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수화언어의 특징과 수화 성경 번역의 실제

        안영회 (재)대한성서공회 성경원문연구소 2009 성경원문연구 Vol.- No.25

        There was a story of Martha’s Vineyard (an island located in the south of Boston in the U.S.) from 17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United States. Unlike most Deaf’s experiences in the modern society, the Deaf in Martha’s Vineyard did not consider themselves as handicapped or isolated group of people, rather wholly integrated into the island’s society’s politicsㆍcultureㆍjobsㆍchurchesㆍsocial lifeㆍleisure. In the island, both hearing people (a person who hear and speak) and Deaf people had grown by using sign language and this specific sociolinguistic adaptation means that there was any hindrance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ring and the Deaf. All people lived in the island were able to communicate by sign language and the Deaf had been wholly integrated into the society for around two hundred years while the hearing used multi language, English and sign language. Then, how it would be possible to let Deaf who can neither hear nor speak believe in good new of Jesus and have joy of God? How could pass on such sweet, profundity, and grace of God’s words to Deaf under environment without any hindrance of communication? The Deaf, who neither hear nor speak, uses sign language to praise God, and the language is prepared by God specially for the Deaf. While various types of handicapped people gather and talk, a Deaf, herself often feel isolated since she can not hear and not even understand what they talk about. “So then faith cometh by hearing, and hearing by the word of God.” - Rome 10:17. However, for the Deaf “faith cometh by seeing, and speaking with hands by the Word of God.” Deaf neither hear nor give a word because they do not hear and speak. For that reason, Deaf are the most difficult handicapped for evangelization. Due to such difficulty, evangelization for Deaf are behind that of for blind. Churches in Korea have had concern over Deaf, yet still the word of God has not opened to the Deaf in Korea. In order to make Deaf to understand bible, the bible has to be translated into sign language as soon as possible and, thus, open up a path for Deaf to believe in God.

      • 청각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현장 수화용어집

        안영회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용역연구 Vol.- No.9

        1. 발간목적 청각장애인들은 자립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직업재활 관련 교육을 받고 있거나 직업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들 중 대부분이 낮은 입금이나 업무과다, 직무관련 기능부족, 출퇴근의 어려움보다는 의사소통 문제로 인한 직장생활의 어려움이 더 크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는 직업을 갖기 위한 상담과정에서부터 출발한다. 보다 체계적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환경구축 및 상담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더불어 취업을 원하거나 직업생활중인 청각장애인을 위해서 가장 시급한 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현장에서 사용되는 직업재활관련 수화용어의 표준화이다. 현실은 직업재활관련 교육 또는 상담,취업현장에서의 애로사항 등의 내용을 적절하게 전달하고 개념을 형성시켜 줄 수 있는 수화어휘와 용어들의 사용범위가 매우 단순하다. 그나마 표준화되지 못한 수화를 사용하면서 의사소통에 있어서 혼란을 초래한다. 이러한 현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자료가 만들어졌다. 직업상담과 관련된 수화는 매우 광범위 하므로 본 자료에서는 먼저 직업상담 현장이나 청각장애인들이 근무하는 작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어들을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따라서 본 자료는 첫째,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직업재활관련 수화어휘를 통일하여 의사소통을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혼동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며, 둘째, 직업재활관련 수화용어의 표준화를 통해 전국의 청각장애인 직업상담관련 기관들에서 상담, 취업알선, 사후지도, 직업교육 시 청각장애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된다. 셋째, 직업재활용어 뿐만 아니라 청각장애인, 직업재활관련 현장 종사자, 수화통역사들에게 표준적인 직업수화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본 자료는 직업재활 현장에서 사용되는 단어나 문장을 포괄적으로 포함하고자 못하고 있으며, 더구나 직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직종이나 직무별 세부단어나 문장은 여건상 다루지 못하여서 아쉬움이 남는다. 이번을 계기로 차후 현장중심의 다양한 직업재활 용어가 개발되고 정리되기를 기대해본다. 2. 활용대상 본 자료는 청각장애인과 더불어 일차적으로 청각장애인과 직업현장에서 만나는 관련기관 직원이나 수화통역사, 직장동료, 직업수화를 익히고자 하는 분들에게 적합하다. 3. 용어선정 본 자료에 수록된 단어는 모두 456개이며 연습문장은 총98개 문장이다. 이들 단어와 문장들은 우선 장애인공단이나 직업재활수행기관 등 청각장애인에 대한 직업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사용하는 상담·평가기록지 등 각종 서식으로부터 1차로 단어를 추출하였다. 이어서 수화사전 등 기존 수화자료에 수록된 직업수화와 일본의 직업수화 자료 등을 통하여 2차로 관련 단어를 추가로 수집하였다. 3차로는 장애인공단 취업상담원, 직업훈련원 직업교육 교사, 특수학교 직업보도 담당교사, 전국 수화통역센터 수화통역사, 직업관련 전문수화통역사, 취업청각장애인, 농통역사 등을 대상으로 직업용 수화용어 및 활용도가 높은 단어와 문장을 수집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단어들은 다시 연구진 자체의 수정작업 후, 청각장애인 직업상담원, 수화통역사들로부터 단어나 연습문장의 현실성 등에 대한 적합성 자문을 구하여 최종선정하였다. 아울러 수화의 표현은 수화표준성이 입증된 우리나라 최대의 한국표준수화사전(2006)의 표기방식을 참고하여 자료화한 후, 표준성 확보의 수단으로 수화통역 표현 및 표기방식의 표준성 검증자문을 통하여 최종 자료화 하였다. 4. 내용구성 여기에 수록된 용어는 각 장별로 그 필요용도에 따라 기본적인 수화와 전문적인 수화, 연습문장을 함께 정리하였으며, 수화동작사진 안에 화살표시를 넣어줌으로서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사진의 한계를 보완하도록 하였다. 각 장별 내용을 보면 제1장은 직업상담 관련수화로 초기상담·평가 관련수화, 가족·주거 관련수화, 장애 관련수화, 교육·학교 관련 수화, 직업훈련 관련수화로 구성하였다. 제2장은 직종·직무관련 수화로 직종관련수화, 직무·직제 관련수화로 구성하였다. 제3장은 직업생활·근로현장 관련수화로 입·퇴사관련 수화, 직장생활 관련수화, 임금·근로조건 관련수화, 안전규칙·편의시설 관련수화, 출퇴근·교통수단 관련수화, 지원제도 및 법률관련수화로 구성하였다. 제4장은 기타 유관기관·관공서 관련수화, 지명 수화이다. 5. 자료활용 기존 자료에서는 직업수화용어를 청각장애인이 종사하는 직종, 직무, 직업상담 및 직업배치 등 보다 전문적인 영역의 접근보다는 아주 단순하고 이미 대중화된 용어의 소개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 자료는 직업현장에서 전문가, 상담원, 수화통역사, 표준화된 직업수화를 필요로 하는 청각장애인들에게 실용적으로 쓰일 수 있는 현장중심의 직업수화를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자료와 차별성이 있다. 주로 직업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으며, 수화통역 및 학습교재로도 활용될 수 있다.

