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쌍태임신시 태반유형 및 제대부착형태가 성장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현경(H . K . Ahn),양광문(K . M . Yang),홍성란(S . R . Hong),류현미(H . M . Rheu),김문영(M . Y . Kim),한정열(J . R . Han),최규홍(K . H . Choi),양재혁(J . H . Yang),김은성(E . S .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1

        N/A Object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type of placentation and abnormal cord insertion can affect discordant growth in twin gestat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investigated 422 sets of structually normal twin delivered at our twin clinic after 26 weeks of gestation from 1995-1997. All cases of placenta were examined for pathologic evaluation during the study periods. The type of placentation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monochorionic monoamniotic placenta (n=4); monochorionic diamniotic placenta (n=62); dichorionic diamniotic fused placenta (n=163); dichorionic diamniotic separate placenta(n=193). Cord insertion was also divided into three groups: both side abnormal insertion (n=17); either side abnormal insertion (n=101); both side normal insertion (n=304). Intertwin weight discordancy was classified as mild form (15-25%) and severe form (>25%) by the degree of the discrepancy.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these 422 twin sets, 132 (31%) consisted of twin discordancy in weight by 15% or greater (mild form 19%, severe form 12%). 2.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ies of discordancy between MC twins and DC twins (31.8% vs 31.2%, p=0.97). 3. The prevalence of abnormal cord insertion was 16% and much more frequent in MC placenta than DC placenta (26.5% vs 14%, p=0.001). 4. Although mean gestational age at delivery and mean birth weigh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ither side abnormal cord insertion group than both side normal cord insertion group (35.7 vs 36.7weeks, p=0.004 : 2317 vs 2475gm, p=0.01), no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discordancy was observed in these two groups (37.6% vs 29%, p=0.1). Conclusion : The type of placentation and/or abnormal cord insertion were not revealed to affect discordant growth in twin gestation.

      • KCI등재후보

        전해질 성분 및 농도, 이온교환 수지 비율에 따른 이온교환 특성 연구

        안현경(Ahn Hyun-Kyoung),이인형(Rhee In-Hyoung),윤형준(Yoon Hyoung-Jun),정현준(Jeong Hyun-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에서는 전해질 성분 및 농도, 이온교환 수지 조성비율을 통해 이온교환 수지탑의 성능을 평가하고, 이온교환 수지에 의한 입자성 물질 제거의 능력과 입자성 물질이 이온교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온교환 수지탑 배열 순서에 따라 파괴(돌파)시점이 연장되며, 파괴(돌파)순서는 음이온의 경우 Cr< NO₃- < F, 양이온의 경우 Na+<K+<Ca2+순 이였으며, 전해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파과시간이 단축되었다. 이용교환 수지의 조성비 변화에서는 양음이온교환 수지 조성비가 1:2의 경우 1:1 및 1:3의 경우보다 파과{돌파)시간이 연장되었으며 동일한 전해질 농도에서 입자 농도가 증가하면 20% 미만으로 파과(돌파)시간이 단축되었다. 양이온 교환수지 비율이 높으면 양이온의 파괴{돌파)시점이 늦어져 이온교환 수지탑의 수명이 연장되고, 입자성 물질은 전해질 농도와 무관하게 이온교환 수지의 세공을 막아 이온교환 용량을 감소시켜 파과{돌파)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electrolyte, ratio of cation to anion exchange resin of mixed ion exchange column in the performance of ion exchange. Also this work examined the removal capability of suspended solids by ion exchange resin and the effect of particule on the characteristics of ion exchange. Breakthrough time was extended as the amount of ions and particles present in liquid was decreased. The case of anion, the breakthrough sequence is CI<NO₃-<F, but the case of cation, the breakthrough sequence is Na+<K+< Ca2+. As for the ratio of cation to anion exchange resin of 1:2, the breakthrough time was prolonged compared with that of 1: 1 and 1 :3. For the electrolyte of equal concentration containing suspended solid, breakthrough time was contracted less than 20%. It results in the increase in the removal capacity of cation exchange resin. For the higher ratio of cation exchange resin, suspended solids are shorten the cation’s breakthrough time so that the runtime of ion exchange resin tower is increased.

