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화학분야의 수준별 학습지도안 연구

        엄우용,이장현,김정성,윤문영,Eom, U Yong,Lee, Jang Hyeon,Kim, Jeong Seong,Yun, Mun Yeong 대한화학회 2001 대한화학회지 Vol.45 No.6

        The basic tenet of science education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teaching by learner's academic levels. It is a kind of new approach to both of teachers and students, but there has been little preparation in school fields for the new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and constraints of the approach, and suggested the types of learning methods for the approach. And then this study explored the guidelines for writing a lesson plan for the science education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pecifically, this study presented an example of lesson plan for a unit of middle school chemistry.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학습의 핵심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나누어 학습을 하는 것이다. 이는 수준별 심화${\cdot}$보충형 학습으로 특징지워지는데, 교육현장에서 이에 대한 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과학과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특성과 제한점을 분석하고, 수준별 학습에 적합한 학습유형을 제시하며, 이들을 토대로 제 7차 교육과정에 취지에 적합한 과학과의 학습지도안 작성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화학분야의 한 단원을 선정하여 수준별 심화${\cdot}$보충학습을 위한 학습지도안의 예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가정학습체제 학습관리시스템의 상호작용 지원 기능 분석

        엄우용 ( Woo Yong Eom ),안병규 ( Byeong Gyu A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국내 시·도교육청에서 운영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체제 학습관리시스템의 상호작용 지원 기능, 상호작용 유형 지원 기능, 그리고 상호작용 영역 지원 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6개 시·도교육청 사이버가정학습체제의 학습관리시스템이 분석되었다. 학습관리시스템의 분석은 상호작용 지원 기능, 상호작용 유형별 지원기능, 그리고 상호작용 영역별 지원 기능에 따라 분석되었다. 상호작용 지원기능 분석결과, 부산, 광주 그리고 경북이 각각 13개의 상호작용 지원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하이퍼링크`, `게시판`, `자료실`, `쪽지·채팅` 기능은 16개 시·도가 모두 제공하고 있었다. 상호작용 유형 지원 기능에서는 전체적으로 `학습자와 운영자 및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지원 기능이 가장 많았으며, `학습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 지원 기능이 가장 적었다. 학습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 지원 기능은 `부산`이 가장 많았으며, `학습자와 교수자` 간 상호작용 지원 기능은 `경남`이, `학습자와 운영자 및 시스템`과의 상호작용 지원 기능은 `전북`, `경남`, `제주`가 가장 많이 제공하였다. 학습관리시스템의 상호작용 영역 지원 기능은 주로 사회적 교류와 지식 베이스 영역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이 많았다. 그러나, 협력학습이나 평가 및 보상 영역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은 매우 적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functions for supporting interactions, for supporting interaction types, and for supporting interaction domains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LMS) for cyber home learning system. To achieve the purpose, 16 LMSs from educational district office of each province or metropolitan city have been analyzed. For the supporting interactions, LMSs from Busan, Gwanju, and Gyungbook have provided 13 functions. Every province or metropolitan city has provided functions such as hyperlink, bulletin board, PDS, and SMS or chatting. For the functions to support interaction types, functions for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system manager or systems itself were the most and functions for interaction among learners were the least. Busan was the most for the interaction among learners, Gyungnam was the most for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teacher, and Jeonbook, Gyungnam, and Jeju were the most for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system manager. For the functions to support interaction domains, there were the most for functions to support social transaction and knowledge base, but there were the least for functions to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evaluation and reward. These results imply that functions to support interactions in LMS should be derived from research, that LMS should provide more functions to support interaction among learners, and that LMS should provide more functions to support interactions for collaborative learning, planning & reflection, and evaluation & rewar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교원이 지각하는 플립드러닝 수용 및 활용 의도 분석

        엄우용 ( Eom Wooyong ),이희명 ( Lee Heemyeong ),이성아 ( Lee Seonga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초등교원의 플립드러닝에 대하여 지각하는 수용 및 활용 의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인 변인에 따라 초등교원이 지각하는 플립드러닝의 수용 및 활용 의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원이 지각하는 플립드러닝의 수용 및 활용 의도가 지속적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항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플립드러닝 관련 연수에 참여하였거나, 실제 플립드러닝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초등교원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상대적 유용성, 적합성, 복잡성, 관찰가능성, 시도가능성, 지속적 수용 의도, 자기효능감 척도와 플립드러닝 운영 현황,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살펴보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입력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드러닝을 운영하는 초등교원은 스마트기기의 앱이나 P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제작한 플립드러닝 사전학습자료를 YouTube나 클래스팅, 밴드 등을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SNS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사전학습 여부를 확인하고, 수업 중 활동으로 모둠별 문제해결학습을 실시하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플립드러닝의 운영 경험이 많은 초등교원일수록 플립드러닝의 수용 및 활용 의도가 높다. 또한, 초등교원이 지각하는 플립드러닝 수용 및 활용 의도는 성별, 학력,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다. 반면, 경력에 따른 플립드러닝의 수용 및 활용 의도의 차이는 없다. 셋째, 초등교원이 지각하는 플립드러닝의 수용 및 활용 의도는 플립드러닝의 지속적 수용 의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초등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플립드러닝의 촉진 및 확산 전략에 대한 긍정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of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in flipped learning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perceptual of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in flipped learning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perceptual relationship of continuous intention to use and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of flipped learning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nts consisted of 204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 and they responded on a set of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experience and their perceived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of flipped learning. Data were analyzed with using a independent two-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more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perceived more practical use and self-efficacy of flipped learning. In addition, male teachers perceived higher observability, trialability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teachers who had over master’s degree perceived higher observability, trialability and self-efficacy. Teachers who are over fifty years old perceived higher observability. On the other hand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by career. Second, the higher the perceived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of flipped learning, the more positive influence 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flipped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 수업 운영에 대한 대학교원의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엄우용(Eom, Wooyong),김종현(Kim, Jonghyun),김화경(Kim, Hwakyung) 한국공학교육학회 2022 공학교육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university faculties in charge of capstone design cour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100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he faculties nationwide with teaching experience in capstone design cour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acultie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in the following order: coaching student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how their abilities, motivating and encouraging, and building trusting relationships with students. The biggest challenges that the faculties perceived in capstone design classes were the lack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nd project execution time. In the analysis of the needs for the capstone design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eam-building, core task development and analysis, deriving problem-solving ideas, building prototypes, and comprehensive reflection ranked the top prior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he design of the courses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faculty support programs by analyzing the faculties perceptions and needs for capstone design classes.

