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번역되지 않은 영향, 비극의 재구성 -브란데스, 입센, 니체를 중심으로-

        양순모 ( Yang Soon-m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24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2

        본고는 선행연구 「번역되지 않은 영향, 브란데스의 재구성: 1910년대와 변방의 세계문학」에서 출발한다. 위 연구는 식민지 조선에서 “한 번도 번역된 바 없”지만 식민지 조선 내 “사상과 문학의 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비평가 기오 브란데스(Georg Brandes)를 탐구한 논문으로, “직접 번역 영향 관계를 벗어나 세계문학 범위에서 한국의 사례에 접근해 보려는” 시론(試論)적 시도이자, 궁극적으로 “식민지시기의 한국 문학에 새롭게 접근하는 단초를 만들어 보고자”하는 선구적인 탐구이다. 그리고 본고는 선행연구를 따르되, “트랜스내셔널한 공통의 지적 배경을 재구성해 보려는 시도”의 대상이자, “근본적 수준에서 장 자체의 구성에 기여했으나 그 참여자들조차 망각한 원천을 발굴해 내는 작업”의 대상으로 브란데스가 아닌 ‘비극’을 상정한다. 관련하여, 브란데스는 차치하더라도 예컨대 ‘입센’은 당대는 물론이고 왜 오늘날까지도 한국 문학(연구)장에서 단 한 차례도 ‘비극 작가’로서 호명되지 못한 것인지 의문을 가질 필요가 있다. 분명 『인형의 집』 작가 노트가 “근대 비극를 위한 노트(Notes for the Modern Tragedy)”라는 제목을 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근대문학(연구) 장에서 『인형의 집』과 입센은 ‘비극’이나 ‘비극 작가’로 해석된 적이 없다. 만약 입센이 대표적인 서구 근대 ‘비극 작가’라고 한다면, 그동안의 한국 근대문학(연구)장은 ‘서구 근대문학’ 배후에 존재하는 짙은 그림자로서 비극을 규명하지 못한 채, 무의식적으로, 간접적으로 영향 받고 있던 것은 아닌지 질문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기오 브란데스를 비롯 당대 동아시아 및 식민지 조선 문단에 강력한 영향을 끼친 입센과 니체의 공통 배경으로서 ‘비극’을 “번역되지 않은 영향”으로 상정한다. 근대문학을 두고 “비극 ‘이후’뿐만 아니라 또한 비극에 ‘맞서’ 태어났다”고 말하는 모레티에 따르면, 유럽은 근대문학의 유럽과 비극의 유럽으로 구별되어 있었으며, 유럽의 상황을 비롯해 수용의 과정에서 비극은 근대문학의 그림자로 자리 잡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는 서구 근대문학의 그림자로서 근대 비극을 우리가 여전히 좀처럼 번역해내지 못하고 있다고 가정하며, 식민지 조선 문학장에서의 ‘비극’의 재구성을 시론적으로나마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근대문학(소설)’과의 관계를 통해 좀 더 선명하게 드러나는 그림자로서 ‘비극’의 정체를 좀 더 자세히 정리한 후, ‘비극’이라는 공통의 배경과 더불어 근대 초 동아시아 및 식민지 조선 문학장에 주요한 영향을 끼친 ‘브란데스’, ‘입센’, ‘니체’를 대상으로 그간 알려진 모습과는 다른 그들의 면모를 살펴본다. 위와 같은 작업과 더불어 우리는 식민지 조선에서의 ‘번역되지 않은 영향’으로서 ‘비극’의 정체를 보다 분명히 규정해볼 수 있으며, 나아가 식민지 조선에서의 그 흔적과 영향들을, 그리고 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의 지점들을 조심스레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builds on a previous study, “Untranslated Influences, Reconstructing Brandes - The 1910s and World Literature on the Margins.” The previous study explored Georg Brandes, a critic whose works were “never translated” in colonial Korea bu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ield of thought and literature” in colonial Korea, and is a pioneering attempt to “approach the Korean case from the s cope of world literature outside of the direct translation influence relationship” and ultimately “create a new approach to Korean literature in the colonial period.” This article follows in the footsteps of the preceding studies, but places “tragedy” in the place of Georg Brandes, as the object of an attempt “to reconstruct a common transnational intellectual background” and “to unearth sources that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chapter at a fundamental level but have been forgotten even by its participants.” In this regard, it is worth asking why, Brandes aside, Ibsen, for example, is not even mentioned once as a “tragedian” in Korean literature (studies) fields, not only in his time but even today. Certainly, despite the fact that the author’s notes for A Doll’s House are titled “Notes for the Modern Tragedy,” A Doll's House and Ibsen have never been interpreted as a “tragedy” or “tragedy writer” in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fields. If Ibsen is a representative Western modern tragedy writer, it is necessary to ask whether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field has been unconsciously and indirectly influenced by tragedy as a dark shadow that exists behind ‘Western modern literature’ without identifying it. Therefore, this paper posits “tragedy” a s an “untranslated influence” as a common background for Ibsen and Nietzsche, who strongly influenced the East Asian and colonial Korean literatures of their time, including George Brandes. According to Moretti, who says that modern literature was “born not only ‘after’ tragedy but also ‘against’ tragedy”, Europe was divided into a Europe of modern literature and a Europe of tragedy, and tragedy was bound to become the shadow of modern literature in the process of acceptance, including the European situation. This paper will attempt to reconstruct ‘tragedy’ in the literature of colonial Korea, assuming that we are still unable to translate modern tragedy as a shadow of Western modern literature. To this end, this paper will first organize the identity of ‘tragedy’ in more detail as a shadow that is revealed more clearly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modern literature (novel)’. Then, in addition to the common background of ‘tragedy’, we examine Brandes, Ibsen, and Nietzsche, who were major influences on the literary canon of early modern East Asia and colonial Korea, in a way that is different from how they have been portrayed. Through this work, we can more clearly define the identity of ‘tragedy’ as an ‘untranslated influence’ in colonial Korea, and carefully infer its traces and influences in colonial Korea, and the new points of interpretation that can be gained from them.

