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시진핑 시기 중국 정책조언자들의 대일본 인식 변화

        연상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21 국가와 정치 Vol.27 No.2

        The Sino-Japanese relationship has deteriorated to its lowest point during the last years of Hu Jintao leadership(2010-2012) and the early years of Xi Jinping leadership(2012-2016). The tension of Sino-Japanese relationship had been reflected markedly in the incidents, which took place in 2010 over the sovereignty of the Senkaku/Diaoyu Islands. A worsening of bilateral relations began since the Chinese government adopted a hardline Japan policy in the last years of the Hu Jintao leadership. However, a worsening of bilateral relations began to diminished a little and a bilateral relationship has improved to a certain extent due to the official visit of the Japan’s Prime Minister Abe to China in October 2018. How can we explain the conundrum where hostil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escalating while economic interdependence between the two is ever so growing? And how can we explain the reason why a bilateral relationship has improved to a certain extent since 2017. This thesis aims to answer the question by studying the change in Chinese Policy Advisors’ Perceptions of Japan under the Xi Jinping Government. China’s perceptions of Japan is playing a important role in recent Sino-Japanese relations and policy advisors’ perception is gaining more influence in foreign policy due to growing complexities of China’s foreign policy recently. With the passage of time Chinese policy advisors’ perceptions of Japan became better from worse. What is intriguing about change in Chinese Policy Advisors’ Perceptions is that while their perceptions about the situation are negative, their predictions and prescriptions are positive. It means that while they are still unhappy about Japan’s China policy, they feel the need of better relationship for the China’s national interest. Chinese policy advisors’ perceptions of Japan under the last years the Xi Jinping leadership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hina needs to attract Japan toward China in order to win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secondly China has successfully neutralized Japan’s effective control of the Senkaku/Diaoyu Islands by sending naval ships into the waters off Senkaku/Diaoyu Islands frequently. However, bilateral relations will not improve significantly due to change in Chinese perceptions of Japan. Because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which is Sino-Japanese historical rivalry and U.S.-Japanese alliance. 중일관계는 후진타오 정부의 후반기(2010~2012년) 및 시진핑 정부의 전반기(2012~2016년)에 최악의 상태를 맞은 바 있다. 이 시기에 발생한 중일관계의 긴장은 2010년 이래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영유권분쟁을 둘러싸고 집중적으로 표출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양국관계의 악화는 후 정부의 후반기에 중국정부가 강경한대일정책을 채택하여 시작된 것이다. 그런데 중일관계의 악화가 2017년에 들어서다소 완화되기 시작했으며, 2018년 10월 아베 일본 총리가 중국을 공식 방문함으로써 관계가 제한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할 수 있다. 중국과 일본 간에 경제관계가 확대되고 있던 시기에 양국 간에 증오가 증대한 수수께끼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그리고 양국관계가 2017년 이후 제한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있는가? 본 연구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시진핑 정부 시기 정책조언자들의 대일인식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현재 중일관계에서 중국의 대일 인식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서 중국외교정책의 증대하는 복잡성으로 인해 정책조언자들의 인식이 외교정책에 대해 점점 더 많은 영향력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주류학자들의 대일 인식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정적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했다. 학자들의 대일 인식 변화에 있어서 흥미로운 점은, 양국관계의 현황에 대해서는부정적이지만 전망과 처방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이다. 이는 학자들이 일본의 대중정책이 여전히 부정적이었지만, 중국의 국가이익을 위해서 양국관계를 개선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다. 시 정부 후반기에 주류학자들의 긍정적인 대일 인식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은 미중 전략적 경쟁에 따라, 일본을 중국 편으로 끌어올 필요가 있다. 둘째, 중국은 센카쿠 주변수역에 해군선박을 수시로 진입시킴으로써, 일본의 실효적지배를 무력화시켰다. 하지만 중국의 대일 인식 변화에 따라 중일관계가 현저하게개선될 가능성은 없다. 이는 중일관계의 구조적 문제, 즉 중일 간의 역사적인 경쟁의식, 미일동맹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 희토류 성분의 바이오세라믹볼이 첨가된 가정용 전해 차아염소산살균수기에서 생성된 물의 물성 변화

