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암모니아 추진 모델 적용을 위한 연구: 실습선을 중심으로

        양가영(GA-YOUNG YANG),안재우(JAE-WOO AHN),홍성빈(SUNG-BIN HONG),김강현(KANG-HYEON KIM),박재민(JAE-MIN PARK),류보림(BO RIM RYU),강호근(HO KEUN KA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현재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해서 지구의 이상기후현상의 끝임없이 발생하는 가운데 온실가스 감소를 위해서 각 국제기구에서는 여러 규정을 구획하며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규정을 지키며 온실가스 감소를 위해서 친환경 선박이 연구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 논문은 친환경 선박이 연구되어지는 현 상황에서 친환경 선박, 그중에서 SOFC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암모니아 연료추진선박의 case study를 통해서 암모니아 SOFC 연료전지추진선박의 연료추진시스템의 모델링을 하고, 암모니아 SOFC연료전지추진선박이 얼마나 기존의FO를 사용하는 선박과 비교하여 에너지효율 및 탈탄소에 큰 이점을 가져다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다. Currently, due to the increase in GHG emissions, the global weather phenomenon is constantly occurring, and each international organization is trying to reduce 온실가스 through various regulations to reduce GHG. To comply with the regulations, eco-friendly ships are currently being studied to reduce GHG. This paper models the fuel propulsion system of NH3 sofc fuel cell propulsion ship through the case study of eco-friendly ships, especially NH3 fuel cell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how NH3 sofc fuel cell propulsion ships can benefit energy efficiency and decarbonization compared to existing FO vessels.

      • KCI등재

        한국어 고급 학습자 대상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와 수업 방안 연구 - 김애란의 「나는 편의점에 간다」를 중심으로 -