      • KCI등재

        제왕절개분만의 기왕력과 완전 전치태반과의 연관성

        안현경(HK Ahn),김은성(ES Kim),한정열(JY Han),김문영(MY Kim),류현미(HM Ryu),최규홍(KH Choi),양재혁(JH Ya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5

        N/A Objective :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ious cesarean section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placenta previa totalis and placenta previa totalis with accreta.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case records of all women delivered with the diagnosis of placenta previa totalis during the 5-year period from August 1, 1994, to July 31, 1999, at the Samsung Cheil Hospital. Results : There were 38,215 deliveries in the study period. 237(0.62%) had placenta previa totalis and 56(23.6%) of whom had a history of previous cesarean section. The incidence of placenta previa total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ose with a previous cesarean section(1.19%) compared with those with an unscarred uterus(0.54%). In the group without antecedent of cesarean section, accretism risk was 11.6%, with one section or more 32.1%. The need for cesarean hysterectomy occurred more commonly in patients who had a prior cesarean delivery, 14 of 56(25%), as compared with patients with no prior cesarean delivery, 6 of 181(3.3%). Conclusion : There i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previous cesarean section and risk of subsequent development of placenta previa totalis. Patients with an antepartum diagnosis of placenta previa who have had a previous cesarean section should be considered at high risk of developing placenta accreta. Patients with previous cesarean section have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postpartum hemorrhage and are more likely to undergo emergency hysterectomy.

      • 금속산화물의 흡착 특성 연구

        안현경(Ahn Hyun Kyoung),정현준(Jung Hyun-Jun),이인형(Rhee In H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불순물 잠복현상 규명에 필요한 금속산화물 용해 현상과 이온성 불순물의 금속산화물 흡착 현상 조사를 위해 산소 농도 변화 시 금속 산화물 형성 속도 및 구조/입자 크기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금속산화물 형성 속도 조사 결과 철산화물의 경우 산소농도가 높으면 산화물 생성속도가 30% 감소하였다. 금속산화물 구조/입자 크기 변화 조사 결과 철산화물의 경우 산소 농도가 2 L/min일 때 입자는 약간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입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간 뭉침현상이 나타나므로 불순물의 침입이 가능하여 공침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산소의 농도에 따라 불순물이 침전물 속으로 숨어들 수도 있고 다시 빠져나올 수 있는 잠복현상의 가능성이 예측된다.

      • KCI등재

        온도의 영향에 따른 니켈페라이트의 입자 크기 분포 연구

        안현경(Ahn Hyun-Kyoung),이인형(Rhee In-Hyoung),정현준(Jeong Hyun-Jun),박병기(Park, Byung-Gi)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6

        PWR 정지화학 조건에서 모사실험하여 니켈페라이트 입자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농도가 Li 0.1 ppm, B 2000 ppm인 모사실험 용액의 온도는 300 ℃에서 0.625 ℃/min의 비율로 150 ℃까지 감소시킨 후 일정 시간 동안 150 ℃를 유지하였고 이때의 압력은 2500psi 이하로 유지하였다. 수소 농도 5, 15, 25 cc/㎏ H₂O 일 때 온라인으로 입자 분포를 측정하였고 용해된 니켈 농도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온도 감소 시 세 가지 수소 농도일 때 모두 총 입자 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온도가 감소하고 일정하게 유지될 때 입자는 작아졌다. 입자 크기 분포 변화의 정도는 H₂ 15cc/㎏ H₂O 일 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니켈 이온의 농도는 온도가 감소하고 수소 15 cc/㎏ H₂O 일 때 증가하였다. 이 결과 니켈 페라이트는 온도 변화 시, 수소 15 cc㎏ H₂O 일 때 불안정 한 것으로 보여 진다. The particulate behaviors of nickel ferrite were investigated under the simulated PWR shutdown chemistry conditions. Temperature of the simulated water with concentration of 0.1 ppm Li and 2,000 ppm B was dropped from 300℃ to 150℃ with a rate of 0.625 ℃/min and then constantly maintained at 150℃ under the pressure of 2,500 psi. The on-line particle counting and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of nickel dissolved were performed under 5, 15 and 25 cc/㎏ H₂O dissolved hydrogen.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otal particle count in the simulated water was not greatly changed for three hydrogen concentrations as temperature was decreased. However, particles were smaller as temperature was decreased and then maintained constantly. The degree of variation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greater at 15 cc/㎏ H₂O dissolved hydrogen than any other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s. Concentration of nickel ion was increased as temperature was decreased and was higher at 15 cc/kg H₂O dissolved hydrogen than any other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s. Theses results show that nickel ferrite is unstable with temperature variation and at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 of 15 cc/㎏ H₂O.

