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considering the Role of Desire in Yogācāra Buddhism

        Hwanki Ahn(안환기)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2 No.-

        본 논문의 목적은 요가차라에서 "욕망"의 성질을 조사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욕망"의 개념은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었다. 초기 불교에서는 부족한 부분을 개척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주로 세속적 것 때문에 나타났다. 따라서 "욕망"은 수행 중 제거되어야 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유명한 불전인 아비달마구사론(阿毗達磨俱舍論) (CE 5C)에서 "욕망"은 과거 번뇌(煩惱: kleśa)에서 생겨난 종자(種子: bīja [anuśaya])이며 또 다른 번뇌를 형성하는 에너지로 묘사되어 있다. 특히, 이 불전에 의하면 경량부(經量部: Sautrāntika)의 종자는 요가차라의 핵심 개념인 8개의 의식(意識: ālayavijñāna)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묘사되어있다. 요가 차라의 설명에 따르면 모든 과거의 행동이 8개의 의식에 언어 행동의 결과인 종자(bīja)로 저장되어 있다. 모든 세속적 "욕망"은 씨앗의 형태로 남아 의식(vijñāna)을 분열시킨다. 특히 "욕망"의 개념은 특히 요가차라불교의 두 가지 측면을 보여준다. 세속에서는 이기적 행동을 형성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반면, 보살(菩薩: Bodhisattva)의 경지에서는 평범한 사람들을 열반(涅槃: Nirvāṇa)의 상태로 이끄는 힘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논증을 통해서 본 논문은 "욕망" 자체를 사람들을 윤회(輪廻: saṃsāra)에 머물게 하거나 열반에 이르게 하는 힘으로 보아야 한다고 본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of ‘desire’ in Yogācāra Buddhism. Historically, the concept of ‘the desir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n the early Buddhism it was considered as one carving for the lack. It was mainly shown in view of secular. Therefore, it looks like that ‘the desire’ is regarded as one to be removed during the practice. Meanwhile, in the famous text (CE 5C), Abhidharmakośa-bhāṣya, ‘the desire’ is described as bīja[anuśaya] arising from the past kleśa and explained as the energy to form another kleśa. Especially Sautrāntika’s bīja was described as one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ālayavijñāna, the core concept of Yogācāra Buddhism, in that text. It is explained in Yogācāra Buddhism that all the past actions are always stored as seeds(bīja), the results of language action, in ālayavijñāna. All the earthly ‘desires’ are remained in the form of seeds causing to divide the vijñāna. Especially the concept of ‘desire’ shows two aspects in Yogācāra Buddhism. In the secular world, it is described as one to form the selfish actions. Meanwhile in the state of Bodhisattva i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power to lead the ordinary people to the state of Nirvāṇa. Through this demonstration, this article contends that ‘the desire’ itself is to be seen as a power to have people stay in saṃsāra or reach Nirvāṇa.

      • KCI등재

        불교와 초연결 네트워크 사회: ‘4연(緣)’과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안환기 ( Hwanki A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한 현상인 초연결 네트워크 사회를 불교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사람과 인터넷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시대에 불교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불교의 4연(緣)과 최근 주목받고 있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비교·분석했다. 불교의 4연은 마음의 관점에서 현상을 해석하며,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은 인간과 네트워크가 각각 주체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세계를 설명한다. 두 이론은 모두 관계적인 측면에서 존재를 해석하고 있다. 한편, 불교는 수행을 통해 마음의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은 인간의 마음의 문제 즉 외로움, 고통 등을 논의하지 않는다. 인간은 네트워크에서 단지 디바이스로서 존재할 뿐이라는 시각을 보인다. 따라서 불교의 마음에 대한 통찰과 타인에 대한 자비와 같은 사상은 초연결 네트워크 사회 속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role Buddhism can play at a time when people and Internet networks coexist. For thi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four conditions and actor-network theory (ANT). The former interprets the network in terms of the mind, and the latter focus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etworks. Both theories interpret all beings from a relational view. While Buddhism presents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mind through practice, ANT does not discuss the issue of human mind in the network. Thus, Buddhist ideas will st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 KCI등재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불교 심리학적 의미

