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5종 선수들의 자기종목에 대한 인식 연구

        양수진 ( Sujin Yang ),심민경 ( Minkyung Shim ),김한별 ( Hanbyul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3

        목적: 본 연구는 근대5종 선수들의 종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자는 근대5종 선수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섭외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풍부한 자료수집을 위해 연구참여자를 A그룹(대학선수)과 B그룹(국가대표)으로 나누어 초점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그룹당 1회기씩 실시하였고, A그룹은 80분, B그룹은 100분이 소요되었다. 면담 내용은 휴대 전자기기에 내장된 녹음기를 이용하여 녹취한 뒤 전사하였다. 수집된 인터뷰 원자료를 질적연구 방법인 주제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5개의 주제와 11개의 요소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주제로는 타인의 혹평, 근대5종에 대한 불만, 근대5종의 매력, 근대5종과 삶, 타인의 호평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요소로 낮은 인지도, 주변의 무시, 긴 경기 시간, 폭 좁은 진로, 한정된 시설, 부족한 홍보, 성취감, 만족감, 삶의 일부, 긍정적인 평가, 주변의 격려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근대5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근대5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비롯해 인프라 및 저변 확대, 선수들을 위한 진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modern pentathlon athlete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recruited eight modern pentathlon athletes who had been actively playing for at least six years and conducted interviews. Since athletes can recognize sport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career and performance, divided them into groups A (college athletes) and B (national team)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and conducted interview with focus groups. The interview took 80 minutes for Group A and 100 minutes for Group B. The interview was recorded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sults: The collected raw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pic analysis technic, which resulted in five topics, and 11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opics were presented as the life and modern pentathlon, the charm of the modern pentathlon, and the dis-satisfaction with the modern pentathlon and the favorable reviews of others, the criticism of others. As a result, part of life, achievement, satisfaction, long game times, narrow paths, limited facilities, sufficient publicity, positive evaluation, and encouragement from people around them, low awareness, and neglect of the others were derived.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odern pentathlon, active promotion of modern pentathlon, expansion of infrastructure and base and career support for athlete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SORT와 DeepSORT의 혼합을 이용한 실시간 다중객체 추적

        양수진(Sujin Yang),정인화(Inhwa Jung),강동화(Donghwa Kang),백형부(Hyeongboo Baek)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0

        Deep Simple Online and Real-time Tracking(DeepSORT) is a multi-object tracking technology that improves the accuracy of SORT,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using a feature map of Convolution Neural Network(CNN) whe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between consecutive frames in SORT. This feature has the advantage of dramatically improving the accuracy,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rame per second(FPS) is lowered due to the large amount of additional computing operations required. Therefore, for real-time systems such as autonomous vehicles, SORT has been considered more suitable than deep SOR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mixing SORT technology with DeepSORT to remove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DeepSOR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argeting MOT-16, a widely used data set used for multi-object tracking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dramatically increased the FPS with little loss in accuracy.

      • KCI등재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신가영(Shin Ka-Young),양수진(Yang Suj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19 人間發達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성인 진입기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대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모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애착불안은 유연한 정서의 조절과 대처를 어렵게 하며, 이러한 정서조절곤란이 대인관계문제를 증가시켜 결국 SNS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성인진입기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부정정서들을 유연하게 대처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뿐 아니라, 자신과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내적표상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이와 같은 결과는 SNS 중독경향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치료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on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anxiety to SNS(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proneness. 405 university students from various regions in South Korea took part in the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22.0 and M-Plus 7.0.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tion tendency. That is, the anxious-preoccupied attachment style in university students can make it difficult to regulate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r, which in turn aggravates interpersonal problems, eventually leading to SNS addiction proneness. These results imply that to properly deal with SNS addiction tendency,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both internal characteristics(attachment) and socio-emotional functioning(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e further discuss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event university students’ SNS addiction proneness.

      • KCI등재

        취업준비생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실패내성의 관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효과

        김다혜(Kim, Dahye),양수진(Yang, Suj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실패내성의 관계와 그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21∼29세 취업준비생 350명(남 128명, 여 2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모형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자기개념 명확성과 실패내성 간의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의 단순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또한, 자기개념 명확성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을 순차적으로 거쳐 실패내성에 이르는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였다. 더불어, 성별과 취업준비기간에 따른 차이검정 결과, 여성과 장기취업준비생이 더 취약한 심리적 특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업준비생의 실패에 대한 건설적 반응을 발달시키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심리적 특성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발달기제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심리적 고통을 감소시키고 실패에 적응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책 마련 및 취업생태 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failure tolerance and wheth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350 unemployed young adults aged 21-29 who have been engaging in an active search for jobs (128 males and 222 females). Descriptive statistic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both gender and job preparation period. Women and long-term job seekers were more vulnerable to failure and its associated nega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hen process macro (v3.4) was applied for mediation analyses, both single and double mediation model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ere confirmed, respectively, thus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failure tolerance. The study suggests that for job seekers to develop tolerance for failure, not only clear belief in themselves but also abilities to endure uncertain situations and to compare less with others are required. These findings will help provide insights on how to intervene in reducing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young people preparing for employment.

