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메타세콰이아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구과(毬果) 정유의 향취 및 휘발성 화학성분

        연보람(Bo Ram Yeon),조해미(Hae Me Cho),정미순(Mi Soon Jeong ),김성문(Song Mun Kim) 韓國雜草學會 2011 Weed&Turfgrass Science Vol.31 No.2

        메타세콰이아 (Metasequoia glyptostroboides)의 구과로부터 수증기증류법을 이용하여 정유를 추출하였고, 정유의 향취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화학성분을 solid-phase microextraction 장치가 장착된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메타세콰이아의 구과에 함유된 정유는 0.4% 이었다. 정유의 주향취는 woody, coniferous, herbal 이었으며, 부향취는 minty, spicy, oily이었다. 정유에서는 총 9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이들을 화학성분별로 구분하면 탄화수소가 8종 그리고 옥사이드가 1종이었다. 정유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limonene (66.18%), δ-3-carene (11.11%), β-caryophyllene (6.66%), β-myrcene (5.92%), β-pinene (4.14%), caryophyllene oxide (2.39%), camphene (2.32%), α-caryophyllene (0.85%), and tricyclene (0.43%) 이었다. 메타세콰이아 구과로부터 얻은 정유의 herbal과 minty 향취는 limonene과 δ-3-carene, spicy 향취는 caryophyllene, coniferous 향취는 α-pinene 과 β-pinene, oily 향취는 camphene에 의해 발현된 것이라 판단된다. Essential oil was extracted from cones of metasequoia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by steam distillation, fragrance was determined by sensorial analysis and chemic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ith solid-phase microextraction apparatus. Metasequia contained 0.40% of essential oil in the cone. Major impact fragrances of the essential oil were woody, coniferous and herbal, and minor impact fragrances were minty, spicy and oily. There were nine constituents in the essential oil: 8 hydrocarbons and 1 oxide. Constituents were limonene (66.18%), δ-3-carene (11.11%), β-caryophyllene (6.66%), β-myrcene (5.92%), β-pinene (4.14%), caryophyllene oxide (2.39%), camphene (2.32%), α-caryophyllene (0.85%), and tricyclene (0.43%). Herbal and minty frangrances could be due to limonene and δ-3-carene, spicy frangrance to caryophyllene, woody and coniferous frangrances to α-pinene and β-pinene, and oily fragrance to camphene.

      • KCI등재

        곰취(Ligularia fischeri)와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prmis) 정유의 향취 및 향기성분 비교

        연보람(Bo-Ram Yeon),조해미(Hae Me Cho),윤미선(Mi Sun Yun),주진우(Jin-Woo Jhoo),정지욱(Ji Wook Jung),박유화(Yu Hwa Park),김성문(Songm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곰취(Ligularia fischeri)와 한대리곰취(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prmis) 정유의 향취 및 화학성분을 비교하는데 있다. 곰취와 한대리곰취의 정유 함량은 각각 0.12%와 0.04%였으며, 역치수준은 각각 0.01%와 0.1%였다. 향수개발전문가에 의해 평가된 곰취 정유의 향취는 citrus, coniferous, green, oily, smoky, wet하였던 반면 한대리곰취 정유의 향취는 balsam, earthy, oily, wet하여 매우 상이하였다. 곰취 정유에는 총 19종의 화학성분이 검출되었는데 탄화수소가 14종(75%), 알코올이 4종(20%), 아세테이트가 1종(5%)이었으며, 주된 화학성분은 L-β-pinene(36.02%), D-limonene(25.64%), α-pinene(24.85%), β-phellandrene(5.39%), 3-carene(3.77%), α-phellandrene(2.05%)이었다. 한대리곰취 정유에는 총 25종의 화학성분이 검출되었는데 탄화수소 17종(68%), 알코올 4종(16%), 아세테이트 3종(12%), 질소화합물 1종(4%)이었으며, 주된 화학성분은 D-limonene(39.80%), L-β-pinene(35.43%) α-pinene(11.94%), 3-carene(3.70%), β-cubebene(3.51%), β-phellandrene(2.38%)이었다. 한대리곰취 정유에서는 ρ-cymene, γ-muurolene, γ-cadinene, germacrene D, ingol 12-acetate, butyl 9,12,15-octadecatriene과 nimorazole이 미량 검출되었으나, 곰취 정유에서는 이러한 화학성분들이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각각 독특한 향취를 갖는 곰취와 한대리곰취 정유는 향장산업제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fragrance and volatile chemicals of essential oils in Gom-chewi (Ligularia fischeri) and Handaeri Gom-chewi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prmis).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of leaves of Gom-chewi (GC) and Handaeri Gom-chewi (HGC), after which samples were collected by solid-phase micro extraction and the compositions of the essential oil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The yields of the essential oils in GC and HGC were 0.12% and 0.04%, respectively, and the threshold levels of the essential oils in GC and HGC were 0.01% and 0.1%, respectively. There were 19 constituents of the essential oil of Gom-chewi: 14 carbohydrates, 4 alcohols, and 1 acetate, and the major constituents were L-β-pinene (36.02%), D-limonene (25.64%), α-pinene (24.85%) and β-phellandrene (5.39%). In the essential oil of HGC, 25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17 carbohydrates, 4 alcohols, 3 acetates, and 1 N-containing compound, and the major constituents of HGC were D-limonene (39.74%), L-β-pinene (35.43%) and α-pinene (11.94%). The minor constituents of HGC were ρ-cymene, γ-muurolene, γ-cadinene, germacrene D, ingol 12-acetate and butyl 9,12,15-octadecatriene and nimorazole were not identified in the GC essential oil.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agrance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essential oils in GC and HGC differed, suggesting that both essential oils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perfumery products.

