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 정의의 필요성에 대한 회의주의: 비판과 제안

        양민정 한국미학회 2022 美學 Vol.88 No.3

        오늘날의 예술 정의들은 크게 기능주의적 정의와 절차주의적 정의로 구분된다. 기능주의적 정의는 예술이 가지는 가치를 말해 줄 수 있는 반면 아방가르드 예술을 수용하기 어렵고, 절차주의적 정의는 아방가르드 예술을 인정할 수 있으나 예술의 가치에 대해 말해 주는 것이 없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미닉 로페스는 개별 예술 형식들의 정의를 넘어서는 “예술”의 정의가 필요한가에 의문을 제기하고 예술의 이론을 예술들의 이론들로 대체하는 “책임 전가 이론”을 주장하고 나선다. 이 글은 로페스의 책임 전가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첫째, 개별 예술 형식의 이론을 넘어서는 예술의 정의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둘째, 예술 정의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이 어떤 이유 때문에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지를 진단한 후, 셋째, 예술 작품이 가지는 가치를 말해 주면서도 절차주의적 요소를 도입할 수 있는 절차-기능주의적 정의의 한 가지 가능성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통해 예술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예술 제도나 역사와 같은 맥락적 성격과 함께 예술의 가치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함을 보이고자 한다.

      • KCI등재

        무즙을 첨가한 소맥전분풀과 고풀(古糊)의 물성 비교 연구

        양민정,이상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21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8 No.-

        소맥전분풀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가운데 하나로 장황(粧䌙)용 접착제로서 유연성과 강도, 작업의 용이성 등에서 적합하였다. 유연성이 필요한 족자·두루마리 등을 배접할 때에는 접착력이 약하고 점도가 낮은 고풀(古糊)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고풀은 소맥전분을 끓여 만든 풀로 10년 이상 숙성시키기 때문에 제작기간이 길고 수급이 어려우며, 안정된 환경에서 특별히 잘 관리하여야 하는 대상이므로 현장에서는 매우 소중히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공방마다 제조 방법과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점도, 접착력, 색상 등의 물성이 상이하고 전통재료의 규격화나 표준화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풀과 유사한 접착제의 제작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예부터 실생활의 민간요법에 사용되었던 점과 고문헌 기록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풀과 유사한 유연성을 갖는 접착제로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으며, 열화실험을 통해 물성변화의 양상을 연구하고 지류 보존처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무즙을 첨가한 소맥전분풀과 고풀로 배접한 한지 시편의 UV열화를 실시하여 전·후 물성을 비교한결과, 열화 후 풀에 무즙을 첨가한 비율이 증가할수록 열화 시간이 길어질수록 시편의 색상이 진하고 어둡게 변색되었다. 또한, 모든 시편의 접착 강도가 감소하였으며 무즙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열화 시간이 길어질수록 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내절강도는 소맥전분풀에 무즙을 첨가한 비율이 높은 시편일수록 값이 상승하였으며, 열화시간이 길어질수록 내절강도 값이 증가하다가 72시간 경과 후에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모든 시편에서 열화 전과 후 pH 값이 중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점도 측정결과 저점도인 고풀과 무즙을 3배 첨가한 풀의 점도 값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무즙이라는 첨가제의 특성과 물성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추후 천연접착제에 관한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Wheat starch paste has been one of the materials that can be easily obtained around us and has been suitable for flexibility, strength, and ease of work as adhesive for mounting. When pasting scrolls and roll of paper that require flexibility, aged wheat starch paste with weak adhesion and low viscosity was used. Aged wheat starch paste is a paste made by boiling wheat starch for more than 10 years, so it has a long production period and is difficult to supply and demand, and it has to be specially managed in a stable environment, so it is treated with great care at the site. Especially,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adhesives has been insufficient despit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viscosity, adhesion, and color and difficulty stand- ardizing or standardizing traditional materials due to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and environments. Therefore, based on the records of ancient data using radish juice,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dhesives with similar flexibility to aged wheat starch paste, and to study the patterns of physical changes through deterioration experiment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tributary conserva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UV deterioration of specimens distributed with aged wheat starch and wheat starch paste with radish juice, specimens color became darker as time goes by. Also, specimens color became darker increased as the percentage of juice was added after degradation. In addition, the adhesion strength of all specimens decreased. And the strength tended to decrease as the rate of juice addition increased as time goes by. In all specimens, pH values before and after degradation were found to be neutral. As a result of viscosity measurement, the viscosity values of aged wheat starch paste and radish juice were added three times were similar.

