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년대 할리우드 영화에 나타난 북한 이미지의 특징 연구

        안숭범 ( Soong Beum Ahn ) 한국비교문학회 2011 比較文學 Vol.53 No.-

        Recently North Korea`s image is frequently used in Hollywood blockbuster movies. Considering Hollywood movies are cultural texts revealing conscious and unconscious ideology current in America, those movies could be passage to read North Korea distorted by America. So this study will analyze three of Hollywood movies in 2000s, reading off America imagined in recent Hollywood movies and examine North Korea`s image as the hostile other mobilized to reinforce ``Pax Americana``. Analysis showed <Die Another day>, <Stealth>, <Transformers> has established themselves each as essential texts for interpreting America right after 9/11, closing period of Iraq War, and plateau of Iraq. North Korea`s image in movies was built differently following the periodical impact, butseen in a big frame it was being typed getting through constant distortion. Putting North Korea`s image appeared in these movies together it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North Korea is direct and indirect background of worldwide terrorism and leading power. Second, North Korea is a subject to be always distrusted even threatens peace by illegal economic activities and weapon development while showing friendly steps. Third, North Korea is a subject has to be disintegrated through immediate military punishment than conversation. Fourth, even the war breaks out in the Korean Peninsula the America holds operational control and warfare leadership which is of necessity. Fifth, North Korea is a place institutionalized to poverty and experience of violence constant torture and abuse happens regardless of local or foreign nations. Sixth, North Koreans(soldiers) are passive and brutal about the ideology of themselves. In Hollywood movies, more sensitive reading can be needed in respect of dangerous prejudice operating in narration covered by fancy special effects and elaborate sets, celebrated or highly favorable actor, and rapidly progressing dramatical narration. It also spreads the need of alert in respect of circulating to worldwide consumers without repulsion. This study is limited to a preliminary research about analysis of Hollywood movies based on North Korea. Accumulation of succeeding discussion by way of this advancing to arrange practical alternative is expected further after.

      • KCI등재

        다르덴 형제 영화에서 ‘노동’의 의미와 형식미학

        안숭범(Soong-Beum Ahn)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9

        다르덴 형제의 영화는 사회의 변방으로 밀려난 소수자들의 문제를 다룬다. 특히 오늘날 노동 시장에서 가치를 박탈당한 인간의 삶에 큰 관심을 가진다. 이 글은 칸 영화제 수상작인 다르덴 형제 영화의 근작 〈로제타〉, 〈아들〉, 〈더 차일드〉, 〈로나의 침묵〉, 〈자전거 탄 소년〉을 대상으로 그러한 다르덴 형제의 사회인식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들의 사회인식을 적확하게 담아내는 고유한 형식미학적 스타일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먼저 다르덴 형제 영화의 내용을 보면, 절망적인 생계의 문제에 봉착한 개인이 등장한다. 그들의 고통은 정도 차를 두고 실업 상황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불가항력적인 ‘불안’과 ‘소외’의 이미지를 내보인다. 유념할 것은, 다르덴 형제의 영상은 내용을 담는 단순한 플랫폼이 아니라, 본질적인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고안된 양식이라는 점이다. 단편적인 예를 들면, 인물을 담아내는 카메라의 위치와 시선, 움직임 모두가 세계 내에서 인물이 처한 상황을 성찰하게 한다. 플롯에 대한 고려도 거의 없고, 극적 장치도 없으며, 평면적이고 직선적이기까지 한 다르덴 형제의 영화가 끊임없이 긴장을 안기는 이유도 그와 같은 독자적인 형식미학의 힘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Dardenne brothers’ films deals with minorities’ issues who are shoved out to periphery of society, and especially takes interest in value-deprived human life in labor market of today. This study examines such social awareness of Dardenne brothers targeting their latest works awarded in Cannes Film Festival, 〈Rosetta〉, 〈The Son〉, 〈The Child〉, 〈Lorna’s Silence〉, 〈The Kid with a Bike〉. And analysis is attempted about Dardenne brothers’ unique formal aesthetical style that exactly captures such social awareness. In Dardenne brothers’ films a person shows up who faces abject matter of living. Their agony is closely connected to unemployment, and shows images of irresistible anxiety and alienation. Dardenne brothers’ images are not only simple platform with contents embodied, but designed form showing essential thematic consciousness. Location and gaze, motion of camera capturing a character makes us to reflect the situation a character is facing in the world. There are almost no regard about plots, no dramatic devices, superficial and even straightforward, but Dardenne brothers’ films have such independent formal aesthetic, which makes able to give endless tension.

