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직과 공중간 관계가 조직의 명성에 미치는 영향

        양성관(Seong-Kwan Yang),양성운(Sung-Un Y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1 No.-

        본 연구는 공중의 관여도를 중심으로 조직과 공중 간 관계가 조직의 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공중의 관여도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한 대도시 거주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 조직은 일반기업체 2개와 스포츠단체, 사회봉사단체, 다국적기업 등 3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조직의 명성을 공중들이 집단적으로 공유하는 인지적 연상으로 간주하고 개방형 질문을 통해 측정한 응답 내용은 역 제이(J)형 분포를 이루었다. 국내기업들의 연상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호의도 역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이 사회 봉사단체와 스포츠단체이며, 다국적 기업의 호의도가 기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대상 조직의 관계를 질적으로 평가한 결과에서는 국내기업들과 사회봉사단체의 경우 ‘만족도’와 ‘신뢰도’, ‘헌신도’ 항목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사회봉사단체의 경우 ‘공유관계’나 ‘교환관계’ 항목에서 다른 연구대상 조직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었다. 반면 다국적기업은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과 공중 간 관계가 조직의 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여도를 중심으로 알아본 결과, 공중의 관여도가 높을수록 조직과 공중 간의 ‘공유관계’나 ‘교환관계’가 조직의 명성에 더욱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explain how organization-public relations influence organizational reputation, accounted for by the moderating effect of level of involve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100 residents in a metropolitan city of Korea with the following five Korean organizations studied: two Korean domestic companies, a sports association, a non-profit organization, and a multinational company.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nd publics' level of involvemen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o account for organizational reputation by non-chance amount, and that level of involvement played a moderating variable role betwee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al reputation.

      • KCI등재

        정보원 사용이 의제설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 관련 이슈에 대한 미국 매체의 보도와 미국인들의 인식에 대한 분석

        이종혁 ( Jong Hyuk Lee ),양성운 ( Sung Un Yang ),김지영 ( Ji Young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다양한 정보원 사용이 국제 이슈에 대한 대중 매체의 의제설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았다. 우선, 미국 뉴스 매체의 한국 관련 기사 611건을 분석해 핵심 이슈들을 선정했다. 이어 미국인 429명을 설문조사해 선정된 이슈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측정했다. 분석방법으로는 잠재성장모델(latent growth model)을 포함한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이 사용됐다. 모델에는 정향욕구(need for orientation)가 4개의 정보원(전통 매체, 인터넷,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기관) 사용에 영향을 미치고, 또 각 정보원 사용이 대중 매체의 의제설정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설정돼 검증됐다. 연구 결과, 미국 대중 매체의 한국 관련 의제설정 효과는 수용자에게 대체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 가운데는 인터넷 사용이 대중 매체의 의제설정 효과를 강화시키고, 기관(학교, 도서관 등등) 사용은 오히려 그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통 매체와 대인간 커뮤니케이션은 아무 영향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정보원 사용을 정향욕구와 함께 개인 차원의 의제설정 효과와 연관시켜 모델화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how information seeking from various sources affects traditional news media`s agenda-setting effects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issues. 611 U.S. media`s news stories about Korea were analyzed and 429 Americans were surveyed to measure their perception about Korea.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 latent growth model found an overall significant agenda-setting effect of the U.S. media on Americans. Among four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the Internet use enhanced the traditional news media`s agenda-setting effect, whereas the exposure to traditional news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didn`t. Information seeking from formal institutions interfered with the media`s agenda-setting effect by providing their own agenda that competed with media`s. Additionally, need-for-orientation significantly predict the information seeking. Overall, this study figured out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ree concepts, such as `need-for-orientation → information seeking from various sources → agenda-setting effects of traditional news media.

      • KCI등재

        조직-공중 관계성 이론의 발전 과정과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한 고찰

        김효숙 ( Hyo Sook Kim ),양성운 ( Sung Un Yang ) 한국PR학회 2014 PR연구 Vol.18 No.1

        The notion of relationships as the core of public relations has brought a fundamental shift in the function and direction of the scholarship. The relationship management theory-initiated by Ferguson``s (1984) call for increased attention to relationships in the practices and theory of public relations- has since developed with contributions from pathfinder scholars (Broom & his colleagues, 2000; Hon & Grunig, 1999; Ledingham & Bruning, 199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to review how research has advanced the shift theoretically and seco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To this end, it begins by taking stock of these scholars`` foundational work at the inception stage; then goes on to revisit the following edifice of building-up research,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over the past decade; and lastly, supplies future research with both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nsights to make a breakthrough in current relationship research in need of ground-breaking progress.

      • KCI우수등재

        뉴스 미디어 신뢰도가 뉴스 수용자의 위기지각(risk perception)에 미치는 영향

        양성관(Seong-Kwan Yang),양성운(Sung-Un Yang) 한국언론학회 2003 한국언론학보 Vol.47 No.6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individual involvement in risks as a moderator of the effect of perceived source credibility of the news media on risk-related perceptions.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extent to which the message recipients use the news media to process information to form and change their risk-related perceptions, exploring several predictor variables such as the news media credibility, level of involvement, their interaction, media type, sex, and age in sequential multiple regression models.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s focused on the research context of the current risk of a potential terrorist attack in the United States after the September 11 th terrorist attack. Survey was the main method to collect the data, and survey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n=186) taking a basic communication course in a universityin the vicinity of Washington DC. To sum up the results, the results of MANCOVA and related multivariate ananlyse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news media credibility across the news media examined on this study (i.e., local TV news, newspaper, and the Internet) by non-chance amount. When sequential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analyzed to predict the two dimensions of terrorism-relevant risk perceptions (i.e., feeling of dread and feeling of uncontrollability),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was significant on the effect of the news media credibility on the risk perceptions with disordinal interadtion effect. Finally, in a sequential multiple regression model to predict the media use for information processing of a terrorist attack, both predictor variables such as the news media credibility and involv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dditional predictor variables such as the degree of risk-related perceptions and age.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실생활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매개효과 분석

        이종혁 ( Jong Hyuk Lee ),최윤정 ( Yun Jung Choi ),양성운 ( Sung Un Yang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실제 생활 속 사회자본과 공동체 참여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해 보았다. 뉴욕 거주 미국인 206명에 대해 설문조사가 실시됐고,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과 소벨 매개영향력 테스트(Sobel`s mediation test)가 분석방법으로 사용됐다. 연구 결과, 일반적 인터넷 사용은 실제 사회자본(Social capital)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터넷 사용이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매개로 하는 경우엔 오히려 사회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심리적 애착(Psychological attachment)이 큰 경우엔, 인터넷 사용이 커뮤니티 활동으로 이어지는 경우에도 사회자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됐다. 일반적 인터넷 사용,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커뮤니티에 대한 심리적 애착이 순차적으로 포함되는 구조방정식 모델들이 비교 분석됐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online community participation on real-life community engagemen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6 residents in New York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Sobel`s mediation test. The study found that the overall Internet use has a negative impact on social capital of real-life communities but this influence turned out to be positive if mediated through online community participation. Furthermore, this positive effect of online community participation becomes negative if it is mediated through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 online communit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