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여성 관리자의 가치위협과 조직의 젠더 불평등

        엄승미,김영미 한국사회학회 2022 韓國社會學 Vol.56 No.2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a domestic company that analyzed the effect of female managers on gender inequality in organizations. The study used the personnel data(2010~2018) of general office workers and field workers of a large domestic company to examine the effect of managers’ gender on women’s wages by applying a fixed-effect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all other conditions were the same, women in the case company were negatively affected by wages when their direct supervisor was a woman, which was more pronounced in the female-dominated team. This study presented an interpretation based on the value threat theory for these results. Value threat refers to the status instability experienced by female managers whose organizational status and social status are not on an even level. As a result, female managers tend to be wary rather than friendly to their groups to avoid value threats. This study presented consistent empirical evidence for the value threat theory through a case study of a Korean company. Furthermore,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contextual conditions of value threats by finding that the adverse effects of female managers were prominent in teams with high female ratio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effect of female managers on women’s wages may be limited or negative if female managers’ marginalization, forming teams with low gender diversity, and placing female managers in female-dominated teams continue. 이 연구는 여성 관리자가 조직의 젠더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국내 기업 사례연구이다. 한 국내 대기업의 일반 사무직, 현장직 근로자들의 인사자료(2010~2018)를 활용하였으며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여 관리자의 성별이 여성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할 때 사례기업에서 여성은 직속상사가 여성인 경우 임금에 부정적 영향을 받았으며, 여성 관리자의 부정적 영향은 여성 지배적 팀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대해 가치위협이론에 기반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가치위협은 조직 내 지위와 사회적 지위가 불일치하는 여성 관리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지위불안을 의미한다. 여성 관리자들은 가치위협을 회피하기 위해 내집단에 우호적이기보다 경계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이 연구는 한국 기업의 사례연구를 통해 가치위협이론에 정합적인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여성 관리자의 부정적 영향이 여성비율이 높은 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점을 발견함으로써 가치위협의 맥락적 조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 관리자 주변화, 성별 다양성이 낮은 팀 구성, 여성지배적 팀에 여성 관리자를 배치하는 인사 관행이 지속될 경우 여성 관리자가 여성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거나 부정적일 수 있음을 함의한다.

      • KCI우수등재

        성별 고정관념의 문화적 유동성: 국내 기업 사례 연구

        엄승미(Eom, Seung-Mi),권은낭(Kwon, Eunrang),김영미(Kim, Young-Mi) 한국여성학회 2021 한국여성학 Vol.37 No.4

        이 연구의 목표는 성별 고정관념의 문화적 유동성에 주목하여 조직이 강조하는 문화적인 가치에 의해 변화하는 성별 고정관념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한 식품 회사를 사례기업으로 선정하여 조직 내에서 나타나는 지배적 성별 고정관념을 파악하고, 이것이 여성에게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사례기업 관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 자료에 대한 질적 탐색과 Word2Vec을 이용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사례기업의 성별 고정관념은 보편적 성별 고정관념과 비교해 유동적으로 변화된 지점이 있었다. ‘여성은 감정적 지지를 해주는 존재’에서 ‘감정적 지지를 받아야 하는 존재’로 변화했으며, 이러한 인식은 여성이 업무 효율성을 저해한다는 부정적 인식을 강화시켰다. 순응성은 남성과 여성에게 반대로 적용되었다. 기존에 여성에게 부정적으로 적용되던 순응성은 남성에게는 충성심으로 인식되지만 남성에게 적극성으로 인식되던 순응하지 않는 특성은 여성에게는 불만표출로 인식되었다. 이는 남성 고정관념의 내용은 조직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으로 유동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문화적 가치의 상반된 부여는 남성은 ‘함께 일하기 편한 존재’로, 여성은 ‘함께 일하기 불편한 존재’라는 상반된 인식으로 이어진다. 성별 고정관념은 기혼과 관리자 지위와 연결되었을 때 심화되어 여성은 관리자 지위에 적절하지 않다는 인식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조직의 문화적 가치가 성별 고정관념의 내용을 유동적으로 결정한다는 점을 보여주며, 그렇게 형성된 성별 고정관념이 남녀의 우열관계를 유지시키는 데 활용된다는 점을 제시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gender stereotypes that are changed by the cultural values emphasized by organizations focusing on the cultural fluidity of gender stereotypes. We selected a domestic food company as a case study to identify gender stereotypes and discriminatory impact on women. As a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and Word2Vec analysis about interview, the content of gender stereotypes fluidly changed. Women have changed from ‘beings who provide emotional support’ to ‘beings who need emotional support’. This perception reinforced women undermine work efficiency. Compliance, which was negatively applied to women, is perceived as loyalty to men, and non-compliance, which was applied positively applied to men as activeness, is perceived as an expression of complaint to women. It suggests the contents of male stereotypes are fluidly constructed as the most valuable in the organization. Contrasting assignment of cultural values leads to distinct perceptions that men are ‘easy to work with’ and women are ‘inconvenient to work with’. Gender stereotypes were reinforced when they were associated with marriage and managerial status. Thus, this study shows that an organization’s cultural values fluidly determine the contents of gender stereotypes, and the gender stereotypes are used to maintain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males and females.

