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소비량 절감목표 산정 방법 - 에너지소비량 실적 데이터 기반 -

        여창재,유정호,문현석,김승진,Yeo, Changjae,Yu, Jungho,Moon, Hyunseok,Kim, Seungji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6 No.3

        온실가스 배출 감소 및 에너지소비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많은 정책들이 수립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건축물에 대하여 일괄적인 에너지 절감률을 적용하고 있다. 일괄적인 에너지소비량 절감율을 일괄적으로 적용할 경우, 에너지소비량이 적은 건축물은 이를 달성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에너지소비특성에 따른 건축물 분류와 건축물의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개별적인 에너지소비량 절감률 산정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에너지소비량 특성 분석결과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에너지소비량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건축물을 분류하였다. 또한 기존의 건축물 에너지절감과 관련한 제도들을 분석하여 건축물의 에너지소비량 절감 목표 및 대상 등을 선정하였고. 이을 바탕으로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절감률 공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서울시 공공건축물 중 제1종 근린생활시설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공식을 적용할 경우 국가 온실가스 배출로드맵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절감률 26%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건축물의 개별적인 목표 에너지절감률을 산정할 수 있지만, 건축물 목표 에너지 절감률을 실제건축물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에너지소비량과 에너지소요량의 관계 및 건축물에서 절감 가능한 에너지소비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re are a number of polici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to reduce greenhouse gases emissions and reduce energy consumption. These polices, however, only reflect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saving rate without consider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 If building that already use less energy apply the same saving rate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t is less effective.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building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d approaches to adopt individual reduction rates according to energy consump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nergy consumption depending on building use, and therefore, we classified buildings by use. We also proposed a formula to set a reduction goal for rate of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energy consumption. We verified our approach in a top-end neighborhood facility in Seoul. The energy consumption savings goal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individually, but determining whether a building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towards a saving goal requires a closer look at each build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BIM기반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인증 업무 지원 시스템 개발

        여창재(Chang Jae Yeo),유정호(Jung Ho Yu)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17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Vol.12 No.2

        Objective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simulation is required in the stages of using energy performance program (ECO2) for evaluating the current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However, if 2D drawings are use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required information extraction and input are done manually and work hour depends on user’s ability and information are sometimes omitted or errored, which leads to work inefficiency. If such problems are also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s in design information management environment related to BIM’s extended application as mentioned earlier, problems caused by 2D-based can be solved.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method of extracting and extractable informationfrom in BIM by analyzing the energy efficiency rating certification work status and related request information. In addition, we propose a method to create and manage information that is not present information in BIM but needs information to be managed by BIM. Also, We proposed a method to modify the BIM can use in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class certification. Based on this, we developed a system to support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class certification by using BIM. Through case study, we confirmed that the efficiency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class certification using BIM is higher than that of existing method. This study is expected to minimize data omission and error in the creating process of input information required for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certification tasks by automatizing information input process.

      • KCI등재

        BIM기반 건축물 인허가 신청을 위한 정보 관리방안

        여창재(ChangJae Yeo),김가람(Karam Kim),김구택(Gutak Kim),유정호(JungHo Yu) (사)한국CDE학회 2016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21 No.3

        Around the world, BIM application has been mandated. In Korea, an announcement was made in 2016 that BIM application will be required for all public constructions ordered by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However, BIM cannot be used for building permits as Seumter, a building permit system, doesn’t support BIM, even if it was used for building design. To utilize BIM for permit application, this study introduces a method of management for BIM-used permit application information. It was done by analyzing the data entered for new building permit application in Seumter. For the analysis, the permit application information is classified as internal BIM information and external BIM information and the required information is defined. To easily create and utilize the data types at the design stage, this study introduces a method of creating and utilizing a permit template. Also, this study developed a tool for combining the area information to add up all the related information such as gross floor area and floor area rati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required information for new building permit application among all the permit application types in Korea.