      • KCI우수등재

        <스타워즈> 오리지널 트릴로지의 빌런 활용 전략 연구 : 시리즈 서사는 어떻게 연장되는가?

        안숭범(Ahn, Soong-Beum)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2

        이 연구는 <스타워즈> 오리지널 트릴로지의 캐릭터 운용 전략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시리즈화에 영향을 끼친 결정적 동인을 파악한다. 오리지널 트릴로지는 게임 체인저로서 빌런에 대한 서사 정보를 효과적으로 통제하면서 ‘실현된 서사 세계’ 내에 긴장성을 부여한다. 특히 ‘출생의 비밀’과 관련된 트리거 포인트를 시의적절하게 활용해 적극적인 해석 주체를 통해 재구성되는 ‘가능한 스토리 세계’를 점진적으로 중층화한다. 더 구체적으로 보면, 오리지널 트릴로지는 빌런의 성격화, 탈성격화, 재성격화 과정을 중심으로 주동인물군의 대타적 관계망을 끊임없이 재편한다. 먼저 <에피소드 4>는 다스 베이더를 위압적인 절대악으로 위치시키는 전략을 구사한다. 이는 레드헤링 효과를 견인하기 위한 사전 포석에 해당한다. <에피소드 5>는 다스 베이더의 과거사에 대한 미묘한 정보들을 베풀면서 가면을 쓴 빌런의 은폐된 사연으로 관심을 유도한다. <에피소드 6>는 빌런의 다면적 성격을 확인시킨 후, 다스 베이더를 향한 수용자의 이중구속적 입장을 복합적으로 자극하는 기획을 선보인다. 특히 수용자는 다스 베이더의 절반만 밝혀진 과거사, 절반만 밝혀진 관계망에 관한 해석 가능성에 의존해 기대와 예측의 담론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오리지널 트릴로지는 ‘실현된 서사 세계’와 ‘가능한 스토리 세계’ 사이의 영역, 곧 ‘상상적 대화 공간’의 비약적인 확장을 이끄는 티핑 포인트를 만들어낸다. 본 논문을 시작으로 시리즈화에 성공한 스토리콘텐츠로부터 잠재적 수용자를 유인하는 최초의 입구를 찾아내 그 전략을 밝혀가도록 하겠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lucidate that production of a successful series of <Star Wars> was possible through the strategy for the operation of characters from the Classic Trilogy. The Classic Trilogy infuses tenseness within the ‘textual narrative world’ by effectively controlling the narrative information on the villain as the game changer. In particular, it progressively builds up layers of the ‘possible story universe’ being recomposed through the assertive interpretation principal by utilizing trigger points associated with the ‘secrets of birth’ in a timely manner. More specifically, the Classic Trilogy ceaselessly reshuffles the exclusive relationship network of the leading characters with the focus on characterization, de-characterization and re-characterization of the villains. First, <Episode 4> employs the strategy of positioning Darth Vader as an absolute coercive evil. This corresponds to the groundwork to induce the red herring effect. <Episode 5> induces the interests of the audience with a hidden story of a masked villain by releasing subtle information on the past history of Darth Vader. <Episode 6>, after having confirmed the multifaceted personalities of the villain, displays the design that complexly stimulates the doubly binding stances of the audience towards Darth Vader. In particular, the audience establishes the venue for anticipatory and predictive discourse by relying on the interpretive possibilities regarding the past history and relation network of Darth Vader that are only half revealed. Accordingly, the Classic Trilogy managed to generate a tipping point that is able to lead the rapid expansion of the domain between the ‘textual narrative world’ and the ‘possible story universe’, that is,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Beginning with this paper, I will strive to find the initial entrance that entices the potential audience with the story contents that have succeeded in the production of the series in order to disclose the strategies underlying such success.