        연상,김충환,민채원,정양호,전형탁 한국물학회 2021 한국물학회지 Vol.9 No.1

        Covid-19의 팬데믹 상황이 장기화 되면서 개인 위생과 건강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효과적이고 휴대가 용이한 살균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차아염소산수는 인체 안전성과 살균효과를 인정받으면서 표면과 공기 소독의 사용이 늘고 있으며, 휴대용 전기분해살균수기는 높은 살균력과 휴대의 용이성 때문에 판매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안정성이 입증된 바이오세라믹 볼을 가정용 전기분해 살균수기에 첨가하여 수돗물을 원수로 생성된 물의 성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성된 살균수의 성질을 확인하기 위해 산도(pH) 총고형량(total dessolved solids; TDS), 전기전도도(electric current; EC), 산화환원전위(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수소(H2) 농도 및 염소 농도 (available chlorine concentration; ACC)를 측정하였으며, 자기공명분석법을 사용하여 물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살균력의 관찰을 위해 ATP 유기물 오염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물의 전기분해 횟수가 증가할수록 두 실험군은 ORP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수돗물을 원수로하여 바이오세라믹볼을 첨가한 전해수는 볼을 첨가하지 않은 전해수와 비교하여 더 낮은 마이너스 값을 나타냄으로써 환원력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볼을 첨가한 결과에서 TDS와 EC 값은 대조군에서 증가하는 것과 달리 실험군에서 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두 전해수의 염소 농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 ATP 유기물 오염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살균력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물을 전기분해할 때 희토류 성분이 함유된 세라믹볼을 첨가하면 물분자 크기의 감소로 흡수력이 증가하고 ORP와 ACC 수준의 변화로 환원력과 살균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후진타오 시기 중국 정책조언자들의 대일본 인식 변화

        연상모 ( Yeon Sangmo ) 한일군사문화학회 2017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4 No.-

        현재 중일관계는 1972년 양국 관계정상화 이래 최악의 상태를 맞고 있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중일관계의 긴장은 2010년 및 2012년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영유권분쟁을 둘러싸고 집중적으로 표출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양국의 정치·안보관계 악화는 후진타오 정부의 말기에 중국정부가 강경한 대일정책을 채택하여 시작된 것으로서, 이후에 출범한 시진핑 정부 하에서도 양국관계의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할 수 있다. 중국과 일본 간에 경제관계가 확대되고 있는 이 시기에 양국 간에 증오가 증대하는 수수께끼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후 정부 시기 정책조언자들의 대일 인식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현재 중일관계에서 중국의 대일 인식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서 중국외교정책의 증대하는 복잡성으로 인해 정책조언자들의 인식이 외교정책에 대해 점점 더 많은 영향력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후 정부 시기에 주류학자들의 대일 인식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부정적으로 변화하여 말기에 최고조에 이르렀다. 후 정부 초기와 중기에 학자들은 중국의 정치·안보적 이익과 경제적 이익을 위해 양국 간 협력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하지만 말기에 들어서 양국의 정치·안보적 협력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었고 경제적 협력의 공간이 많이 축소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학자들은 말기에 양국관계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다. 후 정부 말기에 주류학자들의 부정적인 대일 인식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일본의 대중 강경정책은 이제 역전되기 어려우며, 이러한 상황에서 강대국이라는 정체성을 갖게 된 중국은 핵심이익을 적극적으로 수호해야 하며 시간이 중국의 편이므로 강경정책을 사용하여 조만간 일본으로 하여금 중국에 순응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후 정부가 말기에 갑자기 대일 강경정책을 채택한 것은 주류학자들의 이러한 합리적인 판단에 공감한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일본이 미일동맹을 통한 강경한 대중정책을 포기할 가능성이 없고 중국은 강대국이라는 정체성을 더욱 갖게 될 것이기 때문에, 중국정부의 대일 강경정책이 유지될 것이며 양국관계 악화는 상당 기간 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The Sino-Japanese relationship has deteriorated to its lowest point today since the two countries normalized their relations in 1972. A recent tension of Sino-Japanese relations has been reflected markedly in the incidents, which took place in 2010 and 2012 over the sovereignty of the Senkaku/Diaoyu Islands. A worsening of bilateral political and security relations began since the Chinese government adopted a hardline Japan policy in the last years of the Hu Jintao leadership, and the worsening of bilateral relations continues under the Xi Jinping government which was inaugurated thereafter. How can we explain the conundrum where hostil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escalating while economic interdependence between the two is ever so growing? This thesis aims to answer the question by studying Chinese policy advisors’ perceptions of Japan under the Hu government. China’s perceptions of Japan is playing a important role in recent Sino-Japanese relations and policy advisors’ perception is gaining more influence in foreign policy due to growing complexities of China’s foreign policy recently. Chinese policy advisors’ perceptions of Japan under the Hu government became worse and reached its lowest point in the last years. Initially Chinese policy advisors argued for bilateral cooperation considering political and security and economic interests of China. However, they came to realize in the last years that bilateral political and security cooperation was almost impossible and a room for b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diminished significantly. And they came to have very negative perceptions of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bilateral relationship. Chinese policy advisors’ negative perceptions of Japan under the Hu government in the last yea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Japan’s hardline China policy can not be reversed, secondly under these circumstances China which has obtained the identity of a great power has to actively protect the core interests and make Japan surrender in the near future by adopting a hardline policy towards Japan believing that time is on the side of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appeared to adopt a hardline Japan policy abruptly under the Hu government in the last years, for it accepted a rational judgment of policy advisors. In this thesis, therefore, I present my belief that the Chinese government will maintain a hardline Japan policy and a worsening of bilateral relations will las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Japan will maintain a hardline China policy by strengthening U.S.-Japanese alliance for the time being and China will have much stronger identity of a great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