      • KCI등재

        북한 급변사태 시 한국 개입의 정당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여창재 ( Yeo Changjae ),최태수 ( Choi Taesoo ),신진 ( Shin Jin ) 미래군사학회 2024 한국군사학논총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법과 국제법의 검토와 동구권 3개국 등의 급변사태 사례분석을 통해 북한 급변사태 시 한국 개입의 정당성 확보방안과 과제를 도출해 보았다. 북한은 지속되는 경제난, 식량난 등에도 불구하고 무리한 도발 행위를 멈추지 않고 있고, 이는 다시 국제사회의 제재로 이어져 북한의 상황을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국제정세의 급변시기와 맞물리게 될 경우 북한의 급변사태는 언제라도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에 대비하여 개입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장기적이고 주도적이며 선제적인 대응방안을 준비해야 한다. 특히 유엔헌장을 활용한 개입, 자위권 차원의 개입, 북한 정부 또는 단체의 요청에 의한 개입, 타국의 내정간섭 차단을 위한 개입 방안들을 우선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through a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w and analysis of cases of sudden changes in three Eastern European countries, we derived measures and task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South Korea's intervention in the event of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North Korea has not stopped its unreasonable provocations despite the ongoing economic and food shortages, which in turn has led to sanction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urther destabilizing the situation in North Korea. If this situation coincides with a period of rapid change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North Korea could undergo a sudden change at any time. Therefore, South Korea must prepare a long-term, proactive, and preemptive response plan to secure the legitimacy of intervention in preparation for the occurrence of a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first consider intervention utilizing the UN Charter, intervention at the level of self-defense, intervention at the request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or organizations, and intervention to block interference in other countries' internal affairs.

      • KCI등재

        IFC-BIM을 활용한 실내공기질 인증 요구정보 생성 자동화

        홍심희,여창재,유정호,Hong, Simheee,Yeo, Changjae,Yu, Jungh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7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8 No.3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새집증후군과 같은 문제들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실내공기질에 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따라 실내환경을 관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 및 제도를 제정하였으며, 공공건물에서의 친환경제도 인증을 필수화하였다.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인증제도는 크게 3가지로 도면기반으로 인증을 평가하는 건강친화형 주택건설기준과 녹색건축인증 그리고 측정정보 기반으로 인증을 평가하는 실내공기질 인증이 있다. 이중 도면기반으로 인증을 평가는 제도들을 업무의 비중 대비 과도한 업무량이 요구된다. 친환경인증업무를 수행하는 한 회사의 인터뷰 결과 평균 업무비중보다 2배 이상의 소요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2D기반의 작업환경에서 면적에 관한 정보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측정하여 필요이상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D기반의 BIM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기질 평가 자동화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국제표준 포맷인 IFC 파일을 이용하여 필요한 면적정보 및 자재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이를 모델에 적용하여 자동화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인증을 위해 필요한 업무시간을 단축하고 업무효율성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contemporary society, it is increasingly common to spend more time indoors. As such, there is a continually growing desire to build comfortable and safe indoor environments. Along with this trend, however, there are some serious indoor-environment challenges, such as the quality of indoor air and Sick House Syndrome. To address these concerns the government implements various systems to supervise and manage indoor environments. For exampl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s now compulsory for public buildings.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related to indoor air in Korea: Health-Friendly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Green Standard for Energy & Environmental Design(G-SEED), and Indoor Air Certification. The first two types of certification, Health-Friendly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and G-SEED, evaluate data in a drawing plan. In comparison, the Indoor Air Certification evaluates measured data. The certification using data from a drawing requir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compared to other work. A 2D tool needs to be employed to measure the area manually. Thus, this study proposes an automatic assessment process using a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model based on 3D data. This process, using open source Industry Foundation Classes(IFC), exports data for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extracts the data to create an Excel sheet for the certification. This is expected to improve the work process and reduce the workload associated with evaluating indoor air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