      • KCI우수등재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소통구조와 내포 작가의 성격에 대한 시론적 연구

        안숭범(Ahn, Soong-Beum)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6

        본고는 오늘날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소통구조상의 특징을 내포 작가의 성격을 통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문화, 장르, 메시지 전략으로서 힙합이 미국에 안착하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동시대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소통구조를 검토해 준거틀을 확보한다. 궁극적으로는 2000년대, 평단과 대중의 고른 지지를 받은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서사모델을 동시기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와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는 현실적 자아로서 힙합 뮤지션과 텍스트 안에 위치한 캐릭터화된 뮤지션이 상상적으로 밀착된다는 점에서 미국의 경우와 유사점을 보인다. 현실의 수용자와 텍스트 내 허구적 청자 역시 통합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와의 차이에 집중하면, 대중성을 가진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들은 주제나 표현에 있어서 서정적 감상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내포 작가의 성격을 상상해볼 때, 대사회적 태도, 부조리한 가치와 질서에 대한 시선 등이 누그러진 것도 확인할 수 있다. This manuscript delves into the traits of communication structure within Korean hip-hop music video via the characteristic of the implied author. For this, the process of how hip-hop was settled in the United States as a strategy in culture, genre and message is analyzed in a diachronic manner. Also procured are principles derived from reviews of communication structure in the American hip-hop music videos of the same age. Through comparison of the results, this abstract minutely examine the immanent nature of the Korean hip-hop music videos of the 2000s, which were well received both by the critics and the public.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the Korean hip-hop music videos show similarity with the American videos in the aspect that hip-hop musician as the realistic self imaginatively adheres to the characterized version of the musician within the text. Additionally found is the tendency of integration of the consumer in real life and the fictional audience within the text. To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videos, Korean hip-hop music videos have mass appeal, showing more lyrical sentimentality in their themes or expressions. Thinking of the nature of the implied author, softer stance toward the society, as well as unjust value and order is likewise verified.