        양가영 ( Yang¸ Ga-you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3

        한국어와 한국학에 대한 교육의 수요가 비약적으로 늘어감에 따라, 한국문학 교육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심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를 재정의하고, 그에 따른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논의에서 한국문학 교육은 내용, 목표, 방안을 문학성에 기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학 교육의 목표에서 문학성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문학성을 고려하였지만 한국문학을 타자화시키거나, 문학성을 고정된 이론적 지식으로 규정하는 한계를 보였다. 이런 이유로,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에 대한 논의가 심층적으로 진행될 수 없었고, 그에 따라 교육 방안 또한 문학성을 반영하여 제시되지 못했다. 본고는 이러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하고, 김인환과 윤혜준의 논의를 참고하여, 문학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의 체험와 문학의 조우이며, 교육자는 이를 위해 문학적 지식을 준비하고 학습자와 문학의 조우에 민감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며 도와야 함을 밝혔다. 여기서 문학성을 구성하는 문학적 지식은 문헌학, 해석학, 수사학의 층위로 구분할 수 있고, 외국인 학습자에 대해서는 세 층위에서 한국 학생에게 필요한 내용과는 다른 준비가 필요하다. 이는 학습자의 문화적, 역사적, 사회적 배경 그리고 한국어 능력에 기반하여 각기 다르게 파악해야 한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학습자의 문화, 역사, 사회를 교육자가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를 전제할 때, 교육에서 그 문학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고, 문학성이 있는 작품은 어려운 작품이라는 기존의 논의에 반박하였다. 문학성이 풍부한 작품은 그 문학성으로 인해 흥미와 공감을 유발하여 교육에서 용이할 수 있으며,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고, 고전보다는 현대문학에 대한 교육이 요구됨을 밝혔다. 나아가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문학 교육은 그 한계를 구분하고, 한국문학 교육으로 고급 학습자를 이행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가 이와 같은 문학성과 용이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작품임을 보이고,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의의를 검토하고, 수업 방안을 제안하였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의 수업 과정에서 문학 향유의 목표 달성을 위해 담론-대화 중심의 수업 방안의 적합성을 분석하였고, 기존의 논의에 대한 반성적 재고로,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감상과 이해 그리고 표현이 중요함을 밝혔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는 소통, 결여, 자본에 대한 문학적이고 철학적인 통찰을 담고 있는데, 이는 어려운 듯이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현대 사회와 그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보편적인 삶에 대한 철학적이고 사회학적인 전제이다. 이와 같이 깊이 있는 사고와 감각의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문학적 교재는 한국어 고급 단계의 성인 학습자에게 삶의 문제를 함께 생각하게 하는 충족감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국문학 향유의 결과는 고급 한국어의 학습을 포함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향유하는 과정을 주도하는 형태의 수업으로 담론-대화 중심의 수업 방안을 적합하다고 보고, 「나는 편의점에 간다」의 수업 방안을 실례로 제시하였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를 이해하기 위한 대표적인 세 담론인 소통부재, 결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소외로 정리하고, 「나는 편의점에 간다」의 수업 방안을 계획 단계, 수업 단계, 외부로의 확장 단계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그 결과로 「나는 편의점에 간다」가 용이성과 문학성 그리고 현재성을 가진 한국문학 수업의 교재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수업에서 최대한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문학성을 향유할수록 고급 한국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를 대상으로 하는 문학 향유의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소통, 결여, 자본에 대해 문학적으로 그리고 철학적으로 느끼고 사유하게 된다. 언어는 표현의 단계뿐만 아니라 사유와 감각의 단계에서도 작용한다. 끝으로, 「나는 편의점에 간다」는 이와 같이 고급 한국어 교육 또한 다층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재이며,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학 교육은 각 수업이 포섭할 수 있는 문학성을 명료하게 인지하고 진행되어야 함을 밝혔다. 이를 통해, 문학이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으로 배제되고 소외되는 노동과 소비의 현실에서 소통과 연대의 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 As the demand for education for Korean and Korean studies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need to expand and deepen discussions abou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s increasing. Accordingly, I redefine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uggested a teaching plan. As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evious discussions didn’t consider literary nature analyzing content, goals, and method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e education were discussed without profound study on literary character. For this reason,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ould not be conducted, and accordingly, the educational plan was not reflected in the literature. Being based on this critical review, and referring to the discussions of Kim In-hwan and Yoon Hye-jun, the goal of literary education is the encounter of the learner’s experience and literature, and the educator prepares literary knowledge for this and is sensitive and appropriate to learners’ and literature’s encounters. Educator needs to respond enthusiastically to help the students make their experiences encounter literature. Here, the literary knowledge constituting the literary characristic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demenscions of philology, hermeneutics, and rhetoric, and educator need to prepare for the knowledge foreign students need differently from Korean students depending on their cultural,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Korean proficiency. In particular, this paper emphasized the need for educators to actively understand and learn the learner’s culture, history, and society. When presupposing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sufficien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literary nature in education, and the existing debate that literary works are difficult works was refuted. The literature that is rich in literary nature can be facilitated in education by inducing interest and empathy due to its literary nature manly hermeneutics and rhetoric. Besides, literature education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needs to be studied for adults, and education for modern literature rather than classics is required considering literary nature. Furthermore, it was shown that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hich is being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s to be distinguished by its limitations and progressed to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advanced learners to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 Go to Convenience Store shows that it is a work that can secure such literary and ease at the sametime,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to realize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uggesting a teaching exampl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appreciating literature in the course of I Go to Convenience Store I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scourse-conversation-oriented teaching method, and as a reflective re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discussion, emphathyzing learner ’ s voluntary and leading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it. I Go to Convenience Store contains literary, philosophical and social insights about communication, lack, and capitalism, which may seem difficult. However, this is a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premise of the modern society and the universal life of human beings now. The literary text that affects the entire process of deep thought and sensation as described above can enable the adult learners at the advanced level of Korean to think about the foundation problems of life. The results of this appreciation of Korean literature must include learning advanced Korean language. In this way, as a form of instruction that leads learners to appreciate literary works, the discourse-conversation-oriented teaching method is considered appropriate, and the teaching method of I Go to Convenience Store is presented as an example. The three main discourses to understand I Go to Convenience Store are summarized as absence of communication, lack, and alienation in a capitalist societ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 go to a convenience store” is suitable as a textbook for Korean literature classes with ease, literary and presentness. In the class, the more students learn and lead literacy, the more advanced Korean learning can be achieved.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literature aimed at I Go to Convenience Store learners feel and think literarily and philosophically about communication, lack, and capitalism. Language works not only at the stage of expression but also at the stage of thinking and sense. Lastly, I Go to Convenience Store is a textbook that can be achieved in a multi-layered way as well as high-level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education need to recognize that it could cover where their class cover the literary nature of the work. Through this, it was shown that literature can contribute to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in the reality of labor and consumption that is excluded and alienated as a transnational aspect.