      • KCI등재

        평형 및 칼럼 이온교환에서 ETAH<SUP>+</SUP>에 대한 NH₄<SUP>+</SUP>선택도 특성 연구

        안현경(Hyun Kyoung Ahn),이인형(In Hyoung R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3

        이온 교환은 화학, 전자 및 전력 산업에서 수질 및 부식 제어에 사용되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ETAH 형 수지를 사용하는 이온교환수지탑의 아민 포화 운전은 H형 수지 사용에 비해 에탄올아민(ETA) 및 암모니아(NH₃) 와 같은 부식 억제제가 불필요하게 제거되지 않아 운전 및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불순물 제거능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수지에 대한 이온 선택도의 특성 파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형 및 칼럼 이온교환에서 두 종류의 이온교환 수지에 대하여 ETAH형 이온교환 수지일 때 NH₄<SUP>+</SUP>의 선택도를 조사하였고 선택도는 평형이온교환의 Vaselow 식과 칼럼 이온교환의 파과곡선의 기울기로 결정하였다. 조사 결과 NH₄<SUP>+</SUP> 및 ETAH<SUP>+</SUP>의 경우, 두 종류의 이온교환 수지에 대한 NH₄<SUP>+</SUP>의 선택도는 낮은 수화 반경으로 인해 더 높게 나타났고, 평형 이온교환에서 용액상의 몰 분율이 증가하고 칼럼으로 유입되는 Na<SUP>+</SUP>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리고 NH₄<SUP>+</SUP>의 선택도는 평형 및 칼럼 이온교환, 그리고 두 수지 종류에 대해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형 이온교환에서의 선택도는 이온의 질량전달을 고려하지 않고 평형을 전제로 질량작용식을 이용해 결정된 값이므로 칼럼 이온교환에서의 선택도와 동일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온교환 수지탑 설계시 평형 이온교환에서 조사한 선택도를 이용하는 것보다 모사 조건에서 실시한 칼럼 수지탑 출구 농도로부터 얻어진 선택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Ion exchange (IX) is used for water quality and corrosion control in chemical, electronics, and electric power industries. Amine-saturated operation of an IX bed with ETAH-form resin in a nuclear power plant is beneficial in operational and economic aspects. This benefit is due to the absence of unnecessary removal of corrosion inhibitors such as ethanolamine (ETA) and ammonia (NH₃) added, compared with an IX bed with H-form res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lectivity of NH₄<SUP>+</SUP> to two kinds of ETAH-form IX resins by batch and column IXs. Ion selectivity was determined with the Vaselow IX equation in batch IX and the slope of the breakthrough curve in column IX. Among NH₄<SUP>+</SUP> and ETAH<SUP>+</SUP>, the selectivity of NH₄<SUP>+</SUP> to both IX resins was higher due to its lower hydrated radius. The selectivity of NH₄<SUP>+</SUP> to both IX resin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mole fraction in the solution phase in batch IX and with increasing incoming Na<SUP>+</SUP> concentration to the column inlet. The selectivity of NH₄<SUP>+</SUP> was not identical for batch and column IXs and the two resins. Thus, ion selectivity needs to be determined to design an IX bed in the simulated water quality and with the same resin.

      • KCI등재

        전자간증과 선천성 면역

        안현경 ( Hyun Kyong Ahn )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2

        Preeclampsia(PE) remains a leading cause of maternal and fetal morbidity and mortality. Despite decades of intense research on the problem, there is no early pregnancy screening test to recognize those at risk. Recently, altered immune responses have been suspected to be involved in preeclampsia pathogenesis, which may concern the inflammatory context in which an immune response is mounted. In this review, the innate immunologic pathogenesis of the preeclampsia is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