      • 농인(聾人)과 농 사회에 대한 이해와 수어(手語) 성경의 필요성

        안영회 (재)대한성서공회 성경번역연구소 2007 성경원문연구 Vol.- No.21

        Up till now, social integration of the Deaf has been focused only on integrating the minority Deaf to the majority of the hearing people. There being no inter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Deaf and the hearing, it is still unfamiliar in Korea to embrace the perspective that ‘the Deaf are members of the socio-cultural community’. Even experts in natural science including medical science or specialists in educating children with hearing difficulties still define the Deaf as people who have ‘lost their hearing’ by their pathological traits. This paper attempts to assert the need for sign language Bible by giving a full understanding about the Deaf society, a community that has not been accurately known to the general public. Korean churches have long been interested in reaching the Deaf community, and pastors have been using sign language in an effort to deliver the Bible carrying the Word of God to the Deaf whose primary language is sign language. Despite such endeavor, there are limitations for the Deaf to deeply understand the Bible. For the Deaf who use only the Korean sign language, the Bible translated into Korean is just like another Bible in foreign languages. God’s Word is still closed to them. To help the Deaf overcome biblical illiteracy and understand the Bible, the Bible has to be translated into sign language. Strictly speaking, it can be said as another Bible translation. Consider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sign language, the sign language Bible must be produced in video format. Instead of acknowledging hearing disability as handicap, it is desperately required to accept the Deaf as they are, namely as people using ‘sign language’ for communication simply because they cannot hear. The ‘Korean Sign Language Bible’ which is in the visual language used by the Deaf, will allow the Deaf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the many people who treasure and love sign language to know the true meaning of the gospel. Through this Bible, the church which is the body of the Living God will then be able to bear in themselves its inherent vitality as well.

      • KCI등재후보

        전문분야 수화통역에 대한 경험 연구

        안영회,한정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4 No.2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working inspecial fields such as hospitals, courts of law, and other areas by employing aphenomenological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s are seven sign language interpretersworking at various interpretation centers. Collected data by in-depth interviews has yielded 33theme clusters and 6 categori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shave experienced “not having enough knowledge about the special subject, ignorance of deafculture by non-deaf participants, seeking interpretations that would benefit the deaf,considering interpretations as not impartial and sympathetic with the deaf, and blaminginterpreters when results came in nega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applications for effective approaches to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s in special fields ofinterpretation, along with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deaf and non-deaf in sign languageinterpretation fields. 본 연구의 목적은 수화통역센터에 근무하는 청인 수화통역사를 대상으로 전문영역 통역현장에서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구하고 이를 통해 농사회복지 실천을 제고할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수화통역사의 전문분야별 통역 경험에서 생생하고 즉각적인 체험으로서 공유된 것은 수화통역사의 마음 언저리에 남아있는 불편함, 마음의 갈등이었다. 마음의 갈등의 제 양상은 6개의 주제로 범주화되어 분석되었다. 이를 3가지 차원으로 수렴하여 논의하였다. 첫째 전문분야관련 전문성 제고, 둘째 청문화와 농문화 간의 이해, 셋째 수화통역사의직업인으로서의 전문성, 윤리성 인정과 제고이다. 풍부한 면담내용에서 얻은 연구결과로부터 전문분야 통역의 질을 향상하고 농인과 청인 그리고 수화통역사 간 상호존중하며 공정하고 윤리적인 통역 수행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수화통역사의 직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수화통역센터에 근무하는 수화통역사를 중심으로-