      • KCI등재

        디지털 그림은 왜 대필적인가: 대필적 예술의 기준에 대하여

        양민정 한국미학회 2023 美學 Vol.89 No.3

        넬슨 굿맨(Nelson Goodman)이 제시한 자필적인 예술(autographic art)과 대필적인 예술(allographic art)의 구분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비판을 받으며, 그 중 하나는 디지털 그림의 존재론적 특징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는 비판이다. 이 글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기보의 의미, 작품 생산의 역사와의 관련성 등의 개념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필적 예술과 대필적 예술 사이의 구분이 유효하며 예술 작품의 중요한 존재론적 측면을 드러낼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필자는 특히 굿맨의 이론을 비판하거나 발전시켜 디지털 그림의 존재론적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는 최근의 시도들을 비판적으로 살펴본 후, 자필적인 예술로부터 대필적인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으로서 제시되었거나 제시될 수 있는 몇 가지 조건들을 추려볼 것이다. 그것은 1) 위조 가능한가 2) 복제 가능한가, 3) 작품의 동일성이 생산의 역사로부터 독립적인가, 4) 기보적인가의 여부이다. 필자는 이 제안들 각각을 검토해 보고 그 설명력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필적 예술과 대필적 예술을 구분할 수 있는 적절한 기준은 무엇이며 그러한 구분이 디지털 그림의 존재론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Nelson Goodman's distinction between autographic and allographic art has been criticized despite its usefulness, one of which is criticism for not being able to properly explain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pictures. Through the analysis of concepts such as analog and digital, notation, and relevance to the history of work production, this essay will help to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autographic art and allographic art valid and reveal important ontological aspects of works of art. In particular, I will pay attention to recent philosophical studies that criticize or develop Goodman's theory to clarify the ontological nature of digital pictures. After examining their arguments carefully, I will pick out some conditions that have been or can be suggested as criteria for distinguishing autographic art from allographic art. They are 1) whether it can be forged, 2) whether it can be duplicated, 3) whether the identity of the work is independent of the history of production, and 4) whether it is notational. I will examine each of these proposals and evaluate their explanatory power. Through this, I will look at what is the appropriate criterion to distinguish between autographic art and allographic art and how such a distinction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pictures.

      • KCI등재

        창덕궁 인정전 일월오봉도 장황 복원 연구: 금박의 접착과 안정화 처리를 중심으로

        양민정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2 보존과학회지 Vol.38 No.5

        창덕궁 인정전 일월오봉도는 조선시대 궁궐 안의 공간을 분할하거나 궁중의 특정한 공간을 장엄하기 위해 제작된 대표적인 궁중장식화이다. 과거에 여러 차례 수리되었으나 어좌 뒤에 설치되 어 외부 자외선과 오염으로 손상이 심각한 상태였다. 인정전영건도감의궤(1805) 등의 문헌기록과 유사유물을 비교⋅연구하여 조선시대 일월오봉도의 장황 형태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보존 처리 후 장황하였다. 장황 과정에서 회장 비단을 새로 제작하여 금박을 접착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병풍에 회장 비단이 장황된 경우를 가정하여 접착제의 적절한 농도와 금박의 안정화 처리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점도, 접착력 등을 측정하여 접착제의 특성을 비교하고, 접착된 금박의 안정화 처리 전⋅후 색도,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금박 접착에는 농도 5%의 토끼아교와 농도 4% 풀가사리를 5:1(v/v) 비율로 배합한 접착제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금박 표면에 농도 1%의 토끼아교를 덧칠했을 때 금박의 황색을 더욱 돋보이게 하고, 표면의 묻어남을 방지하여 안정화 처리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문화교육과 판소리의 세계화 방안 연구

