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임교원의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변화 경험 연구

        안현선(Ahn, Hyun 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I대학교의 신임교수 대상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여 멘토링이 신임교수의 교수효능감 수준변화와 교수역량 고취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프로그램 운영 성과 분석과 고도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가한 20명의 신임교원은 본인과 유사한 전공 또는 동일학과에 재직 중인 전임교원과 짝을 이루어 1:1 멘토링을 진행하였다. 멘토링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양적·질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모든 양적자료는 프로그램 시행 전후로 실시한 교수효능감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질적자료는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 신임교수가 작성한 프로그램 자체평가관련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프로그램 전후의 신임교수가 지각하는 교수효능감 수준의 변화를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교수효능감은 프로그램 참여 전후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와 함께 프로그램 자체평가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멘토링 프로그램은 교수역량 강화뿐만 아니라 자신감 향상, 두려움 극복, 인적네트워크 확장 등과 같은 사회심리적인 요인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탐색하고, 도출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운영을 고도화 하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erceived teaching competency of new faculty members after attending a mentoring program. Twenty(20) new faculty members were participated and responded to teaching efficacy item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and paired t-test revealed that teaching efficacy score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the program. Results from qualitative data also revealed that new faculty members found the program helpful in improving teaching competency, increasing confidence and building better social networks. The study has implications of identifying factors that ma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mentoring program for new faculty members.

      • KCI등재

        전공만족도 수준에 따른 학습참여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안현선(Ahn, Hyun Seon),김원식(Kim, Wonsik),이지수(Lee, Jee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많은 대학이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의 구성요소 및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 등에 관심을 기울이며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한 의견 수렴과 교육제도개편에 힘써 왔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대학의 재학생 596명을 대상으로 학습참여와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러한 관계가 학생이 지각하는 전공만족도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학습참여와 학업성취도, 그리고 전공만족도 간에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는 학습참여의 하위측면에 따라 상이하였고, 특히 학습전략과 능동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상대적으로 강한 상관을 보였다. 이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전공만족도 상·하 집단별로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참여의 하위측면의 상대적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이 지각하는 전공만족도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참여의 각 하위측면은 서로 다른 예측력을 나타냈다. 학습전략은 전공만족도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학생에게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주요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지원적 환경은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수준에 따라 그 예측력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법과 학생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수업, 그리고 조직화된 수업활동 제시 등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학습참여 증진을 위한 방법 재고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 engage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major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s. Based on the database collected from 596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urban areas, the present study examined a) the relations between specific aspects of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b) whether these relations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degree of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satisfaction with college majors.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student engage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major satisfaction. Among the specific aspects of student engagement, learning strategies and active-collaborative learning showed relatively strong relations to academic achieve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specific aspects of student engagement showed different utility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levels (i.e., high vs. low) of college satisfaction major perceived by students. While learning strategies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whole student sample,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supportive environment showed different predictive powers depending on the levels of college major satisfaction. The need for considering various student factors to improve teaching effectiveness and student engagement was discussed.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평가를 위한 핵심역량 평가모델 개발 및 타당화 검증

        안현선 ( Ahn Hyun Seon ),신동주 ( Sinn Dong Jo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평가요소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의 잠재력을 평가하고 대학의 인재상에 부응하는 지원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핵심역량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첫째, 학생부종합전형 평가를 위한 핵심역량 평가모델 구성은 어떠해야 하는가? 둘째, 개발한 핵심역량 평가모델의 내적타당도는 어떠한가?의 연구문제로 출발하였다. 연구는 Lucia와 Lepsinger(1999)가 제시한 새로운 역량모델개발 방법론을 참고하여 4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첫 번째 단계에서는 선행연구조사 및 핵심역량항목을 설정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역량모델과 핵심역량 평가지표 문항 내용을 구안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핵심역량 평가모델의 타당화 검증을 위해 전문가 패널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였으며, 네 번째 단계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의 핵심역량 평가모델을 확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체 평가지표 문항에 대한 평균과 CVR은 4.11과 0.77이었으며, 문항별 CVR값은 최소값 0.42보다 높아 모든 문항이 내적타당도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최종 핵심역량 평가모델은 3개 역량군, 6개 역량요소, 23개 평가지표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 및 면접평가를 담당하는 입학사정관들의 전문성을 높이고 입학사정관들 간의 평가 일치도를 확보하여 학생부종합전형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요소의 내용은 대학 입학지원자에게 대입을 준비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ey competency assessment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applicants in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We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 consulted with expert councils, and conducted the Delphi survey to elicit the competency assessment criteria for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 panelists reached at least a majority consensus agreement for the items in the survey. Second, the key competency assessment criteria for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was composed of academic competency, social competency, and potential competency with 6 factors and 23 competency indicators. The mean of content validity ratio (CVR) was 0.77 which indicated the final set of items demonstrated good validity. This study helps applicants and admission officer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student selection evaluation at the university, presents a new validated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applicants in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needed to examine inter-rater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of admission officer.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

        정윤경(Yoonkyung Chung),이지수(Jeesoo Lee),안현선(Hyun Seon Ah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의 초등학교 패널 1차년도에서 6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5차년에 이르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의 종단적 변화를 추정하고 이러한 변화가 6차년도에 측정된 학업참여와 학업성취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4학년 때 높은 수준의 부모지지, 진로성숙도를 지각할수록 중학교 3학년 때 학업참여를 잘하며 진로성숙도의 경우 높은 학업성취도 예측하였다. 또한 부모지지, 교사지지, 그리고 진로성숙도 모두 학년 증가에 따라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지만, 부모지지와 진로성숙의 경우 천천히 감소하는 것이 차후 학업참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성숙도는 부모 및 교사지지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 간에 매개효과를 보였다. 특히, 교사지지의 경우 학생들의 진로성숙을 통해서만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진로발달의 전초단계에 있는 아동기부터 성장시기의 청소년기 진로관련 인식과 태도 및 가치관 형성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개인 및 환경 요인들을 규명하여 성장 시기별 적절한 진로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longitudinal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and their roles in predicting subsequ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Six waves(Grade 4 ~ 9; N = 5297) of data from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were analyzed vi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LGM). Results revealed, first, that students’ initial levels of their perceptions on parent support and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ed their academic engagement in Grade 9. Particularly, students’ initial levels of career maturity turned out to be a positive predictor of their subsequent academic achievement, supporting our hypothesis that career maturity would have positive long-term influences on academic-related outcomes. Second, students’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However, the more slowly students’ perceptions of parent support and career maturity decreased, the better academic engagement did they show in Grade 9. Finally,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mediated the predictive relations from social support to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Importantly, changes in teacher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d subsequ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only through career maturity. The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better understanding individu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strongly affect adolescents’ career maturit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