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luconacetobacter sp. gel_SEA623-2를 이용한 Bacterial Cellulose 생산에 초산농도 및 유산균 혼합배양이 미치는 영향

        김경민,김지현,양경월,Kim, Kyung min,Kim, Jihyeon,Yang, Kyong Wol 한국미생물학회 2014 미생물학회지 Vol.50 No.3

        In this study, Gluconacetobacter sp. gel_SEA623-2 isolated from citrus that produces bacterial cellulose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initial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and mixed culture inocula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80077 on productivity of bacterial cellulose. In mixed culture added with 0.5% acetic acid, the viable cell count increased from $2.4{\times}10^6CFU/ml$ to $1.1{\times}10^7CFU/ml$ after 14 days of culture, and total acidity was about 0.3% higher than single culture added with 0.5% acetic acid, which implies that additional lactic acid was produced by L. plantarum KCCM 80077. In single culture, although bacterial cellulose productivity was higher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s of acetic acid were 0.0% and 0.5%, than when it was 1.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in mixed culture, adding 0.5% acetic acid resulted in dry weight of $37.83{\pm}6.81g/L$ and thickness of $10.33{\pm}0.58mm$,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of single culture added with 1% acetic acid, $28.40{\pm}1.23g/L$ and $7.50{\pm}0.50mm$ (P<0.05). 본 연구에서는 bacterial cellulose를 생산하는 감귤에서 분리된 Gluconacetobacter sp. gel_SEA623-2를 이용하여 초기 초산농도 및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80077 유산균을 접종한 mixed culture가 bacterial cellulose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0.5%의 초산을 첨가한 mixed culture의 경우 초기 생균수가 $2.4{\times}10^6CFU/ml$에서 14일 동안 배양한 이후에 $1.1{\times}10^7CFU/ml$까지 증가하였고 total acidity가 0.5%의 초산을 첨가한 single culture와 비교하여 0.3% 가량 높게 측정되어 유산균에 의해 추가적으로 젖산이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Single culture에서는 초기 초산농도가 0.0 및 0.5%일 때 1.0% 농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bacterial cellulose 생산성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못하였다. 하지만 mixed culture에서는 0.5%의 초산을 첨가하였을 때 $37.83{\pm}6.81g/L$의 dry weight과 $10.33{\pm}0.58mm$의 thickness를 나타냄으로써 1%의 초산을 첨가한 single culture의 $28.40{\pm}1.23g/L$와 $7.50{\pm}0.50mm$의 생산량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 KCI등재

        백합뿌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윤훈석(Hoon Seok Yoon),양경월(Kyung-Wol Yang),김정은(Jung Eun Kim),김정미(Jeong Mi Kim),이남호(Nam Ho Lee),현창구(Chang-Gu H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5

        피부미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멜라닌 함량, 세포내 tyrosinase 활성의 측정 및 Western blotting 실험이 수행되었다. 백합(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뿌리의 8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R-EA)은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유도된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였다. 정확하게 세포내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 함량은 에틸아세데이트 분획물 100μg/mL 처리 시 α-MSH 단독 처리군에 비해 각각 45%와 74%의 저해율을 보였다. α-MSH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유도된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단백질 발현양상을 살펴본 결과 TRP-1이 가장 많이 억제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결과는 세포내 tyrosinase 활성저해보다 멜라닌 생성저해가 더 많이 일어난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이를 종합해 볼 때 p-coumaric acid와 resveratrol 함량이 백합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많이 함유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멜라닌 생성 유도물질에 의해 촉진된 ERK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피부미백 소재로서 그 가치가 입증된다고 사료된다. In order to develop a skin-whitening agent, melanin contents an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Ethyl acetate fractions of 80% ethanol extracts from lily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bulbs (R-EA) inhibited melanin synth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treated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s were suppressed by 45% and 74%, respectively,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100 μg/mL of R-EA. Examination of protein expression associated with α-MSH-induced melanogenesis showed that tyrosinase related protein (TRP)-1 was inhibited more strongly than tyrosinase, and thes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stronger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than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Taken together, R-EA containing p-coumaric acid and resveratrol could be used as a hypopigmentation agent through suppression of sustain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ctivation via melanogenic in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