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다수(多數) - 1950〜1970년대 소설 속 다수 이미지를 중심으로 -

        양윤의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6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ovels of the 1950s to the 1970s based on the image of the multiple represented in them. In order to do so, a relationship diagram of characters in selected novels by four authors is developed. This reveals that the novels of this period offered a wide spectrum of portrayals of the multiple, ranging from the positive to the negative, from the vive-ridden to the virtuous. In Son Chang-sup’s novel, the masses are characterized as “the thriving of death” on a dying body. This image demonstrates that life is intensely vulnerable to death in the aftermath of war, and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sabilities depicted reflect the coexistence of the two. In Chang Yong-hak’s novel, the masses undergo lives of lethargy, meaninglessness, and stasis, which are depicted as “dominated lives”. However, while the motif of incest is used to express violence and vice, it later symbolizes resistance and love. Specifically, it expands in significance to encompass a resistance to the subjugation of the corrupted masses. In Kim Seung-ok’s novel, the masses are described as a den of snakes or as a conflagration. They are an avaricious group that harms the marginalized members of the family, (specifically the protagonist's sister or goat figuratively). To a powerless, adolescent boy, the masses are seen as residents of hell who not only hurt those who are weaker, but also devour each other. In Cho Se-hui’s novel, the working class portrayed as a school of stickleback, representing the faction of the working class that appear terrifying in the eyes of capitalists.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capitalists, the masses do not show gratitude to their benefactors, and harbor murderous intent beneath their ungainly appearances. 이 논문은 1950년에서 1970년대 소설 속에서 다수 이미지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글이다. 이를 위해 손창섭, 장용학, 김승옥, 조세희의 소설 속 등장인물의 관계도를 그리고 위 텍스트에서 다수 이미지가 어떤 방식으로 등장하는지 살펴보고, 각각의 이미지들이 가진 특질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손창섭의 소설에서 다수(多數)는 죽어가는 몸 위에서 ‘번성하는 죽음’의 이미지로 나타났다. 전후의 폐허 위에서 삶이 죽음에 노출되어 있었음을 이 이미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정신적, 육체적 불구는 이러한 죽음이 생명과 동거하는 양태의 표출이다. 장용학의 소설에서 다수는 무기력, 무의미, 비운동성의 삶이다. 그것은 인간 인삼 즉 ‘재배되는 삶’의 이미지로 등장한다. 근친상간 모티프는 폭력과 죄악의 표출로 생겨났으나 이후에는 저항과 사랑의 표현으로 재표지된다. 김승옥의 소설에서 다수는 뱀 떼 혹은 그것으로 비유되는 수많은 불꽃으로 드러난다. 이 이미지는 소수인 가족(보다 구체적으로는 누나, 비유적으로는 염소)을 훼손하는 탐욕스러운 인간군상이다. 무력한 사춘기 소년에게 그들은 소수를 해치고 자기들끼리도 잡아먹는 지옥도의 주민들이다. 조세희의 소설에서 다수는 가시고기 떼로 드러나면서 자본가들의 눈에 비친 무서운 노동자로 의미화된다. 자본가들의 논리에 따르면 저들은 거두어 준 은혜도 모르는 뒤틀린 심성의 소유자들이고 볼품없는 외양 너머에 살의를 숨기고 있는 무서운 다수이다.

      • KCI등재후보

        박완서 단편소설과 말년의 양식에 대한 시론적 검토

        양윤의,차미령 픽션과 논픽션학회 2022 픽션과논픽션 Vol.4 No.1

        이 글은 에드워드 사이드가 제안한 ‘말년성’ 개념에 착안하여 박완서의 마지막 소설들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우선 주로 노년의 삶이 제시된 박완서의 단편 소설들을 분석함으로써 주요 열쇠어들을 추출하고, 만년의 세 작품에 나타난 말년의 양식을 살펴보았다. 만년의 세 작품에서는 반성과 각성이라는 계기, 공통감각으로서 욕망의 긍정성, 연민과 공감의 정동 등에 일정 부분 균열이 가는 것처럼 보인다. 박완서는 말년의 양식을 통해 이 세계에서 가시적이거나 형식적인 화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요소를 성찰한다. 이중의 부정을 통해 반성이 불가능한 지점을 드러내고, 원죄의식을 통해 욕망의 부정적 양태를 가시화하고, 죽음의 부정을 통해 타인을 자기 욕망의 대상화하는 폭력과 결별하고자 한다. 이 작품들에서 관찰되는 특징들이 그동안 작가가 구축해왔던 세계를 취소하거나 철회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말년의 양식은 이의 실현을 어렵게 만드는 세계의 복잡성을 더 논쟁적으로 드러낸다. 박완서의 말년의 양식이 보여주는 성취는 작가의 예외적인 산출물이 아니라 오랜 통찰의 결과물이다. 자신이 동시대와 맺어왔던 양식(다시 말해 작가가 작품과 맺는 총체적인 관계의 대상화, 작품의 총체적 표현성)을 파기하거나 교정하는 것은 작가적 생산성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작가의 작업은 이 세 편을 끝으로 마감되었으나 세 편의 작품은 박완서 소설이 내장한 겹의 두께를 다시 한번 사료하도록 이끈다.