      • KCI등재

        홍상수 영화에 나타난 욕망의 모방적 성격

        안숭범(Ahn, Soong-Beum)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29

        르네 지라르(Rene Girard)는 그의 첫 번째 주저인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에서 욕망의 모방적 속성을 밝힌 바 있다. 그에 따르면, 욕망이란 제3자와의 관계에 의해 파생된 감정으로 생래적으로 주어진 게 아니다. 그런 까닭에 지라르의 관점으로 욕망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매개자를 거쳐 욕망이 형성되는 과정, 곧 욕망의 매개작용(mediation)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홍상수 영화의 인물들은 바로 그 ‘욕망의 매개작용’을 긴장감있게 보여주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그들 간의 관계를 보면, 모방 욕망의 중첩 양상이 다각도로 드러난다. 실제로 영화 결말부에 이르면, 관객은 주체와 매개자의 구분이 사라지고, 서로가 서로를 통해 ‘형이상학적 욕망’을 꿈꾸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순간, 주체의 대상을 향한 소유욕과 매개자를 향한 증오, 대상을 향한 갈증과 매개자를 향한 질시는 동시적이고 등가적이 된다. 한편, 홍상수가 실천해 온 모방 욕망의 스토리텔링을 더 자세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욕망하는 남자-속내가 불분명한 여자-우월한 위치에 놓인 다른 남자’를 기본으로 하는 홍상수 영화의 인물 구도에 주목해야 한다. 그들은 관점에 따라, 주체와 매개자 사이를 오가며 다면적인 욕망의 삼각형을 그린다. 예를 들어, 욕망하는 남자를 주체의 위치에 놓고 보면, 속내가 불분명한 여자의 그를 향한 ‘교태(coquetterie)’와 주체의 그녀를 향한 ‘형이상학적 욕망’이 상호작용을 통해 더욱 강렬해져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주체와 우월한 위치에 놓인 다른 남자는 서로에게서 ‘증오에 넘치는 매혹’을 느끼며, 극심한 경쟁심이 내재된 모방 욕망을 복사해 가진다. 이러한 홍상수 영화의 서사 기획은 <옥희의 영화>에서도 첨예하게 실천되는데, 이를 굳이 언명하자면, 역설의 미학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이를테면, 홍상수는 등장인물을 둘러싼 여러 정보들을 끝까지 불확실한 수준에 머물게 한다. 또한 분절적인 이미지, 서사적 개연성으로 엮이지 않는 에피소드들을 나열하면서 ‘반복을 통한 차이의 효과’를 노린다. 그 때문에 그러한 모호성의 형식 속에서도 관객이 등장인물의 내면에 작동하는 ‘모방 욕망’의 양상을 점점 명확히 읽어나갈 수 있다는건 매우 역설적이며 흥미로운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Rene Girard revealed the attributes of mimetic desires in his first published book ‘Deceit, desire and the novel’. According to him, desire is derived by emotions from relations with a third party, not a natural mechanism in human. Therefore, to understand desire in Girard’s perceptio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desire through mediators, that is, mediation of desire needs to be focused. The characters in Hong Sang Su’s movie precisely show the features of ‘mediation of desire’ with emotional tension. The overlapping facet of mimetic desire is revealed in various angles, especiall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In reality, towards the end of the movie, the audience’s distin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mediator vanishes, and through each other, the state of longing for ‘metaphysical desire’ is identified. At that moment, the subject’s possessiveness towards his object, hatred toward the mediator, thirst for the object, and envy toward the mediator are simultaneous and equivalent. On the other hand, to grasp a better understanding of Hong Sang Su’s practical storytelling of mimetic desire, the composition of characters in Hong Sang Su’s movie based on ‘the man who desires- the woman with an obscure mind- the other man in a superior position’ needs to be focused. In their point-of-view, the back and forth between the subject and the mediator draws a triangular relationship of multilateral desire. For example, placing and observing the man who desires as the subject, the obscure woman’s coquet (coquetterie) towards the man, and his intense interaction of ‘metaphysical desire’ towards her can be seen. Also, the subject and the man in the superior position feel ‘overwhelming captivation of hatred’ from each other, and exemplifies intense competition inherent in mimetic desire. This narrated plotting of Hong Sang Su’s movie is also acutely fulfilled in 〈Oki’s move〉 and in further statement, it can be explained as historical aesthetics. For example, until the end, Hong Sang Su maintains the level of uncertainty on the various information surrounding the characters. Also the never ending image, enumerating episodes that does not intertwine narrative probability seek for ‘effects of differences through repetition’. Because of such, even in this ambiguous form, the audience increasingly sees aspects of ‘mimetic desire’ functioning inside the characters, which is very paradoxical and shows interesting results.

      • KCI등재

        멜로영화 스토리텔링의 신화 구조 분석에 관한 시론

        안숭범(Ahn Soong Beum),최혜실(Choi Hye Sil) 인문콘텐츠학회 2012 인문콘텐츠 Vol.0 No.27

        이 글은 한국 멜로영화 역사상 가장 흥행한 작품 중 하나인 <건축학개론>의 스토리텔링을 신화 구조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다. 주목할 것은, 보글러와 보이틸라의 신화 구조 분석론을 부분 수정하여 멜로영화 스토리텔링 분석을 위한 세 가지 도구적 초점을 제안한 점이다. 먼저는 ‘영웅의 모험’ 12장면에 대한 분석을 남녀 두 주인공의 여정을 통해 모두 행한 후 양자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로는, 원형적 유형론을 멜로드라마에 내재된 사회적 의미와 인물 내면의 억압기제를 파악하는 도구로 삼아보는 방식이다. 이에 관해서는 보이틸라도 그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보통 세상’과 ‘특별한 세상’ 사이의 낙차를 드러내는 셔레이드들을 변별하면서 영웅의 모험이 끝나는 지점에서 파생되는 비극적 여운을 해명해 보았다. 최근 들어, 연애담으로서 멜로드라마가 장르적 관습 안에 머물지 않고, 소재적·내용적으로 더욱 개성있는 서사를 엮어간다는 점에서 진전된 논의를 담아내는 후속 연구가 계속되길 기대한다. This essay analyzes the storytelling of Architecture, one of the most successful piece in history of Korean romantic movies, in mythology structure analysis. By partly modifying Vogler and Voytilla’s mythology structure analytics, three offered instrumental focus for romantic movies analysis is remarkable. First is a method analyzing about 12 phases of ‘Hero’s Journey’ through hero and heroin’s journeys and then comparing the two. Second, is a method trying to make archetypical typologie as a tool for understanding social meaning and character’s inner side repression mechanism inherent in melodramas. Voytilla also has suggested the possibility about this. Finally, this essay discriminates charades which reveals the gap between ‘ordinary world’ and ‘special world’ and tried to explain tragic resonance derived from the point where hero’s journey ends. The fact which today’s melodramas as love story not just stays in genre customs, but weaves materially and contentially more individual narrative, continuous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embodying progressed discussion.