      • KCI등재

        대학교수자의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 활용도 사례 분석

        엄우용 ( Woo Yong Eo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교에서 교수자 및 학문계열에 따른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K대학교에서 2007학년도 2학기에 강의를 담당하였던 교수자 1274명과 3483개의 강좌를 대상으로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의 활용 사례를 서버에 저장된 로그파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수자 및 계열별 강좌의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 이용 빈도 및 백분율이 분석되었다. 또한, 교수자 및 계열별로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 주요 기능의 이용 빈도 및 백분율이 분석되었고, 주요 기능 중 공지사항, 수업자료 공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이용 횟수에 대하여 교수자 및 계열별로 이용횟수에 대한 카이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전체 교수자의 59.58%와 전체 강좌의 48.84%가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을 활용하였다. 계열별로는 예체능계열(24.76%)을 제외한 다른 계열 교수자들의 사용율이 높았는데, 특히 인문사회계열은 79.39%의 교수자가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강좌별 이용율에서도 예체능계열(17.55%)를 제외한 다른 계열은 62.75%~63.46%의 이용율을 보였다. 주요 기능의 이용율을 분석한 결과, 수업자료 공유의 목적이 41.60%로 가장 높았다. 반면에 토론이나 공지사항 기능의 이용은 다소 낮았다. 이는 대부분의 교수자나 강좌에서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을 면대면 수업의 보완적인 용도로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ulty use of course management system in a traditional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from log file in server computer. 1274 faculties and 3483 courses offered at fall semester of 2007 in a K university were analyzed. Specifically, frequency and percentile of faculties and courses using course management system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frequencies and percentiles of courses using sub-functions of course management system were analyzed. X2 test used to examine the deference of frequencies at using announcement, providing instructional material, and free boar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59.58% of faculties and 48.84% of courses have used the course management system. However, faculties at the school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showed lower use than those at other schools as 24.76%. Faculties at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showed the highest use as 79.39%. Second, 41.60% of faculties used the CMS to deliver instructional material. However, the use of online discussion and announcement functions was very low. 70.6% of faculties used announcement function as less than 5 times. However, 15.2% of faculties at art and social science used announcement function as more than 11 times. In addition, 89.7% among faculties using CMS have used as less than 30 times the function to provide instructional materials. However, 13.7% among faculties at art and social science using CMS used the function as many as more than 31 times. Results imply that most of faculties are using CMS as supplementary system of face-to-face instruction. There is a need to study effective strategy to use CMS for face-to-face instruction.

      • KCI등재

        교사가 지각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컴퓨터 교육의 실태 분석

        엄우용 ( Woo Yong Eom ),강숙현 ( Suk Hyun K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에서의 컴퓨터 교육의 실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리고 어려움과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D광역시에 근무하는 5-6학년 담임교사 16명을 대상으로 13개의 면접문항을 토대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결과는 주제별 코딩과 분류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류,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담임교사들은 컴퓨터교육 시간은 주당 1시간이 적당하다고 인식하였다. 컴퓨터 활용 능력이 우수한 교사일 수록 내용의 난이도가 쉽다고 판단하여 내용을 재구성하여 지도하였다. 실과 교과의 컴퓨터 관련 영역은 삭제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컴퓨터 교육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컴퓨터 교육의 어려움 및 개선방안으로 시설적인 면에서 컴퓨터실습실의 확충 및 방과 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의 개방을 들었다. 교수학습면에서는 아동의 수준차를 고려한 수준별 학습,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컴퓨터 활용교육의 강화, 보조교사의 배치, 교수방법의 공유등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은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부재, 컴퓨터 제반 시설의 부족, 교사의 인식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에서의 컴퓨터교육에 대하여 대체로 부정적인 시각을 지니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omputer education for the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16 elementary teachers at the fifth and sixth grade in a large city have participated in a in-depth intervie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has been used for analyzing data.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that the computer class for upper graders is proper to be an hour per week. The more skilled teachers perceived the contents are easy. Most teachers perceived the contents are overlapped across subjects. In addition, teachers tended to be unconcerned to computer education. Second, teachers pointed out that it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computers in the computer lab and should be opened after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need of assistant teachers and sharing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they perceived the need for differentiated education by students` computer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