      • KCI등재

        유연근무가 기혼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연근무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권은낭,엄승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 여성연구 Vol.108 No.1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관리자를 대상으로 유연근무의 활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여성관리자패널조사(KWMP)의 7차 조사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이 근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시간빈곤으로 인해 일-가정 양립에 갈등을 겪는다는 논의의 측면에서 유연근무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여성 관리자와 남성 관리자 모두 배우자의 직장에 대한태도가 협조적일수록 만족도가 증가하였으며, 유연근무는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여성 관리자만이 양육에 대한 협조 태도가 높을수록 개인생활과 가족생활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 관리자에게 양육이 사적 영역과 관련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유연근무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항은 여성 관리자의 개인생활과 직업생활 만족도에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가족생활 만족도만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를 활용하지 않을 경우근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가족생활 만족도가 감소한다. 때문에 근무시간이 길 경우 유연근무 활용집단은 비활용 집단보다 가족생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 한편 남성 관리자는 모든 유형의 만족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리하면 배우자의 양육협조태도, 그리고 유연근무와근무시간의 상호작용항이 여성 관리자의 가족생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유연근무가 제공하는 시공간의 유연성이 근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가족 내 시간빈곤이나역할갈등의 감소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유연근무는 여성 관리자들의 가족생활 만족도를 유지하는 긍정적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가족에 대한 부담을 여성 관리자에게 집중시키는 부정적 기능 역시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A기업 요구르트 판매원의 근로조건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

        이은정(Eun-Jung Lee),엄승미(Seung-Mi Eom)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8 이화젠더법학 Vol.10 No.1

        본 연구는 A기업 요구르트 판매원의 근로조건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로 중고령 기혼여성들로 구성된 A기업 요구르트 판매원은 A기업 식음료 제품의 배달과 판매를 주된 업무로 하며, 특수형태근로종사자로서 「노동법」상 근로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A기업 요구르트 판매원 여섯 명과 수행한 심층 면접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의 근로조건은 기존 판결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제시된 대안적 근로자성 판단 기준에 상당 수준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노동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는 중고령 기혼여성 특수고용노동자의 근로조건을 드러내고 이에 대한 학문적 · 사회적 관심을 높이는 것에 있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yogurt sellers’ working conditions and employment relationship. The yogurt sellers, approximately 13,000 nationwide, are those who deliver or sell person-to-person to the customers various types of drinks, including yogurt, from the A company. The sellers are exclusively composed of married women, mostly in their 50s and 60s, and as ‘special laborers’, they are excluded from legal protection for the employees. In 2016, Supreme Court denied their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the A company, which motivates this study to research whether their working conditions are really lacking characteristics of those of the employees.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yogurt sellers, and analyzed their employment relationship. It is found out that at the considerable level, their working conditions correspond to the alternative criteria for employment relationship. The exception is their relatively flexible working hours, but it is revealed that their power relations with the company prevent them from freely using their time at work.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the elderly women contract workers` marginalized status in the labor market, in relation to such social factors as long, inflexible working hours and married women’s burden of housework/childcare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