      • KCI등재

        공간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테마파크 기획 연구

        안숭범(Ahn Soong-Beum),최혜실(Choi Hye-Sil)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7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테마파크가 기획되고, 실제 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경제적 수익 면에서나 지역 정체성 확립의 차원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테마파크는 극히 드물어 보인다. 그래서 본고는 ‘공간 스토리텔링’을 장소 현상학의 입장에서 재정립한 후, 실제 테마파크 조성 사례를 논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연구는 지역 정체성 확립과 경제적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하여 포항시가 발주한 ‘연오랑 세오녀 테마파크 조성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바탕으로 기술되었다. 먼저 지역 정체성 강화 및 확산은 ‘장소의 혼’을 지키면서 ‘장소의 창조’에 이르는 일과 관련되고 광광 수입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은 수익성 높은 종합 엔터테인먼트 사업으로서 테마파크를 원 소스화하는 작업과 연결된다. 이 두가지 사안을 둘러싼 논의를 하다보면, 어느 한쪽에 쏠려서도 안 되고, 둘 중 하나를 포기하기도 어렵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래서 이 글은 먼저 장소 현상학의 담론 속에서 공간 스토리텔링 개념을 재정립한 후, ‘연오랑 세오녀’ 테마파크 조성과 향후 사업화 방안에까지 적용하여 보았다. 특히 현상학적 장소론을 심화시킨 학자들이 주창한 ‘장소의 혼’, ‘장소감’ 증대, ‘장소의 창조’ 개념은 공간 스토리텔링의 범주화에 중요한 수단이 된다. 원론적으로 풀어 설명하면, ‘연오랑 세오녀’ 설화는 포항의 ‘장소의 혼’을 담고 있기에 그에 관한 테마파크 조성은 ‘장소의 창조’로 나아가야 한다. 그와 관련하여 본고는 우선, 설화 내용 속에 잠재된 공간 스토리텔링 요소를 뽑아내어, ‘장소의 혼’이 담긴 테마파크를 조성하는 데 하위 테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는 방문객의 ‘장소감’ 증대를 위해 공간 스토리텔링의 실천 기술로서 다감각 스토리텔링을 기획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포항의 관광 환경을 바탕으로 테마파크를 원 소스삼아 OSMU를 기획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이를 통해, 방문객들은 참여를 통해 자신만의 이야기를 완성하게 된다. 가상세계와 현실세계가 중첩하는 몰입과 놀이의 공간은 그런 순간에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지면의 제약상 부분적으로 약술된 측면이 있지만, 그에 대한 보충 논의는 실제 ‘연오랑 세오녀’ 테마파크가 조성된 시점에 다루기로 한다. 향후 선재하는 서사물을 기반으로 테마파크를 기획하고자 할 때 이 글이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se days, there are diverse forms of theme parks that are in the making or under operation, yet they seem to be rarely enjoying profitability or contributing to a regional identity.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redefine the concept of “spatial storytelling” from the viewpoint of phenomenology of space and explore a case study on a theme park. In detail, this study is based on the “Basic Plan on Establishment of YS Theme Park”outsourced by the City of Pohang in order to build a regional identity and create added values. First of all, reinforcement of the regional identity is intended to preserve the “spirit of place” while engaging in “creation of place”. Creating added values on the back of tourism means making the theme park a comprehensive entertainment project as a one-source, multi-use business. The two goals should strike a good balance and not compromisedby each other. Thus, this paper re-establishes the concept of spatial storytelling in arguing the phenomenology of space, and then moves onto incorporating the concept in: the formation of the YS Theme Park and measures to make business out of it.In particular, enhancement of the concept of spirit of place, the “sense of place” and creation of place advocated by scholars who contributed to deepening the phenomenology of space are very important means of classification of spatial storytelling. Theoretically, the construction of the theme park should aim for creation of place, since the tale of “Yeon-oh-rang & Se-oh-nyeo” encompasses the spirit of place of Pohang. In light of this, this paper extracts elements of spatial storytelling inherent in the tale to provide a set of sub-themes in order to build a theme park inspired with a spirit of place, and then plans a multi-sense storytelling to increase the sense of place for visitors. Finally, the paper exemplifies the process of planning OSMU (one source, multi-use) with the theme park as the one source, on the basis of Pohang’s tourism environment, which will enable visitors to complete a story of their own through participation. This will help form a space of immersion and entertainment, in which the imaginary world and the reality overlap. Although the paper is written as a summarized formdue to spatial constraints, supplementary discussions will be mad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YS Theme Park. Hopefully, this paper may provide practical help to those planning for construction of theme parks that are based on certain narratives, tales or epics.