        양민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8 국제지역연구 Vol.12 No.3

        본고에서는 한국어 문화교육과 판소리의 세계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고에서 논의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판소리의 장르적 성격을 살펴 보았다. 판소리의 형성 배경,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구성원리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3장에서는 판소리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판소리에 나타난 한국 문화적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 충.효.열. 우애 등의 유교문화, 둘째, 선행의 보응의식 및 악인형의 캐릭터, 셋째, 민중의 마당문화, 신명문화, 넷째, 눈물 속의 웃음의 미학, 다섯째, 한국 고유의 가락 및 종합예술적 현장 연행문화 등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마지막 장에서는 한국어 문화교육을 통한 판소리의 세계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the globalization plan of 'Pansori'. The following contents were discussed in the study. Chapter II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in terms of genre. It focused on formation process, main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principles of 'Pansori. Chapter III discussed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Korean culture education through 'Pansori'. Chatper IV included Korean cultural elements revealed in 'Pansori', such as (1) Confucian cultures ('Loyalty and Filial Piety'), (2) retribution of praiseworthy deed and characters of 'Ak-inhyong', (3) the Korean people's 'Yard culture' and 'Joyous culture', and (4) proper Korean melody and composite artistic 'Yonhaeng' culture in Korea. Chapter IV investigated the globalization plan of 'Pansori' through Korean culture education.

      • KCI등재

        「나무꾼과 선녀」형 설화의 비교를 통한 다문화 가정의 가족의식 교육 연구 - 한국. 중국. 베트남. 몽골 설화를 중심으로 -

        양민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2 국제지역연구 Vol.15 No.4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family culture of four countries(Korea, China, Vietnam and Mongolia) in terms of cross-cultural comparison. The study focused on <Woodcutter and Fairy> type folktale of each country which have a worldwide distribution and high degree of affinity. Furthermore, based on this, educational elements of Korean family sense were examined. 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Chapter two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of taking <Woodcutter and Fairy> tale type as educational text targeting multi-cultural families. This chapter also examine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family sense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olktale. Chapter three dealt with the comparison of the four countries' narrative pattern of <Woodcutter and Fairy> tale type. Chapter four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ies' family sense from a family cultural perspective through inter-comparison of four countries' folktale. Chapter five investigated educational elements of Korean culture and family sense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설화는 오랜 세월 민중의 꿈과 희망을 담아 전승되어 왔다는 장르적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의 다양한 가족의 모습, 가족관, 가족 구조,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 양상, 해결의 모색 방안 등을 한국 설화를 중심으로, 다문화 가정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베트남, 또한 이주 잠재력이 높은 몽골 등 4개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나무꾼과 선녀>형 설화의 비교를 통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나무꾼과 선녀>형 설화는, 한국, 중국, 베트남, 몽골 등 4개국이 공통적인 기본 구조를 지니는바, 같은 동아시아 민족이면서도 하부 토대와 문화적인 차이에 의해서 가족문화 혹은 가족의식이 상당히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게 된다. 국가, 사회의 세계화에 이어 이젠 가정의 세계화를 지향해 가는 현 시점에서 <나무꾼과 선녀>형 설화 속에 내포된 부부관계, 고부관계, 부자관계, 모자관계 및 가족의식, 가족문화 등의 요소들은 다문화 가정의 상이한 가족문화를 이해하고 여러 갈등 요소들을 분석하고 극복 방안을 모색하는 교육자료로서 일정 정도 의의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본 설화는 천상적 여성 존재와 지상적 남성 인물의 만남과 이별의 공통 구조를 가진 이야기이다. 아내와 남편의 부부관계 뿐 아니라 부모, 자녀까지도 등장하여 한 단위의 전통 가족구조를 보여줌으로써 각 국의 유형에 따른 각각의 가족문화를 잘 제시하고 있다고 본다. 천상적 존재 선녀와 지상적 인물 나무꾼의 결합은 동질적 민족, 동질적 문화 기반의 남녀가 아니며, 이계적 존재와 인간과의 이질적 결합이라는 점에서 다문화 가정의 이질적 가족 구성원의 구조로도 캡쳐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설화의 4개국 상호 비교는 전승집단의 자녀관. 가족관, 가족 형태와 같은 가족문화사적 접근에 용이한 관점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설화를 활용한 다문화 가정의 상호문화 소통과 이해-한국․중국․베트남을 중심으로-