        안환기 ( Hwanki Ah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논문은 ‘자리이타’가 생겨나는 보살의 심리과정을 살펴보고, 현대사회에서 ‘자리이타’가 구현되고 있는 양상을 불교 상담사의 심리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 연구이다. 대승불교가 동아시아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다양하게 변모했지만, 보살은 지금도 불교에서 이상적 모델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은 보살수행 5위를 분석하여, 보살의 이타심이 통달위에서 ‘후득지’를 증득하면서 생겨나며, 보살은 중생을 구원하기 위해 이타적인 행위를 하지만 보살도 해탈로 가는 과정에 있음을 확인했다. 이어서 불교 심리상담사의 역할을 ‘자리이타’의 현대적 모습으로 파악하고, 불교 심리상담사의 이타적인 마음이 내담자에 대한 존중, 내담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통찰력, 내담자에 대한 정확한 공감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특히 상담자는 교육분석을 통해 자신을 점검함으로써 내담자와 함께 상호성장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way ‘self-benefit with bringing benefit to others’ of Bodhisattva is formed in his mind and how it has been implemented in modern society with a focus on the mind of Buddhist counselor. Even if Buddhism has changed into various forms while spreading to East Asia, Bodhisattva has been still considered as an ideal model in Buddhism. First of all, I confirm that Bodhisattva comes to have an altruistic mind by the Hudeukji at Tongdalwi and that he is on the way to reach the state of liberation by analyzing the five stages of spiritual development. Next, I clarify as follows. Buddhist counselling to treat the psychological pain is another modern aspect of ‘self-benefit with bringing benefit to others.’ The counselor’s altruistic mind is expressed in the form of respect, insight, and right sympathy for the customer. Especially, the counselor grows with the customer by inspecting himself through educational analysis.

      • KCI등재

        ‘인식전환’의 심리치료적 의미: 유식학과 대상관계론을 중심으로

        안환기 ( Hwanki A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논문은 인간의 심리현상인 ‘인식전환’이 의미하는 바를 심리치료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이것은 마음의 병리 현상이 내적 ‘이미지’를 고착화하는 데 있다고 보고, 그 치료방법으로 ‘인식의 전환’에 주목한 유식학과 대상관계론의 해석을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식학에서 내적 ‘이미지’는 마음이 인식주관과 인식대상으로 나누어지면서 생겨난다. 인식주체가 ‘이미지’를 집착하면서 번뇌가 생겨난다는 입장이다. 그렇지만 ‘이미지’에 집착하는 인식의 작용은 수행을 통해 근본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본다. 둘째, 대상관계론은 유아기에 어머니와의 관계 속에서 불안했던 경험들이 굳어져서 생긴 내적 ‘이미지’가 어른이 되어도 반복적으로 재현되어 건강한 생활을 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고 본다. 하지만 상담치료를 통해 ‘이미지’에 대한 ‘인식전환’이 가능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두 이론은 기원이 다르고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지만, 모두 마음에 떠오른 ‘이미지’를 정확히 통찰하고 그것에 대해 집착하지 않는 것이 건강한 심리작용이며, 이러한 현상은 ‘인식의 전환’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새롭게 시도한 이 연구를 기반으로 더욱 확장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This paper discusses in terms of psychotherapy what ‘conversion of perception,’ a human psychological phenomenon, means. This is done in a way that compares and analyzes the interpretation of Yogācāra Buddhism and Object Relations Theory, which pay attention to the ‘conversion of perception’ as a treatment method because they regard that the pathological phenomenon of the mind comes from obsessing the inner ‘image.’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said that the inner ‘image’ arises when the mind is divided into the subject of perception and the object of that in Yogācāra Buddhism. Yogācāra Buddhists say that anguish arises when the subject of perception is obsessed with ‘image.’ But they argue that the action of perception that is obsessed with ‘image’ can be fundamentally transformed through practice. Second, in Object Relations Theory, it is said that the internal ‘image’ caused by the unstable relationship with mother in infancy is repeatedly reproduced even when it grows into an adult and results in a factor that prevents him from living a healthy life. However, the Object Relations Theory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erception of ‘image’ through counseling treatment. In conclusion, although the two theories have different origins and different languages, they all show that it is a healthy psychological action to accurately insight the ‘image’ in mind and not to obsess over it, and that this can be done by ‘conversion of perception.’ Based on this newly attempted study, I hope that further expanded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 KCI우수등재

