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토르체타가 《중용》을 라틴어로 번역한 이유는 무엇인가?

        안재원 수원교회사연구소 2015 교회사학 Vol.0 No.12

        인토르체타가 라틴어 《중용》을 번역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라틴어 《중용》은 기본적으로 리치의 보유론과 적응주의 선교 사업의 방법론적인 토대 작업의 일환으로 탄생하였다. 물론 《중용》의 라틴어 번역을 통해서 동양 사상 세계를 서양의 지성 세계에 소개하려는 이유도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인토르체타가 라틴어 《중용》을 번역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전례 논쟁 때문이었다. 전거는 인토르체타의 <헌정사>와 라틴어 《중용》에 포함된 8편이다. 이글들은 쿠플레가 1687년에 파리에서 《중국인 철학자 공자》를 출판하면서 지워버린 것들이다. 이것들을 전하는 문헌은 Cod. Lat. 6277이다. Concerning this, I propose three reasons. First, Zhōng yōng was translated into Latin to support China-mission in motto of “Accomation Policy”. Second, Intorcetta tried to introduce Chinese ideas of God and religion to European audience by way of translating Zhōng yōng. Finally, the Latin translation of Zhōng yōng was primarily for defending Ricci’s Accomation Policy that was strongly criticized by Longbardi and Naverette. As for textual evidences for this argument, I provided newly found Intorcetta’s Dedicatio-letter and 8 commentaries that were totally deleted by Couplet in the publication of Confucius Sinarum philosophus in 1687 at Paris. They are preserved in Cod. Lat. 6277.

      • KCI등재

        로마의 “역사(historia)” 활용 방식에 대하여

        안재원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49 No.-

        This paper tried to demonstrate why and how Cicero reformed historiography. The paper argued that historiography was required to be reformed for three reasons. Firstly, as is well known, the annalistic style of Annals of Pontifex Maximus was too old and thus not suitable to use for education. Secondly, the reforming of historiography was directly related to the debates on how to see ancient history of Rome. For this, the paper observed that history was used or rather abused for justifying Roman empire by poets like Vergil. The paper reported different views of Roman writers on history and historiography. Regarding this, the paper concentrated on showing that four laws of historiography (leges historiae) mentioned by Cicero might have been very strongly from the status theory and the way of “in utramque partem dicere” of rhetoric. Thirdly, history had to be reformed from the requirement of education ‘market’, because history indeed provides a lot of examples for persuasions. Based on this, the paper suggested that Roman preferred history to philosophy at early Roman empire time. It was Quintilian who listed history into reading catalogue for young students. 이 논문은 historia, res gesta, exemplum이라는 색인어를 중심으로 로마가 역사를 어떤 시선으로 보았고, 역사를 어떤 식으로 활용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역사를 바라보는 시선은 키케로를 기점으로 해서 급변했고, 역사를 활용하는 방식도 정치 엘리트의 교육에서 국가의 정체성 확립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런 과정에서 역사를 서술하는 법칙도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로마에서 역사가 그리스의 철학에 준하는 반열에 자리매김된 것도 실은 역사 논쟁과 살루스티우스, 리비우스, 아티쿠스, 키케로와 같은 인문학자들의 노력 덕분이었다. 결론적으로 역사책들이 로마에서 역사 텍스트들이 철학과 문학의 반열에 올라 나란히 고전의 대접을 받을 수 있는 데에는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와 같은 수사학자들의 노력 덕분이었다.

      • KCI등재

        부베의 『역경』 이해 : 파리본(Bn. Ms. Fr. 17239)을 중심으로

        안재원 수원교회사연구소 2021 교회사학 Vol.- No.18

        이 논문은 18세기 초엽에 중국의 시찰관(Visitator)이었던 장 폴 고장 (Jean Paul Gozan, 1659-1732) 신부가 던진 여섯 물음에 대해서 부베 가 1712년 11월 2일에 제출한 답변을 담고 있는 파리필사본(Bn. Ms. Fr. 17239. 34r-38r)의 비판 정본(crtical edition)과 학술 주석을 겸비한 한 국어 번역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문헌은 특히 색은주의(索隱主義)에 대한 부베의 생각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것이다. 그리스도교의 거룩한 신비(sacra mysteria)가 중국의 고대 문헌에서 발견된다는 점이 바로 그것 이다. 라틴어 비판정본과 이해에 도움이 되는 학술 주석을 보충한 한국어 번역은 이에 대한 증거들이다. This paper aims at making a critical edition of Joachim Bouvet's letter (Bn. Ms. Fr. 17239 35r-38r) to Visitator Jean Paul Gozan. For better understanding, I add a Korean translation with scholarly commentaries. This letter shows explicitly Bouvet's original idea on figurism. He contended that the law and the sacred mystery of Christianity are to be discovered in Chinese ancient texts, especially in Yijing (『易經』). Evidences for this are demonstrated in the critical edition and Korean translation with commentaries.

      • KCI등재

        《중국전례보고서》에 대하여

        안재원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8 교회사학 Vol.0 No.15

        This paper tried to demonstrate some characteristics of a manuscript of Brevis Relatio that is preserved now at the Central Libra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manuscript was written by a Jesuit missionary in 1700 at Beijing. Philogically to see, the materal of the manuscript was of Bamboo, pages were numerated by Chinese numbers, and names and signatures of those who took part in publication are noted at the last page of the manuscript. These showed clearly how Europe books were published in China at those times. Regarding theology, the manuscript provides some important evidences that make clear the position of Jesuits missionaries about Chinese rites controvery. They regarded it as political, not religious issue. Historically to see, Brevis relatio is a testimony for the fact that rites controversy took place not only at China but also at Europe. Rite controversy was a global issue at those days. Politically to see, Brevis relatio demonstrated the position of Kam-Hi Emperor(康熙帝) about retes controversy. He declared explicitly that Chinese rites should be better understood politically and culturally. 이 글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귀중본실(경성제국대학도서관)에 소장된 《중국전례보고서》의 서지적인 특징을 살폈고 책의 저자 문제를 다루었으며 책의 내용과 중요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문헌학적인 관점에서 《중국전례보고서》는 문헌 자체가 필사본이고 만주어와 한문 원문 원문을 포함하고 있으며 책의 쪽 수에 대한 표기가 아라비아 숫자가 아닌 한자로 표기되어 있고 《중국전례보고서》의 탄생에 관여한 예수회 신부들의 자필 서명을 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중한 자료이다. 신학적인 관점에서 《중국전례보고서》는 ‘중국의 전례’ 문제를 두고서 예수회 신부들 사이에서 벌어졌던 논쟁들과 동양의 조상 숭배 문제와 제사 의례에 대한 서양인들의 시선과 입장을 상세하게 전하는 문헌이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전례 논쟁이 동양에서만 벌어진 논쟁이 아니고 오히려 서양에서 더 치열하게 벌어진 다툼이었음을 보여주는 문건이라는 점에서 《중국전례보고서》는 전례 논쟁이 17~18세기에 벌어진 세계사적인 사건이었음을 보여주는 증거 자료이다. 정치적인 관점에서, 천주교에 대한 중국 강희제의 입장, 즉 강희제의 공식 입장이 무엇인지를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전례보고서》는 학술적으로 중요한 보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