      • KCI등재

        가막사리(Bidens tripartita L.) 정유의 향취, 화학성분 및 세포독성

        윤미선(Mi Sun Yun),연보람(Bo-Ram Yeon),조해미(Hae Me Cho),이사은(Sa Eun Lee),주진우(Jin-Woo Jhoo),정지욱(Ji Wook Jung),박유화(Yu-Hwa Park),김성문(Songmun Kim) 韓國雜草學會 2012 Weed&Turfgrass Science Vol.32 No.3

        가막사리는 우리나라 전역의 논에서 다발생하여 농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일년생잡초이지만 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막사리 정유를 향장산업제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구명하는데 있다. 가막사리에 함유된 정유의 함량은 $0.028{\pm}0.003%$이었으며, 역치값은 0.1%이었으며, 향취는 green, herbal, oily, spicy이었다. 가막사리 정유에는 탄화수소 17종, 알코올 6종, 아세테이트 6종, 질소화합물 5종, 에테르 3종, 케톤 3종, 락톤 1종, 황화합물 1종 등 총 42종의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함량 성분은 α-phellandrene(22.50%), α-pinene(22.21%), 2,4-dimethyl(2,5-dimethylphenyl)methyl ester benzoic acid(15.11%), limonene(10.66%), β-pinene(35.43%), β-cubebene(5.27%)이었다. 가막사리 정유가 HaCaT 각질형성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한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가막사리 정유의 IC50값은 0.018%이었으며,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피부자극유발시험을 수행한 결과 가막사리 정유 0.1% 처리에도 그 어떠한 발진이나 수포도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막사리 정유가 향장제품을 위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여 준다. The essential oil was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from the aerial part of erect bur-marigold (Bidens tripartita L.), one of the noxious weed in paddy field. The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fragrance of the essential oil was green, herbal, oily, spicy. There were 42 constituents in the essential oil:17 hydrocarbons, 6 alcohols, 6 acetates, 5 N-containing compounds, 3 ethers, 3 ketones, 1 lactone and 1 S-containing compound. Major constituents were α-phellandrene (22.50%), α-pinene (22.21%), 2,4-dimethyl (2,5-dimethylphenyl) methyl ester benzoic acid (15.11%), limonene (10.66%), β-pinene (35.43%), and β-cubebene (5.27%). The IC50 value in MTT assay using HaCaT keratinocyte cell line was 0.018%. However, attachment of patch with 0.1% of the erect bur-marigold essential oil for 24 hr did not show any skin toxicity.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ssential oil of erect bur-marigold could be used as a 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perfumery industrial products.

