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rspectives on Epistemology in Beckett`s ?Film?

        양기찬 ( Gi Chan Yang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4 연극교육연구 Vol.24 No.-

        Beckett`s ?Film? consummates and shows the artistic ideals of Beckett. The directions given by Beckett for directing and making the ?Film? is relevant not only with his later works written for television, but also with his stage works that define Beckett as one of the foremost modern authors of today. The study will demonstrate as to why image sequences proposed by the ?Film? should be considered as the sum of all Beckett`s aesthetics. This study will look to examine the epistemological attributes represented in the ?Film?. This study o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will give an in depth look at the aesthetic`s represented in Beckett`s works. Because ?Film? is a work based on movement, imagery, time and difference, the study will try to respond to the questions concerning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based on image and movement of the main characters O and E. The ?Film? proposes an epistemological question and is an exploration into subconsciousness and self awareness, which manifests in a metaphoric manner. The signification and the symbolizations associated with the point of view and the mise-en-scene that defines the work ?Film? represents Beckett`s aesthetics and his endeavor to try to present the world in a objective manner.

      • KCI등재

        번역 현상과 실제

        양기찬(Yang, Gi-ch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3 No.-

        번역은 문학에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소재인 동시에 창조라고 할 수 있다. 제 2의 창조라는 낱말이 전혀 낯설지 않은 것은 번역 그 자체가 하나의 새로운 ‘작품’(oeuvre)을 의미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번역은 원작품의 의도와 그 의의를 얼마만큼 살리고 있는가에 대한 내용의 분석에 따라 그 번역의 충실도와 완성도를 논의할 수 있다. 정확한 정보의 전달을 위한 번역과정은 출발어와 도착어간 존재하는 어휘/어감의 차이와 함께 원작품의 사회문화적 현상 등에서 찾을 수 있는 차이를 최대한 줄여 나가는 것이다. 번역과정을 통해서 원작의 내용이 제대로 전달되어지는가에 따라 그 번역된 작품의 완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 내용과 의미 그리고 의의의 변화없이 원어의 뉘앙스(nuance)를 도착어를 통해서 잘 전달하고 있는가를 우선적으로 번역의 가치로 삼는다면 원어와 동일한 어휘의 활용과 그 상황의 번역에 얽매일 필요성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작품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본 글은 번역의 과정에 있어서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번역해야 원작품의 의의와 의미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일까에 대한 연구이다. 번역의 현상과 실제를 논하기 위하여 희곡 작품에 대한 몇몇 번역서를 토대로 번역의 현상과 실제를 주제로 다루고자 한다. 일반적 번역에서 ‘출발어’와 ‘도착어’의 간극을 어떻게 줄일 수 있는가가 번역에서의 문제의 핵심을 차지한다고 한다면 ‘무대화’를 염두에 두고 집필되는 희곡의 번역 작업에 있어서는 보다 더 세밀하게 ‘일상어’와 ‘문화’를 대변해줄 수 있는 번역과정이 필요시 된다. 특히 작품의 ‘성격’상 문화적 뉘앙스의 이해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희곡 작품의 번역과 그 문제점은 더 부각될 수밖에 없다. 무대화의 기본은 원작의 의의와 그 원작이 주는 뉘앙스를 어떻게 다른 언어로 그리고 환경에서 재현시킬 수 있는가에 그 번역본의 완성도의 가치를 논할 수 있다. 번역가의 타문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원작에 내재하고 있는 그 작품만의 고유성과 멋을 도착어로서는 재현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Translated work today qualifies as literature, as it is not surprising to actually acknowledge the translation as a work of Art itself. The completeness and the fidelity of the translated work depends on how the translation conveys the ideals of the original work. To achieve the fidelity and the completeness required it is necessary that the translation not only narrows but also takes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in the cultural perspectives and the terminologies used between the sourc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It is imperative for a translated work to convey the ideal and ideas of the work being translated. Even if the terminology changes the said nuance, that the orignal work denoted, should rest intact for the translation to be qualified as being a fidel representation of the orignal work that has been translated. The paper examines various translations of dramatic works that has been published to review the issues and the needed discretions in translating dramatic works due to its distinctive and particular relation with the reader/audience. In translating a dramatic work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acknowledge the cultural codes presented in the original work to fully and completely translate the nuance that defines the work concern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베케트와 부조리극

        양기찬(YANG Gi-Chan)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9 프랑스문화연구 Vol.18 No.-

        Dans cette étude, nous essayons de faire montrer le liaison entre le théâtre avant-garde et celui de Beckett. On a d'abord examiné l'histoire du théâtre dans le vingtième siècle, pour qu'on arrive à une meilleure compréhension de la différence entre le théâtre moderne et le théâtre traditionnel. Le théâtre moderne montre de nouveaux caractères basés sur l'idée de l'esthétique de la réception, et également des idées contre la représentation traditionelle et même de la société. Cette idée révolutionnaire est basé sur les perspectives ‘humaines’, plus précisément sur celui d'existentialisme du vingtième siècle de Camus et Sartre. Le théâtre de Beckett montre bien les traits du théâtre moderne donc de celui d'avant-garde. Il est important de noter ici que même si l'on constate que le nouveau théâ̂tre a été commencé avec Ubu roi du Jarry, ‘la forme et les idées qui a défini le nouveau théâtre’ dans le sens plus générale qu'on témoigne aujourd'hui ont été établies sur des idées et la représentation du théâtre de Beckett. Le théâtre moderne et le théâtre de Beckett se complète l'un à l'autre. Tous les deux montrent bien les changement des idées qu'on constate dans la représentation d'aujourd'hu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