      • KCI등재

        박상륭 소설에 드러난 신화적 상상력과 여성- 「뙤약볕」 연작(민음사, 1971)을 중심으로

        양윤의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8 No.-

        A new language of humankind is born at midnight, when the language of god disappears and the land is governed by law. In Park Sang-ryung’s The Scorching Sun series, this law is under the purview of men. The male leaders exercise authority, and women seem to have no agency. The females in the series are merely “insane women” (The Scorching Sun 1), possessions transferred from one man to another (The Scorching Sun 2), or an immoral character who is killed by her brother after committing acts of decadence (The Scorching Sun 3). Even though the series is based on mythemes and is not a fully accurate representation of reality, the gender disparities displayed in the novels are sufficient to cause feelings of discomfort. There is, however, a complication, as in each story, women have more significance than mere possessions to be traded. They are placed outside the exchange system established by men (in the case of Yenne), negate the impact of law by nullifying men as entities of preservation (in the case of Seomsun), and bring the existing exchange system to a halt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men to earn a livelihood (in the case of Nui). The series explores language in a godless era and law in a world of chaos, as well as the meaning of the age of midnight. Against this backdrop, women are depicted as the only agents who can establish new meaning by transcending division and detachment. Ultimately, because of their exclusion from a place of pre-eminence in legal systems and the language of authority, they are endowed with the capacity to create a new language. 이 논문은 박상륭의 초기 작품인 「뙤약볕」 연작을 상세히 독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세 편의 연작을 따라 읽으며, 각 연작의 신화적 의미를 각각 ‘신(神)’과 ‘말’, ‘법(法)’과 ‘불법(不法)’, ‘신생’과 ‘비윤리’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최종적으로 이 논리로 수렴되지 않는 의미교란적 요소가 있음을 여성 등장인물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세 연작을 통합하는 핵심적인 의미소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신의 말이 사라지고 법의 지배를 거쳐 자정에 이르러서야 새로운 인간의 말이 탄생한다.’ 이 과정은 새 당굴과 족장(「뙤약볕1」), 바람쇠(「뙤약볕2」)와 점쇠(뙤약볕3」)로 이어지는 남성의 계보를 통해서 전해진다.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교환의 단위 혹은 재화의 일종으로 취급되는 것처럼 보인다. 「뙤약볕」 연작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미친 여자’이거나(「뙤약볕 1」), 이 남자에게서 저 남자로 이전되는 소유의 대상이거나(「뙤약볕 2」), 타락 끝에 오빠에게 죽임을 당하는 비윤리적인 인물(「뙤약볕 3」)로 그려져 있다. 그런데 각 연작에 등장하는 여성을 단순한 교환의 대상으로 볼 수 없다. 이들은 남성들이 정의한 교환의 체계 바깥에 놓이거나(「뙤약볕1」의 옌네), 남성들의 개체로서의 보존을 무효화함으로써 법의 계수를 무력화하거나(「뙤약볕2」의 섬순), 남성들의 새로운 삶이 영위되는 터전이 됨으로써 교환의 체계를 정지시키기 때문이다(「뙤약볕3」의 누이). 이들은 남성중심적인 신화적 서사를 교란하거나 횡단함으로써, 진정한 ‘인간’의 탄생이라는 이 연작의 주제를 다른 각도에서 의미화하게 만든다. 신과 법, 즉 신 없는 시대의 ‘말’과 불법이 만연한 시대의 ‘법’, 나아가 ‘자정의 시대’의 새로운 의미론을 탐색하는 이 소설에서, 모든 분할과 분절을 가로지르는 존재는 그리고 이 횡단을 통해서 새로운 의미를 도입할 수 있는 존재는 오직 ‘여성’이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질문 중심 학습’-고려대학교 공통교양 <자유정의진리>를 중심으로