        양민정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0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coexist multicultural families that form a new home paradigm in Korea. Mutu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among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key to the integration and settlement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significance of the folktale education lies in cultivating a healthy multicultural family consciousness that respects mutual equality and difference while minimizing recognition gap between mainstream and other in the various spectrum of multiculturalism. In this paper, we discuss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folk tales. I tried to look into the tale of China and Vietnam, which are the most commo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Korea. First, I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folktal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Next, I examined the folktales that seem to show similarities between Korea - China and Korea - Vietnam which can examine aspects of family consciousness between the two countries. Although they have similar narratives, family consciousness and family culture of both countries show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mutual cultur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elements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were found. Family consciousness could be summarized by aspects such as affection, brotherhood, sisterhood, conjugal affection, conflict with half sister and stepmother, maternity, and family conscious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of the use of narrative in the viewpoint of multiculturalism. 한국에 새로운 가정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와 공존의 시각이 필요하다. 다문화 사회의 통합과 정착의 원점에는 다문화 가정 구성원간 상호 소통과 이해가 핵심이다. 다문화의 다양한 스팩트럼 속에서 주류자와 타자 간 인식 간극을 최소화하면서 상호 평등하고 다름을 존중하는 건강한 다문화 가정의 가족 의식 함양에 설화 교육은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설화를 활용한 다문화 가정의 상호문화 소통과 이해 능력 향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문화 가정을 가장 많이 이루고 있는 중국과 베트남의 설화를 각각 한국과의 관계 속에서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다문화 가정을 위한 설화 교육 의의를 살펴 보았고, 다음으로는 양국 간 가족 의식의 제 측면을 살펴볼 수 있는, 한국-중국, 한국-베트남 양국 간 유사점을 많이 보인다고 판단되는 설화들을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유사한 설화를 지니면서도 양국 간 가족 의식, 가족문화 등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드러내었고, 다문화 가정 구성원간의 상호문화 소통과 이해의 요소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가족 의식은 남녀 애정, 형제애, 자매애, 부부애, 이복자매 및 계모와의 갈등, 모성애, 가문의식 등의 양상으로 정리될 수 있었다. 본고는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설화 활용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민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양민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2 No.4

        This study investigates on a culture education approach through folk tale which is one of narration story types. Folk tale is important because it can be useful and interesting text for the foreign learners of Korean to learn traditional Korean culture, ideas, an world view of Korean people, etc.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tale as a genre and the advantage of practical application of it. By analyzing three works of folk tale: ‘Can live with my luck', 'Ureong wife', and 'Snake bridegroom', the study presents cultural elements revealed in Korean folk tale. The following elements are found in the research: (1) positive and people-oriented world view, (2) will and power of execution, (3) the people's wish fulfillment, (4) wisdom of women and the wife's assistant, and (5) strong married love and familism.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efficient way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pplication of folk tale.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not only to Korean culture education but also to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leads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설화 장르의 하나인 민담을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제시에 초점을 두었다. 민담은 외국인 학습자에게 먼저 한국문학을 소개하는 동시에 한국문화의 전통과 한국인의 사상, 세계관, 정신 등을 습득하게 하는 유익하고 흥미로운 동기 유발의 텍스트로서 그 의의가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민담의 장르적 특성을 살펴 보았고, 한국어 문화교육에 있어서 민담 활용의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작품으로는 광포설화인 <내 복에 산다>형, <우렁각시>형, <뱀신랑>형 민담 등 세 유형을 각각 분석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민담에 나타난 한국문화적 요소를 고찰하였다. 크게 다섯 가지로 추출된바, 첫째, 긍정적, 인간중심적 세계관, 둘째, 의지와 실천력의 현실과, 셋째, 민중의 소망 성취, 넷째, 여성의 지혜, 내조관, 다섯째, 견고한 부부애, 가족주의 등이다. 이러한 논의를 집약하여 민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의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은 물론, 고급단계의 수준높은 한국어 구사능력의 향상이라는 통합적 교육 방안에 일정 정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