      • KCI등재

        포스트 아포칼립스 스토리텔링에 내재된 성장과 모험

        안숭범(Soong-Beum, Ahn) 한국영화학회 2016 영화연구 Vol.0 No.68

        본 연구는 한국 SF 애니메이션 중 유의미한 개성을 선보인 작품임에도 비평적 조명을 거의 받지 못한 <녹색전차 해모수>의 스토리텔링을 비판적으로 탐독하는데 목적을 둔다. 기초 분석 단계에서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포스트휴먼’을 핵심 키워드삼아<해모수>가 베푸는 서사적 긴장의 두 층위를 해명해 보았다. 먼저 <해모수>의 표층적 긴장은 서사무대를 지배하는 시한부 종말론의 압박과 문명 복원의 열망이 부딪치는 중에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심층적 긴장 혹은 미시적 긴장은 가정 회복을 위한 꿈을 포기하지 않은 소년, 소녀들이 대면하는 포스트휴먼들로부터 발생했다. 한편 그러한 서사적 긴장에도 불구하고 <해모수>의 스토리텔링은 일정한 한계를 분명하게 노정했다. 일차적으로 <해모수>의 ‘성장’은 자아와 세계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과정에서 그 결과로 나타난 게 아니었다. 주인공들이 경험한 ‘성장’은 기성세대가 확정해 놓은 ‘교훈의 성취’, ‘기획의 완성’, ‘임무 달성’과 관련되었다. 그 연장선에서 <해모수>의 ‘모험’을 보면, 개성적인 모험지들이 단속적으로 등장하지만 대부분 소재주의의 한계를 안고 있었다. 또한 모험에의 요구가 강박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작품론 차원에서 진행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한국 SF 애니메이션에 관한 유의미한 통사를 기술해나가도록 하겠다. This research focuses on having a critical view on the storytelling of “Hamos, the Green Chariot, “which rarely got the critical spotlight despite the fact that it was one of the Korean science fiction animations that displayed a meaningful uniqueness. On the basic level of anaylsis, the two levels of epic tension provided by Hamos were analyzed by using the main keywords, “post-apocalypse” and “post-human.” First, the surface-level tension of the animation appeared during the case in which the pressure of a time-limited eschatology dominating the epic stage and the longing for the restoration of civilization clashes. On the other hand, the grok, or microscopic tension appeared from the post-humans who were faced by the boys and girls who did not give up their dreams of getting their families back together. Despite this kind of epic tension, the storytelling of the animation clearly displayed its set limits. Primarily, the idea of “growth” in the animation did not appear as a result of natural interaction between the ego and the world. The “growth” that the main characters experienced was related to the “preceptive accomplishment,” “the completion of planning,” and the “achievement of tasks” set by the older generation. For the “adventure” in the movie, although unique adventure sites intermittenly appeared, most of them had limits as they were subject-centered. Also, it became clear that adventures were necessary under pressure. Hereafte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given by analyzing the works, a meaningful synoptic analysis on Korean science fiction animations will be given.

