는 대부분 원형 또는 타원형이지만 수산진성, 차귀진성처럼 사각형의 형태를 띤 것도 있다. 모든 진성에 성문이 설치되어있는데, 한 개에서 세 개까지 다양하게 설치되었다. 모든 진성에는 객사와 무기고가 들어서 있다. 객사인 경우 일부기와지붕으로 된 것도 있지만 대부분 초가로 되어 있다. 명월진이나 별방진처럼 큰 규모의 성에는 성안에 우물이있으나 대부분의 진성에는 우물이 없어서 근처의 용천수를 이용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