      • KCI등재

        천연정유 Cajuput (Melaleuca cajeputi) 유래 Benzaldehyde의 살초활성

        이사은(Sa-Eun Lee),윤미선(Mi-Sun Yun),연보람(Bo-Ram Yeon),최정섭(Jung-Sup Choi),조남규(Nam-Kyu Cho),황기환(Ki-Hwan Hwang),王海英(Hai-Ying Wang),김성문(Songmun Kim) 韓國雜草學會 2010 Weed&Turfgrass Science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살초활성물질을 탐색하여 제초제 개발을 위한 선도 화합물을 발굴하는데 있었다. Amyris(Amyris balsamifera), cajuput(Melaleuca cajeputi), geranium(Pelargonium graveolens), lavender(Lavendula spp.), mandarin(Citrus reticulata), pine(Pinus spp.) 및 rosemary(Rosmarius officinale) 정유에 대한 살초력을 유채(Brassica napus)를 대상으로 in vitro에서 수행한 결과, cajuput 정유의 살초력이 가장 높았다(GR50 값, 425㎍ g-1). Cajuput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주된 생리활성물질들은 eucalyptol 37,2%, a-terpineol 11.6%, benzaldehyde 5.2%, linalool 4.1%, a-pinene 2.5%, β-pinene 2.4%이었으며, 이들 생리활성물질의 살초력(GR50 값)은 각각 2,731, 500, 50, 372, 4,363, 4,671㎍ g⁻¹이었다. Benzaldehyde의 살초력은 기 보고된 eucalyptol(1,8-cineole)과 a-pinene보다 높았으므로 향후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선도화합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Cajuput 정유와 이에 함유되어 있는 가장 높은 살초력을 보였던 benzaldehyde를 80㎏ ha-1 토양처리하였을 때에는 그 어떠한 살초효과도 관찰할 수 없었으나, 경엽처리 하였을 때에는 화본과잡초인 수수, 돌피, 바랭이는 100% 고사되었다. 그러나 살초효과는 20㎏ ha-1 이하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 는 cajuput 정유와 benzaldehyde의 높은 휘발성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본 연구의 결과 cajuput 정유의 살초효과는 높은 약량에서만 나타났으므로 약량저감을 위한 처리시기 재설정과 살초력을 높일 수 있는 제형개발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herbicidal compounds from seven different plant essential oils such as amyris (Amyris balsamifera), cajuput (Melaleuca cajeputi), geranium (Pelargonium graveolens), lavender (Lavendula spp.), mandarin (Citrus reticulata), pine (Pinus spp.) and rosemary (Rosmarius officinale), and determine their herbicidal activities. The in vitro herbicidal activity of cajuput essential oil was the highest among six essential oils (GR50 value, 425 ug g-1) and major chemical component in cajuput essential oil were eucalyptol (37.2%), a-terpineol (11.6%), benzaldehyde (5.2%) linalool (4.1%), a-pinene (2.5%) and β-pinene (2.4%), and their GR50 value were 2,731, 500, 50, 372, 4,363, and 4,671 μg g-1, respectively. Soil application of cajuput essential oil and benzaldehyde did not show any herbicidal activity at 80㎏ ha-1. When cajuput essential oil was applied to foliar at 80㎏ ha-1. narrow-leaved plants such as sorghum (Sorghum bicolar),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and southern crabgrass (Digitaria ciliaris) were killed 100%, however, broad-leaved plants indian jointvetch (Aeschynomeme indica), velvet leaf (Abutilon theophrasti), cocklebur (Xanthium strumarium), Japanese morningglory (Calystegia japonica) were not killed, indicating the cajuput essential oil was effective to control narrow-leaved plants. Herbicidal activities of benzaldehyde at 80 ㎏ ha-1, to those plants were 20, 60 and 95%, respectively. Overall data showed that the herbicidal activity of cajuput essential oil was in part due to benzaldehyde.

      • KCI등재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낙과 배 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신보(Bo Yeon Shin),보람(Bo Ram Jung),정종기(Jong Gi Jung),조승식(Seung Sik Cho),방미애(Mi Ae B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에서는 낙과 배 물 추출물에 존재하는 미백기능 유효성분으로써 arbutin을 선정하여 HPLC를 통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낙과 배 물 추출물로 미백 효과를 알아보았다. 낙과 배 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내 tyrosinase 저해 효과, melanin 생성 저해 효과, tyrosinase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낙과 배 물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과 B16F10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MiTF와 tyrosinase의 발현의 억제를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mushroom tyrosinase 결과를 통해 melanin 생성 과정에 있어 tyrosinase를 직접 저해하는 것이 아닌 세포 내에서 tyrosinase의 발현 조절을 통해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낙과 배 물 추출물은 천연 arbutin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낙과 배를 이용한 새로운 뷰티케어 소재를 개발하고 이들의 피부 기능성을 밝혀냄으로써 낙과 배의 다양한 활용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하여 국내 과실 농가 및 관련 사업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of fallen pear (FPWE)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FPWE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B16F10 melanoma cell tyrosinase activity, melanin contents, and expression of melanogenic enzyme proteins such as tyrosinase. An apparent down-regula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was observed when B16F10 cells were incubated with FPWE. Results of melanin assay using B16F10 cell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50, 125, and 250 μg/mL) of FPWE showed a dose-dependent decrease in melanin conte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FPWE indirectly affects tyrosinase activity, we assess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upon treatment with various concentrations (125, 250, 500, and 1,000 μg/mL) of FPW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protein level of tyrosinase by using Western blotting. Tyrosinase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expression levels in B16F10 melanoma cells were re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FPW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PWE reduced melanin formation by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Therefore, we suggest that FPWE could be used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for sk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