      • KCI등재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진예민(Jin, Yemin),양수진(Yang, Suj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미취업상태이며 실질적인 취업준비경험이 있는 성인 초기 취업준비생(대학교 4학년 이상∼만 29세) 총 34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은 취업불안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이들 관계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반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실패내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COVID-19의 장기화로 인한 부정 정서가 유발되는 상황에서도 취업준비생의 감사성향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사용하고, 부적응적인 전략은 덜 사용하게 함으로써 실패에도 건설적으로 반응하도록 하는 실패내성을 길러 취업불안을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감사라는 정서가 취업준비생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기제임을 검증하고, 실패에 대한 건설적인 태도 발달에도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긍정 정서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덧붙여, 최근 코로나로 인한 취업난 속에서 불확실성이 증가한 만큼 취업준비생의 개인 내적 자원을 구축하기 위한 개입 방안뿐 아니라 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anxiet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342 early adulthood youths, aged 22-29, who reported that they were actively engaging in job-search activities. Process macro v3.4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were both insignificant. In addition, the dual-mediated effect of adaptive/mal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failure tolerance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job-seeking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develop capabilities to cope with and respond to failure appropriately in relieving job-seeking anxiety. Therefore, improving gratitude and enhancing failure tolerance may protect job-seeking early adulthood youths from anxiety, which has implications for clinical interventions.

      • KCI등재

        다중지표 다중원인(MIMIC)분석을 통한 중년여성의 삶에 대한 탐색

        배유진(You Jin Bae),양수진(Sujin Ya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22 人間發達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그릿, 삶의 의미, 부모소명이라는 심리적 특성과 사회적지지, 취업 여부와 같은 사회 맥락적 요인에 따라 중년기에 맞이하는 건강한 삶의 결과(정신적 안녕감, 결혼만족도, 중년기 위기감, 부모소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녀가 있는 만 50∼64세의 여성 430명을 대상으로 다중지표 다중원인(MIMIC) 모형을 검증한 결과, 개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따라 중년여성의 건강한 삶의 지표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지지가 높은 집단은 모든 긍정적․부정적 결과 지표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릿과 삶의 의미의 수준에 따라서는 정신적 안녕감과 중년기 위기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소명 및 취업여부에 따라서는 각각 부모소진과 정신적 안녕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중년의 여성이 과업을 건강히 수행하기 위해 개인의 신념과 태도 그리고 사회 속의 네트워크 등 보다 성숙하고 풍부해진 심리사회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삶의 결과마다 어떠한 자원의 활용이 가능한지 다각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middle-aged women’s healthy life outcomes (i.e., mental well-being, marital satisfaction, mid-life crisis, and parental exhaustion) based on sociocontextual (i.e., social support, and employment status) and psychological (i.e., grit, meaning in life, parental calling) characteristics. Using the MIMIC model, the data of 430 middle-aged women (ages 50-64) with children were analyzed. Both psychological and socio-contextual factor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alth outcomes in middle-aged women. Women with high levels of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had superior outcomes in all health-related variables. Grit and meaning in life, on the other hand,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al well-being and mid-life crisis. Parental burnout and mental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accounted for b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al calling in childrearing and employment status, respectively. The findings suggest that middle-aged women whom they know can effectively utilize psychosocial resources, such as personal beliefs,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networks, not only successfully carry out age-related life tasks but also lead a healthy and happy life. We further discussed various roles that psychosocial resource factors can play in facilitating middle-aged women to maximize their health and mental outcome potential.

      • KCI등재

        대학생의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문제중심 대처 및 회피중심 대처와 스트레스 반응의 매개효과

        한지은(Han, Jieun),양수진(Yang, Suj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전반적인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일컫는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심리적 안녕감에 기여하는 기제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 및 회피중심 대처와 스트레스 반응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8~25세 남녀대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심리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못했으나, 그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 및 회피중심 대처와 스트레스 반응 각각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문제중심 대처와 스트레스 반응, 그리고 회피중심 대처와 스트레스 반응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개인의 심리적 기능성에 기여하는 기제를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반응할 수 있는 역량뿐 아니라 스트레스 자체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중요함을 밝혔다. 이를 통해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발달적 전환단계에 놓인 대학생 집단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개입의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chanisms by which a stress-is-enhancing mindset, which refers to a positive view of stress, affect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s of problem-focused coping, avoidance-focused coping, and the stress response. For these purposes, survey data from 370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8 to 25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ress-is-enhancing mindset does not directly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but it has indirect effects through problem-focused coping, avoidance-focused coping, and the stress response as mediator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develop an individual’s internal capabilities to cope with and respond to stress appropriately in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More fundamentally, it is important to have a healthier and more flexible perspective on stress and its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help ensure the healthy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assist in their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

      • KCI등재후보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교사의 수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승원(Seungwon Song),양수진(Sujin Ya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 활동을 매개로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수학 상위반과 하위반의 수준별 수업 참여가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를 활용하여 수준별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을 경향점수 기반으로 매칭하고, 일반화선형모형(GL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의 수업 활동에 대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랩으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행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상위반의 수준별 수업의 참여는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둘째, 상위반과는 달리 수학 하위반의 수준별 수업 참여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수학상위반의 수준별 수업의 참여는 교사의 수업 활동을 매개로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학 하위반의 경우 수준별 수업 참여 여부가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수업 활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on students’ self-efficacy. Using the data from KELS2005, we carried out propensity score matching betwee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bility grouping classes and who did not. GLM(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statistically tested by bootstrapping. According to the result, we found that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self-efficacy is positive for high-level students in a math class.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on students’ self-efficacy is positive for high-level students in a math class. However, although there is no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on students’ self-efficacy in a math class of low level, ability grouping has a negative effect on low-level stud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