      • KCI등재

        자간전증과 저체중아 임신부에서의 혈청내 태반성장인자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이제연 ( Je Yeon Lee ),양가영 ( Ga Young Yang ),박소연 ( So Yeon Park ),홍기숙 ( Ki Sook Hong ),오세진 ( Se Jin Oh ),박미혜 ( Mi Hye Park ),전선희 ( Sun Hee Chun ),김영주YoungJu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11

        목적 임신과 관련된 태반질환은 임신의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 태반성장인자(placental growth factor, PlGF)는 여러 혈관생성인자 중 하나로, 자간전증 시 태반과 혈액에서 감소하며, 저체중아 임신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대조군과 자간전증군, 저체중아군의 혈청 PlGF 농도의 비교를 통해 임상적인 진단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총 40명의 정상 대조군, 30명의 자간전증군, 30명의 저체중아를 가진 산모군에서 혈청 샘플을 채취하였으며, 혈청 PlGF 수치는 TriagePlGF검사를 통해 측정되었다. 통계방법은 Kruskal-Wallis test와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curve를 이용하였다.결과 자간전증 임신부의 혈청 PlGF (21.17±15.27 pg/mL)는 정상군(133.70±158.80 pg/mL)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 <0.01), 저체중군에서의 혈청 PlGF (95.65±210.36 pg/mL)는 정상군에 비해 낮은 농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혈청 PlGF는 대조군에 비해 자간전증군과 저체중군에서 감소되었으며, 자간전증군에서는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추후 전향적 연구와 같은 추가적 연구를 통해 혈청 PlGF 수치는 자간전증 및 저체중군의 위험도를 가지는 여성에서 진단척도로서의 유의한 지표가 될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Objective Placental growth factor (PlGF) is one of the many angiogenic factors, which is decreased in placenta and serum during preeclampsia (PE) and also associated with pregnancies complicated by small for gestational age. In this study, we compared serum PlGF levels with different groups (controls, PE patients, pregnant women with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and evaluated the usefulness of PlGF for diagnosis. Methods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time of delivery from 40 women with uncomplicated pregnancies, 30 women with PE, 30 women with pregnancies complicated by SGA fetuses. Serum PlGF level was measured in all the samples using Triage PlGF test. We used the Kruskal-Wallis test and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Results Maternal serum PlGF concentrations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PE (21.17 ±15.27 pg/m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uncomplicated pregnancies (133.70 ±158.80 pg/mL, P <0.01) and PlGF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SGA fetuses (95.65 ± 210.36 pg/mL)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Decreased PlGF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PE and SGA, PlGF concentrations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P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uncomplicated pregnancies. By further prospective investigation, we may expect that the PlGF levels during pregnancy will be a marker to identify women at risk for the development of PE and SGA.

      • KCI등재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항뮐러관 호르몬에 관한 연구

        유시연 ( Si Yeon You ),박소연 ( So Yun Park ),양가영 ( Ga Young Yang ),정경아 ( Kyung Ah Jeong ),김영주 ( Young Ju Kim ),정혜원 ( Hye Won Ch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5

        목적 다낭성 난소증후군(polycystic ovary syndrome) 환자에서 항뮐러관 호르몬(anti-Mullerian hormone)을 측정하여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임상적, 생화학적 특징 및 관련 지표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Rotterdam European Society for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기준에 따라 진단된 100명의 다낭성 난소증후군 환자에서 혈중 항뮐러관 호르몬을 측정하였다. 신체계측, 혈액검사, 질식 또는 직장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다. 다낭성 난소 형태(polycystic ovarian morphology, PCOM)와 고안드로겐혈증에 근거한 표현형에 따라 4군으로 분류하여, 항뮐러관 호르몬과 인슐린 저항성 등의 다낭성 난소증 후군 관련 지표들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항뮐러관 호르몬 농도는 4.1-21.0 ng/mL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 10.4 ± 4.1 ng/mL이었다. 항뮐러관 호르몬 농도의 범위에 따라 분류한 저(4-8 ng/mL), 중등(8-12 ng/mL), 고(>12 ng/mL) 농도의 3군 간의 인슐린 저항성 관련 지표들은 차이가 없었다.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표현형에 따른 분류에서 항뮐러관 호르몬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둔부 둘레비, 총 및 유리 테스토스테론,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식후 2시간의 인슐린과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지수는 다르게 나타났다. 총 테스토스테론과 초음파로 관찰한 난소 부피 및 난포 개수는 항뮐러관 호르몬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결론 다낭성 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증가되어 있는 항뮐러관 호르몬 농도는 총 테스토스테론과 다낭성 난소 형태의 초음파 소견과 상관성이 있었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Mullerian hormone (AMH) and parameters related to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Methods We measured serum AMH levels in 100 women with PCOS by Rotterdam European Society for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 criteria. We conducted somatometry, blood test and transvaginal or transrectal ultrasound test. We compared and analyzed AMH and parameters in terms of insulin resistance according to PCOS related phenotypes. We divided phenotypes into four groups by polycystic ovarian morphology (PCOM) and hyperandrogenemia (total testosterone [TT], free testosterone [fT]). Results AMH levels ranged from 4.1 to 21.0 ng/mL and the mean level was 10.4 ± 4.1 ng/mL. Signifi cant differences in parameters of insulin resistance were not observed among low (4 to 8 ng/mL), moderate (8 to 12 ng/mL), and high (>12 ng/mL) levels of AMH.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H were not observed among groups according to PCOS related phenotypes. Weight, body mass index, waist-hip ratio, TT, fT,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2-hour insulin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index were different signifi cantly according to PCOS related phenotypes. TT, ovarian volume and follicle numb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H. Conclusion Increased serum AMH levels in PCOS are correlated with TT and PCOM.