      • KCI등재

        문화,문학 : 구도의 영화와 히에로파니적 시간 -<희생>과 <꽃섬>을 중심으로

        안숭범 ( Soong Beum Ah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4 비교문화연구 Vol.34 No.-

        This writing, focused on <Offret> by Tarkovsky and <Flower Island> by Song, Il-gon, examines moments of sage which is what Eliade described as ``hierophanic time``. These productions, which can be seen as movies that seek after the truth, show important paradoxical ideas and expressions in those moments. This is because symbolic messages from unrealistic and out of ordinary images are specifically shown. If they had to be compared, through the film <Offret> by Tarkovsky, the technical civilization of contemporary society in an apocalyptic view is criticized and saved, or the prophetic will to not give up the desire for salvation is shown. In the process, the short shots which forces to show hierophanic time not only diversely visualized the author`s ideological self-consciousness towards the conversion of the new world, but it also fulfills the metahistorical meanings mentioned by Eliade. However, in the film <Flower Island> by Song, Il-gon, the realistic personal sufferings of three women is specifically shown first in extreme. They overcome their unsolvable problems through mysterious rituals and belief in miracles. In the scenes that include hierophanic time, there are many cases that cover Christian faith and the meaning of salvation. In other words, we can say that hierophanic time in <Flower Island>, are related to conviction which led to moments of miracles in order to overcome reality. Therefore, even 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ay authors use hierophanic time, the scenes that show it in the two movies display individuality of mythical imaginations disclosed by Eliade. This is because the general hopefor reproduction, or meaningful symbols related to the ideal conversion of affairs are revealed.

      • KCI등재

        신상옥 연출 남북한 『춘향전』 원작 영화 속 몽룡 "들"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성격화"

        안숭범 ( Soong Beum Ah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2 No.-

        이 글은 신상옥이 남북한에서 각각 연출한 『춘향전』 원작 영화들을 ‘몽룡’ 캐릭터에 주목해 분석하려는 시도다. 사실상 그들 영화는 남북한 정치사의 체제 전환기에 등장했다. 대한민국에서 연출한 < 성춘향 >은 이승만 정권이 붕괴한 이후, 제2공화국시기에 제작되었고, 북한에서 연출한 < 사랑 사랑 내 사랑 >은 김일성에서 김정일로의 권력 이양기에 제작되었다. 그러한 정치사적 변화에 주목해 보면, 몽룡의 성격화 과정에 당대 남북한 사회가 배태한 ‘권력자상’이 읽힌다고 할 것이다. 먼저 < 성춘향 > 속 몽룡은 춘향의 헌신적 포용과 희생에 낭만적 순정으로 보은하는 사적 연인의 이미지가 강하다. 몽룡에게서 권력자로서의 면모를 읽는다면, 민주적 지도자, 혹은 조정자의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겠다. 반면, < 사랑 사랑 내 사랑 > 속 몽룡은 계급혁명을 완수하는 영웅적 권력자의 이미지가 강하다. 민중의 열망을 수렴해 애민선처의 정신을 실천하는 전복적 개혁가로서의 성격이 두드러지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고전을 원작으로 한 흥행 영화들이 공시적 조건에서 지니는 의미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들이 확산되길 기대한다. This is an attempt to analyze original films of ChunHyang Jun that Shin Sang-Ok filmed in North and South Korea, focusing on the character of MongYong. These films were made during political transition periods of North and South Korea. Sung ChunHyang was made during the second republic of South Korea, which was established after the collapse of Rhee SyngMan government; and Love, Love, My Love was made in North Korea during the period of power transfer from Kim Il-Sung to Kim Jong-Un. Considering these political changes, the character of MongYong seems to represent the figure of authority North and South Korean society of the time had in mind. First, MongYong in Sung ChunHyang has a strong image of a lover who repays ChunHyang``s devotion and sacrifice with romantic affection. As an authoritative figure, he has the aspect of a democratic leader or mediator. On the other hand, MongYong``s image in Love, Love, My Love is a heroic authority figure of the revolutionary class. He is a subversive reformer who shows love for the people and treats them favorably, gaining public desi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inspire more studies on the meanings of hit movies based on classic literature under synchronic te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