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정축력하의 탄소섬유쉬트 보강기둥의 횡가력시 거동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천성철,박형철,안재현,박칠림,Chun, Sung-Chul,Park, Hyung-Chul,Ahn, Jae-Hyen,Park, Chil-Lim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 콘크리트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탄소섬유쉬트를 보강하고 일정축력(0.35$P_o$)을 가한 상태에서 정, 부반복 횡가력을 실시하여 탄소섬유쉬트의 보강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탄소섬유쉬트의 보강배수에 따른 보강효과의 차이, 손상을 받은 시둥을 보수후 탄소섬유쉬트를 보강한 경우와 손상을 받지 않은 기둥에 탄소섬유쉬트를 보강한 경우의 거동의 차이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탄소섬유쉬트의 보강매수는 2매와 3매 2종류에 관해 검토하였으며 보강매수에 따른 차이는 에너지 흡수능력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일뿐 최대내력, 강성저하율 등에 있어서는 비슷한 거동을 나타내었다. 최대내력의 80% 수준까지 내력저하가 발생하도록 사전가력하여 탄소섬유쉬트를 보강한 기둥과 전혀 손상을 주지 않은 기둥에 탄소섬유쉬트를 보강한 기둥의 거동은, 손상을 준 기둥의 초기강성만이 탄소섬유 쉬트를 보강하지 않은 기둥에 비해 저하하나, 최대내격, 에너지 흡수능력, 연성등에 있어서는 무보강실험체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지진등으로 상당한 손상을 입은 기둥이라도 손상부 보수 후 탄소섬유쉬트로 보강하면 상당한 성능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강매수에 따라 내력증진효과는 2매보강(${\rho}_{cf}$=0.44%)과 3매 보강(${\rho}_{cf}$=0.66%)의 경우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to the flexural behavior of earthquake damaged reinforced concrete columns repaired with carbon fiber sheets. Six column specimens were tested to failure under reversed cyclic loading. Two columns were specimens for control with no sheets and tested. These columns were repaired with carbon fiber sheets and retes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confinement of the carbon fiber on the damaged column. Another two columns were repaired and tested with no pre-cyclic loading. The test specimens were designed to model single bent under a constant axial force with reversed cyclic lateral loading. Carbon fiber sheets were used to repair damaged concrete columns in the critically stressed areas near the column footing joint and the physical,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 sheets are described. The performance of repaired columns in terms of their hysteretic response is evaluated and compared to those of the original colum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paire technique with carbon fiber sheets is highly effective. Both flexural strength and displacement ductility of repaired colum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riginal columns.

      • 고칼슘 플라이애쉬의 특성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원철,이상수,권영호,안재현,박칠림,Won, Cheol,Lee, Sang-Soo,Kwon, Yeong-Ho,Ahn, Jae-Hyen,Park, Chil-Lim 한국콘크리트학회 1995 콘크리트학회지 Vol.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고칼슘 플라이애쉬를 건설산업에 재활용하는 방안을 확보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자원 재활용은 물론 환경보존, 경제성, 신재료 등의 개발측면에 보다 많은 자료를 실험을 통해 정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고칼슘 플라이애쉬의 화학적.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콘크리트에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배합조건별 치환율을 선정하여 각각의 변수에 대한 유동성 및 강도발현 성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및 탄성계수와 같은 역학적 특성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 (1) 화학적 분석결과, 유리석회(CaO)의 함량이 높다. (2) 모르타르의 단위수량비는 증가, 압축강도비는 규준을 만족하였다. (3) FA 30%, W/B 40%범위에서 $400kg/cm^2$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 $300kg/cm^2$이하의 보통강도 콘크리트 생산은 W/B 45%, FA50%에서 가능하였다. (4) 내구성 실험 결과, 플라이애쉬의 치환율이 50%인 경우에 내구성 지수가 증가하였다. (5) 운반시간에 따른 경시변화는 플라이애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슬럼프 손실율이 감소하였다. (6) 탄성계수는 대한건축학회의 규준식과 일치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vestigate reusal techniques of high calclun-i fly ash in the construct.ion field, which may contribute to the savings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consenratlng environment. Furt.hcrrnore, it can setup materi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requiremi for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Firstly, chemical and physical cahraci.eristics of liigh~calciurn fly ash is arialyseti. And then, the usability of the concrete is tcsted by investigating the flowablility and strength development through parameters of various replace ment r,itios with respect to different nuxing conditions. Finally, the dur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e1astic nlodulus of the concrete is test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erived : (1) the quaritii y of the CaO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vestigate reusal techniques of high calclun-i fly ash in the co:lstruct.ion field, which may contribute to the savings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consenratlng environment. Furt.hcrrnore, it can setup materi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requiremi for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Firstly, chemical and physical cahraci.eristics of liigh~calciurn fly ash is arialyseti. And then, the usability of the concrete is tcsted by investigating the flowablility and strength development through parameters of various replace ment r,itios with respect to different nuxing conditions. Finally, the dur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e1astic nlodulus of the concrete is test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erived : (1) the quaritii y of the CaO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단위하중법을 이용한 철골구조물의 변위 제한

        박효선(Hyo Seon Park),유은종(Eun Jong Yu),주영규(Young Kyu Ju),송화철(Hwa Cheol Song),안재현(Jae Hyen Ahn),박칠림(Chil Lim Park) 한국강구조학회 1996 韓國鋼構造學會誌 Vol.8 No.2

        As the building increases in height, the lateral deformation of the building due to wind or seismic loads becomes of primary concern. The excessive lateral deformation or story drift causes failure of both structural elements and nonstructural elements. The calculated deformation and drifts at the final design stage must be check not to exceed the specified limits proportional to the building height. Thus, the amount of material required for a tall building is determined by the structural stiffness criteria rather than member strength criteria. While research activity has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on development of structural optimization algorithms based on sensitivity analysis, no practical algorithm has been reported on their application to structural design of tall buildings. Therefore, the selection of determining elements for the drift control of a tall building at the final design stage heavily depends on structural designer`s heuristics based on his design experience. In this paper, the unit load method for calculating displacement of structures are explored to identify the controling elements for lateral deformation and drift in a tall building. Based on the unit load method, the lateral displacements of the models are reduced by 49.1% and 39.4% without changing the total weights of the stru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