        유식학의 진여(眞如)와 라캉의 실재(réel)에 관한 비교연구

        안환기(Ahn, Hwanki)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5 No.-

        본 논문은 유식학(唯識學)과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이 각각 제시하고 있는 ‘진여(眞如)’와 ‘실재(réel)’의 의미 및 그 상관관계를 밝힌 것이다. ‘진여’는 유식학에서 추구하는 궁극의 경지며 ‘실재’는 라캉에게 있어서 상상계 너머에 있는 곳이다. 지금까지 두 이론에 관한 비교연구는 ‘욕망’과 ‘언어’에 국한해서 진행되었을 뿐 ‘진여’와 ‘실재’에 대한 비교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우선라캉의 ‘무의식’과 유식학의 ‘알라야식’을 ‘언어’의 측면에서 상세히 분석하고 이어서 라캉의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를 인식의 구조라는 측면에서 유식학의 의타기성, 변계소집성, 원성실성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진여’와 ‘실재’에 대한 각 이론의 입장 및 실현 가능성 그리고 그 방법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라캉은 언어체계가 이미 경험하기 이전에 존재한다는 전제하에 주체의 형성과정을 설명하지만, 유식학에서 언어체계는 또한 ‘식(識)’의 분화(分化)에 의해 생성된 주체의 능동적인 작용에 의해 생겨난다고 해 석된다. 둘째, 라캉은 현생(現生)에서 인간이 자연스럽게 거쳐야 할 단계로서 상상계에서 상징계로의 진입을 설명한다. 반면 유식학에서는 3가지 인식구조를 제시하며 이것은 전생(前生), 현생(現生), 내생(來生)의 세계 속에서 수행에 의한 변화에 의해 생겨난다고 본다. 이러한 점에서 라캉과 유식은 차이를 보인다. 셋째, 라캉의 실재계는 상징계 너머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욕망이 최종적으로 목표로 하는 지점이지만 상징계 속에서는 절대로 도달할 수 없는 곳이다. 따라서 라캉은 실재계에 도달하는 방법으로 ‘승화’를 제안했다. ‘승화’는 잃어버린 대상이 주는 존재결여의 공허감을 환상적으로 충족시키려는 활동이다. 반면 유식학의 원성실성[진여(眞如)]은 집착이 사라진 상태로서 주관과 객관의 구분을 초월한 경지이다. 유식학에서는 수행을 통한 마음의 질적인 변화를 통해 궁극의 경지인 원성실성을 경험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라캉과 유식학은 모두 고통, 근심, 불안 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는 과정에서 인간의 마음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만들게 된다. 이이론들 덕분에 우리는 인간의 보편적 문제에 깊이 접근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In this research paper, I tri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athatā [眞如] in Yogācāra and that of Real [Réel] in the theory of Jacques Lacan. And I also clar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s. Though the Tathatā and Real are the destination to reach in each theory, a comparative study on the two concepts has not been carried out. Previous study has been confined to the concept of ‘desire’ and ‘language’. So I firstly examined ‘Unconsciousness’ in Lacan and ‘ālaya-vijñāna’ in Yogācāra in connection with the ‘language’. Subsequently I compared ‘Imaginary’, ‘Symbolic’, ‘Real’ with ‘Imagined or contrived points of view [遍計所執性]’, ‘Dependent origination [依他起性]’, ‘The complete and perfect real nature [圓成實性]’ in view of the cognition structure. Based on that study, I discussed each view of the destinations and the possibility to reach the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can explain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subject under the premise that the system of language existed before experiencing it. But in Yogācāra, it is formed by the active subject from the divided vijñāna. Second, Lacan elucidated that the approach from Imaginary to Symbolic was the stage man experienced naturally in this lifetime, whereas in Yogācāra, the three cognition structure is changed by the practice in the worlds like the previous life, this life time and the future rebirth. Third, the ‘Real’ existing beyond the ‘Symbolic’ is the final stage of the ‘Desire’ in Lacan. But it is the world where we can never arrive in the ‘Symbolic’. So Lacan suggested that ‘Sublimation’ is the way to reach there. According to Lacan, ‘Sublimation’ is the activity fantastically satisfying the sense of emptiness from the lack of being caused by the loss of the object. Meanwhile ‘The complete and perfect real nature’ is the phrase that there is no attachment to the object. It is the stage transcending the division of the subject and object. Yogācāra claimed that we can experience it through qualitative change of mind by practice. Yogācāra and Lacan both were eager to find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like pain, anxiety, uneasiness, etc. While they were at it, they established the systemic theory of human mind. Thanks to this theory, we are able to find the key to the common human problems in depth.