        안영회 ( Young Hoey Ahn ),한정우 ( Jeong Woo Ha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화통역사들의 직업 경험을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그 의미를 발견함으로써 수화통역사들의 원활한 농문화 참여를 촉진하고 나아가 농인들의 사회통합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로 현직 수화통역사 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화통역사들의 직업 경험은 보람과 갈등(스트레스)의 구성요소와 9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35개의 의미단위로 구성되고 그 의미가 맥락적으로 해석되었다. 보람과 갈등을 가로지르며 나타나는 발현(epiphany)은 청문화와 농문화 사이의 문화적 간극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화통역사뿐만이 아니라 수화통역 현장에 참여하는 농인, 청인 등에게도 필요한 사회복지 실천에 대해 제언한다. 본 연구는 수화통역사들의 정확하고 효율적인 농문화 접근경로모델을 개발함으로써 농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수화통역사들의 처우개선에 필요한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what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s really experience of the Deaf culture by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backgrounds for choosing to be sign language interpreters described complex motivations such as religion, talent and aptitude. The source of motivation for the interpreters to exert themselves in the interpretation work rather than feeling frustration was the moments of feeling pride. Meanwhile, the ‘stresses`` experienced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difficulty of delivery due to difference in the linguistic structures between spoken languages and sign languages, ``problem of transference`` incurring in the process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difficulties in responding to the Deaf as the Deaf take the advantage of the fact that they are socially disadvantaged. This study has a practical implication which sets up a way to promote practical approache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for social welfare of the Deaf. It could be considered and used as a valuable educational material hereafter for the Deaf and people who participate interpretation of sign language and sign language interpreters as well. It is quite meaningful in a point of view that the study rediscovers the Deaf culture and exposes the value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asid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isting study of the Deaf culture which is weighted towards the Deaf beneficiaries.

      • KCI등재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및 문화정보 접근 실태와 개선 방안

        허일,이미혜,안영회,홍성은,최상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수어 사용 농인의 문화 정보 접근 실태와 개선방안을 분석하기 위하여 놓인 397영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농인의 정보접근 실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농인이 문화시설을 이용할 때 필요한 지원은 농인 수어해설가 또는 수어통역사 배치가 대부분이었고,도서관은 수어통역사 배치와 수어 동영상 제공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둘째,문화시설에서 농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10대 젊은 세대에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20-40대는 보통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50대 이상에서는 불만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반적으로는 농인이 문화시설을 이용하는데 불만족하는 경향이 더 많았다. 농인의 정보접근 개선 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문화시설 기관에서 농인을 위한 지원이 제공된다면 더 자주 이용하고 싶은 문화시설은 유명 관광지,한국영화 상영 영화관,박물관,체육시설,유적지,외국영화 상영 영화관,공연장 순이었으며,도서관과 미술관 이용 의사는 상당히 낮았다. 이는 도서관과 미술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문화 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지원 정보를 얻는 방법에 대해서는 젊고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인터넷을 선호하였으나, 연령이 많고 농어촌에 거주할수록 농아인협회 등 장애인단체를 더 선호하였다. 이는 농인이 문화시설을 더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농인의 연령과 거주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plans for cultural access of the Deaf sign language users. There were 397 participa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most needed support for the Deaf to visit a cultural facilities were a deaf guidance or an sign language interpreter and in case of the library the deaf asked for a sign language interpreter and the provision of sign language movie clips.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concerning the information access, which is needed before one can visit the cultural institution, tends to be a little high among the 10s and average level among 20~40s generation, but among the 50s the level of dissatisfaction was very high. Sugges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information access for the Deaf are as following. First, if the cultural facilities offered services for deaf visitors the order of the cultural facilities which deaf people would like to visit more often were as follows: touristic sites, theater showing korean movies, museums. sport facilities, historic sites. theater showing foreign movies and performance halls. Libraries and art museums were named very rarely. This fact implies that there have to be found ways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of libraries and museums for deaf people. Second, concerning the method which i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before visiting a certain cultural facility, the analyses shows that the younger generation living in large cities strongly favours the internet, whereas the elder generation living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favours to get information through the deaf association.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age and residential area of the Deaf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of cultural facilities for the Dea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