      • 모션 벡터들의 분산값을 이용한 프레임률 상향 변환

        양순모(Yang, Soon Mo),김규헌(Kim, kyuheo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9 No.6

        본 논문에서는 계산의 복잡성을 줄이고 피크 신호 대 잡음 비율(PSNR)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프레임 상향 변환 (Frame Rate Up Conversio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위한 모션 추정 과정(Motion Estimation) 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마크로블록(Macroblock) 값의 최소 차이값(Sum of absolute differences) 을 이용하여 보간된 프레임( Interpolated Frame) 의 마크로블록이 가지게 되는 모션 벡터 값을 추출한다. 이 때 반복된 배경 패턴 및 여러 움직임들 때문에 모션 추정 과정에서 출력되는 벡터값이 비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제안된 알고리즘을 통해 모션 벡터값들의 특이치(Outlier) 를 검출하고 이를 교정하기 위한 분산값(Variance) 을 이용하여 모션 벡터 평활화 작업(Motion Vector Smoothing) 을 거친다. 이와 같이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값으로 프레임률 상향 변환 과정을 통해 상대적으로 계산의 복잡성은 낮으면서 양호한 PSNR 값이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이행기 정의와 비극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다시 읽기

        양순모(Yang, Soonmo) 한국현대소설학회 2021 현대소설연구 Vol.- No.81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e function that literature can uniquely perform in relation to the issue of establishing new social justice after democratization. The issue of establishing a new social justice, called ‘transitional justice’, is, in short, stalled in a rarely-agreed dichotomy such as damage/infliction, retaliation/forgiveness in the face of the task of “past liquidation.” More than 30 years after democratization, transitional justice aims for “restorative justice” under the keyword “harmony,” but today justice falls short of “retaliatory justice” considering the tears of victims who still cry for “truth.” This paper examines a form of personal level punishment, forgiveness, and responsibility that will be newly mediated between these two definitions, among the aporia that exists between retaliatory justice and restorative justice within the above community level. Prior to the task of establishing a definition of “social level” established in constant encounters with history, when the “individual attitude”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ing in that task is carefully considered, this can be a preliminary step beyond the dichotomous deadlock of the existing transitional justice. By rereading Choi Yoons novel, the paper examines a particular process in which an individual faces these honestly and owns them as his own, with regard to the sense of debt and excessive feelings of self in his post-violence life. This paper argues that the above process, which can be called the attitude of tragedy, can perform one instrumental function for the new phase of transitional justice today, thereby proving a literary unique function in social justice establishment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