      • KCI등재

        ‘번뇌’의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 증상: ‘도거(掉擧)’와 ‘혼침(惛沈)’을 중심으로

        안환기 ( Hwanki A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불교의 ‘도거’와 ‘혼침’의 견지에서 ‘트라우마’ 증상인 ‘불안’과 ‘우울’의 의미와 그 정서적 특징을 살펴 불교적 치유의 토대가 되는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불교 문헌에 수록된 ‘도거’와 ‘혼침’의 의미를 분석하고 응용하여 이를 토대로 ‘트라우마’의 증상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트라우마’는 심신을 괴롭히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그 증상을 불교의 ‘번뇌’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마음이 안정되지 않은 현상’을 의미하는 ‘도거’는 ‘트라우마’ 증상인 ‘불안’을 나타내며, ‘마음이 혼미하거나 침울한 현상’을 의미하는 ‘혼침’은 ‘우울’을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트라우마’ 증상을 의미하는 ‘도거’와 ‘혼침’은 ‘부정적 정서’이며, 그 정서작용은 몸과 마음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생겨난다. 이 연구는 ‘트라우마’ 치유를 불교적으로 모색하는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불교의 ‘도거’와 ‘혼침’의 국한된 관점에서 ‘불안’과 ‘우울’만을 다루었다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추후 ‘분노’와 ‘해리’ 등 ‘트라우마’의 내용과 치유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is the foundation of Buddhist healing, by examining the meaning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nxiety’ and ‘depression’, which are the symptoms of ‘trauma’, from the perspective of ‘auddhatya’ and ‘styāna’ of Buddhism. To this end, I examined them based on the analysis of ‘auddhatya’ and ‘styāna’ in Buddhist literature.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y can be considered as ‘kleśa’ because ‘trauma’ causes mental and physical distress. Second, it is confirmed that ‘auddhatya’, which means ‘unstable nature of mind’, and ‘styāna’, which means ‘gloomy nature’, express the ‘anxiety’ and ‘depression’ in turn. Third, it is concluded that ‘auddhatya’ and ‘styāna’, which mean the symptoms of ‘trauma’, are ‘negative emotions’, and the emotional actions arise from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bod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 foundation for Buddhist search for the healing of ‘trauma.’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only dealt with ‘anxiety’ and ‘depression’ in terms of ‘auddhatya’ and ‘styāna’ of Buddhism, so further research on the healing of ‘trauma’ such as ‘anger’ and ‘dissociation’ is needed.