        양윤의,조재룡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is paper proposes the new goal of implementing a new model for liberal arts education organized around ‘questions’ suggested by students. The general courses should not be seen as preliminary versions of major courses; instead, general and major courses should complement each other. Moreover, general courses (character building education) should focus to a greater extent on the growth of the creative capacities of learners.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which is largely based on the traditional educational model (i.e., one that prioritizes the transfer of knowledge, o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competencies), should be restructured into a new system in which learners can develop the ability to both independently raise issues related to their subject, as well as to think these issues through for themselves. To achieve this, they should be given encouragement to put themselves in the shoes of those whom they study, as it were, or to “become the other,” rather than simply to “analyze the other.” In order to illustrate this new general course paradigm, this paper introduces Korea University's core general course “Liberty Justice Truth.” This is a course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of students asking questions. From 2018 to 2020, as a result of running the curriculum for several years, the ‘question’ corresponds to a question set up by students themselves creatively, and observes the process of converging, spreading, and deepening this question with further questions. The questions from the students are categorized into 1) information grasping questions, 2) critical questions, 3) analytic questions, 4) extended questions, 5) problem-solving questions, and 6) creative questions. 2) value judgment, 3) analysis of parts, 4) synthesis of the whole, 5) object-oriented, 6) subject-oriented (It is hard to follow this numbering pattern in that I’m not sure what they relate to. For instance, does the latter 2 correspond to “critical questions” or new types of questions?) and as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deepens, the questions (is that what you mean? The questions are expanded and implemented? Or their answers are implemented?) from 1), 3), 5) to 2), 4), 6) are expanded upon and implemented. Through this process, the learners’ collective intelligence enables their aesthetic, intellectual, and political judgments to converge. The significance of the question-based class is as follows: First, it enhances and promotes the learners' free will. Instructors in this course do not primarily transfer knowledge to the learners, but rather play the role of facilitators of the entire process of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as the subject of the question becomes plural, the learner inevitably meets the “other” and experiences convergence with them. Third, the learner goes beyond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and becomes the other by themselves, thereby causing a “redistribution of sensations” to think, feel, and sense like the other. In The Ignorant Schoolmaster, Rancière stresses that even the students of an ignorant teacher can attain unique knowledge on their own. This paper provides a specific example which supports Rancière’s perspective. 이 논문은 학생이 제안한 ‘질문’을 중심으로 편성되는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작성되었다. 전공교육의 예비적 단계의 교육으로 간주되거나, 지식의 전수를 핵심으로 하는 재래의교양교육 모델을 벗어나 융합적, 창의적, 수행적인 교양교육의 모델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가 질문을 생성하고 토론을 진행하며 협력을 통해 결론에 이르는 질문 중심 학습에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의 실례를 공통교양교과인 <자유정의진리>의 교육과정에서 찾았다. 2018 년부터2020년까지 본 교과를 운영해본 결과, ‘질문’은 학생 스스로가 창의적으로 제기하는 문제 설정에 해당하며 이 질문이 다른 질문과 만나서 융합, 확산, 심화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학생의 질문은 1) 정보파악형 질문, 2) 비판적 질문, 3) 분석적 질문, 4) 확장형 질문, 5) 문제해결형 질문, 6) 창의적질문으로 유형화되는데, 이 질문들은 각각 1) 사실판단, 2) 가치판단, 3) 부분의 분석, 4) 전체의 종합, 5) 대상 지향, 6) 주체 지향을 향해 있으며, 문제의식이 심화되면서 1), 3), 5)에서 2), 4), 6)으로 확장, 이행된다. 질문 중심 학습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자유의지를 고양하고 신장시킨다. 질문을제기함으로써 학생은 수동적인 교육의 대상이 아니라, 능동적인 교육의 주체가 된다. 질문을 통해서학생 스스로 지식을 생산하는 주체가 되는 것이다. 둘째, 질문의 주체가 복수화되면서 학생은 필연적으로타자를 만나며, 이들과의 융합을 경험하게 된다. 여기서 윤리적 교양교육의 가능성이 배태된다. 토론은승패를 가리는 논쟁의 형식이 아니라, 타자와의 진정한 만남을 통해서 집단지성을 발휘하고 다양성을존중하며 협력을 배우는 윤리의 무대가 된다. 셋째, 학생은 타자의 입장을 배려하는 데서 나아가 그자신이 타자가 되며, 이로써 타자처럼 생각하고 느끼고 감각하는 ‘감각의 재분배’(자크 랑시에르)가일어난다. 타자가 되는 일이야말로 학습자가 개인, 계급, 젠더, 세대를 뛰어넘어 공동체를 복합적인‘나’로 감각하는 전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