      • KCI등재

        수확시기, 예건 및 싸라기 처리가 유기 청보리의 사초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종덕(Jong Duk Kim),이현진(Hyun Jin Lee),전경협(Kyeong Hup Jeon),양가영(Ga-Young Yang),권찬호(Chan Ho Kwon),성하균(Ha Guyn Sung),황보순(Soon Hwangbo),조익환(Ik Hwan J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1

        최근에 청보리 사일리지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조사료이지만 유기축산을 위한 유기조사료의 생산과 품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유기 청보리 사일리지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고, 사일리지 품질 향상을 위하여 예건과 싸라기를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평가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12처리 3반복의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수확시기로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를 두었으며, 세구는 무처리, 예건, 싸라기 10%, 싸라기 15%를 두었다. 수확시 건물함량은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12.8%, 21.9% 및 29.8%로 증가하였다. 청보리의 건물수량은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10,346, 15,819 및 18,336 ㎏/㏊였으며, TDN 수량은 6,288, 9,550 및 10,178㎏/㏊였다. 유기 사일리지의 pH는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4.70, 4.03 및 5.37로 유숙기가 가장 낮았다. 청보리의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조단백질, 조지방, NFC 및 TDN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NDF 및 ADF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조회분 함량은 유숙기가 가장 낮았다. 사일리지의 예건과 싸라기의 첨가는 조회분, NDF 및 ADF 함량을 감소시키고, NFC와 TDN 함량은 증가시켰다. 사일리지의 건물소화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하여 건물소화율이 증가하였다. 유숙기가 다른 수확시기보다 젖산과 총유기산 함량은 높고 낙산 함량이 낮아 총유기산 중 젖산함량이 가장 높았다.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한 젖산 함량 증가 효과는 출수기가 다른 수확기보다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기 청보리 사일리지 제조를 위한 수확적기는 유숙기 이었으며,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하여 청보리 사일리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Although whole crop barley (Hordeum vulgare L.) is now widely grown as a silage crop in Korea, forage production and silage quality of that for organic farm have not been publishe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arvest stage on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organic barley, and effect of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for shortening of harvest date and improvement of forage quality. The experiment was split-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Main plots were heading, milking and yellow stages, and sub-plot were field wilting for 1 day, crushed rice 10% (CR10%) and 15% (CR15%) treatments. The dry matter (DM) contents of heading, milking and yellow stages were 12.8%, 21.9% and 29.8%, respectively. The DM yields of heading, milking and yellow stages were 10,346, 15,819 and 18,336 kg/ha, respectively, and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of these were 6,288, 9,550 and 10,178 kg/ha, respectively. The pH of milking stage showed low 4.00 pH values. The crude protein, ether extract, crude ash, non-fiber carbohydrate (NFC) and TDN contents were decreased as harvest stage progressed, whil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were increased. The crude ash (CA) of milking stage showed the lowest among harvest stages.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treatments decreased CA, NDF and ADF contents, and increased NFC and TDN contents.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decreased with progressed harvest stage, while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treatments increased that of barley silage. Lac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of milking stage were the highest, and butyric acid of milking stage was the lowest among harvest stage. The good effect of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was observed in heading stage.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 that optimum harvest stage of barley silage for organic was milking stage. The field wilting and crushed rice additive could be recommended as effective method for shortening harvest date and increasing forage quality of organic barley si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