      • KCI등재후보

        유식사상과 대행선 -'자성신'과 '한마음'을 중심으로

        안환기(Ahn, Hwanki) 대행선연구원 2020 한마음연구 Vol.5 No.-

        본 논문은 유식학의 ‘자성신’과 대행선사상의 ‘한마음’을 붓다의 본지인 공관空觀과 수행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한 것이다. 두 사상에서 ‘자성신’과 ‘한마음’은 수행을 통해 증득하는 궁극의 경지이며 존재의 기반이다. 불교에서 불신론에 대한 논의는 2신설二身說을 거쳐 3신설三身說에 이른다. 유식학 문헌인 󰡔대승장엄경론󰡕, 󰡔섭대승론󰡕에서는 3신설을 자성신∙수용신∙변화신으로 표현하고 있다. 󰡔성유식론󰡕은 더 나아가 ‘수용신’을 ‘자수용신’과 ‘타수용신’으로 세분화하여 ‘4신설四身說’을 보여준다. 그리고 ‘4신설’을 구경위에서 증득하는 ‘전식득지轉識得智’와 관련해서 설명하고 있다. 본 논문은 󰡔유식30론송󰡕과 󰡔성유식론󰡕에 나타난 해석을 중심으로 ‘자성신’을 살펴보았다. 한편, 대행선사상은 마음의 본바탕인 ‘불성’을 ‘한마음’, ‘주인공’, ‘자성불’ 등과 같이 다양하게 표현한다. 대행은 이들이 ‘법신’의 의미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수용신’, ‘변화신’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 공관에 입각해서 볼 때, 유식학의 ‘자성신’은 수행을 통해 도달하는 경험의 영역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대행선사상은 ‘한마음’을 ‘자성불’, ‘주인공’과 같이 다양하게 명칭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궁극의 경지가 고정된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님을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수행의 측면에서 비교해 볼 때, 대행은 확고한 믿음, 발심 그리고 정진을 강조하고 있는데, 큰 틀에서 보면, 이것은 유식학의 ‘자량위’에 대한 정의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나아가 유식학의 ‘통달위’ 견도에서 성취하는 ‘아공’은 대행의 ‘아공’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며, ‘수습위’를 거치는 과정은 대행의 ‘법공’, 그리고 유식학의 ‘구경위’는 대행의 ‘구공’에 대한 설명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Svābhāvikakāya’ of Yogācāra thought with the ‘Hanmaum’ of Daehaeng-seon (大行禪). Within both traditions, ‘Svābhāvikakāya’ and ‘Hanmaum’ are the ultimate and basis of existence that one can achieve through practice. In Buddhism, the discussion of the Buddha-body includes ‘the three bodies’ of the Buddha, which follows the concept of the ‘the two bodies.’ The teachings of Yogācāra, Mahāyānasūtrālaṃāra (大乘莊嚴經論) and Mahāyānasaṃraha (攝大乘論) describe ‘the three bodies’ as Svābhāvikakāya, Sāṃhogikakāya (受用身) and Nairmāṇkakāya (變化身). Vijnaptimatratasiddhisastra (成唯識論) introduces ‘the four bodies’ by subdividing Sāṃhogikakāya into ‘for his own bliss (自受用)’ and ‘for the sake of others (他受用).’ This is also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turning the deluded mind into wisdom and enlightenment (轉識得智)’ obtained at ‘the last of the five stages of complete spiritual development to the Buddha-hood.’ This paper examines the ‘Svābhāvikakāya’ based on the interpretation shown in the Triṃikā-vijñaptimātratā (唯識三十頌), and Vijnaptimatratasiddhisastra (成唯識論). Meanwhile, Ven. Daehaeng described ‘Buddhahood’ as ‘Hanmaum,’ ‘protagonist’ and ‘the Buddha of our self-nature.’ Daehaeng believed that these concepts contained the essence of ‘Dharmakāya’ and that based on this, the aspects of Sāṃhogikakāya and Nairmāṇkakāya emerged. Unlike Yogācāra thought, however, Daehaeng didn’t express this in detail. On the other hand, Daehaeng emphasized ‘the firm belief,’ ‘the great resolve to attain supreme enlightenment,’ ‘the great effort,’ which is confirmed to be similar in definition to the ‘the stage of accumulating the supply or virtue (資糧位)’ in Yogācāra thought. Furthermore, the ‘Emptiness of Self (我空),’ which is achieved at the ‘geondo (見道, the stage of beholding the truth of complete enlightenment),’ the third of the five stages, corresponds to the ‘Emptiness of Self’ of Daehaeng-seon. The process of going through ‘the fourth stage of steady meditation to cleanse habitual defilement’ is similar to the explanation of ‘Emptiness of Dharma (法空)’ of Daehaeng-seon. In addition, ‘the final stage of complete enlightenment (究竟位)’ of Yogācāra thought is comparable to that of ‘Emptiness of Everything (俱空)’ found in Daehaeng-seon.

      • KCI등재

        사회심리적 관점에서 보살(菩薩)의 회심

        안환기(Hwanki Ahn) 한국종교학회 2010 宗敎硏究 Vol.58 No.-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Bodhisattva based on Richardson’s Conversion theories, especially in terms of intra and interindividual conversion. It is known that the concept of Conversion comes from Christianity. And there is a good example that St. Paul who had undergone the conversion experience changed his attitude toward Christianity from as a persecutor to as a major proponent. Noticing that the aspects of Conversion appear in Christianity as well as in Buddhism, I tried to explain Yog?c?ra Buddhist Bodhisattva in the view of Conversion.<br/> According to Mah?y?nasairigraha (攝大乘論),the most theoretically systematized text in Yog?c?ra Buddhism, the Bodhisattva who has changed his mind radically by acquiring “the consequential wisdom”(後得智) through experiencing “the extensive and fundamental conversion”(廣大傳) makes up his mind to return to samsaric realm for the benefit of sentient beings, while Arhat remains in Nirvana.<br/> So it is clarified in this article that Bodhisattva who has attained intraindividual conversion by active choice realizes his identity in society actively. By arguing Bodhisattva based on the frame of Richardson’s theory that the process of Conversion is classified into active/passive pattern and intra/ interindividual conversion, I attempt to show that the aspect of Bodhisattva’ conversion is changed from the model of ‘the active-intraindividual conversion’ to that of ‘the active-interindividual conversion’ which means that Bodhisattva realizes his identity with a good soci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