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성과데이터를 활용한 거시적 연구 지형 및 수준 분석

        안세정(Sejung Ahn),이준영(June Young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에서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의 축적된 연구성과의 수준을 과학계량학 방법론을 적용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글로벌 수준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출연연의 R&D 수준을 진단한다. 이를 위해, NST소관 출연연 및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 프랑스 CNRS 등 해외 정부연구기관들의 최근 10년(2009년-2018년)간 SCOPUS DB에 수록된 논문을 대상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구축한 과학기술 지표분석 지원시스템(i*Metrics)를 활용하여 기관 성과 분석 핵심 지표를 산출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지표 간의 효과적인 비교 분석을 위해 논문 수, 우수 논문 게재 지수, 국제협력비율을 결합한 지표 결합 맵을 구성하고 기관별 연구성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분야별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고, 전체에서 개별논문의 영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정규화된 지표를 활용하여 기존의 학술지 인용 영향력지수 중심의 연구성과 분석과 차별화하였다. 또한, 출연연과 해외 연구기관들의 거시적 연구 지형을 분석하고 연구 프로파일을 도출하여 벤치마킹 대상 기관 탐색을 시도한다. 이들의 연구성과 수준 비교를 통해 벤치마킹 대상 기관과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출연연의 객관적인 역량과 위상 진단을 위한 표준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출연연의 역할과 책임에 적합한 연구 방향성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measure the accumulated research achievement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GRIs) under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NST) objectively by applying scientometric methodology and examine the R&D level of GRIs by comparing with the global levels. For this, the core indicators were calculated using the i*Metrics system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KISTI). We used SCOPUS DB and collected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articles published for the past 10 years(2009-2018) of foreign GRIs such as Max Planck Society of Germany, CNRS of France, and so on. The indicator combination frame was designed for the effectiv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alculated index, and the indicator combination map which is made with number of publications, excellent paper rate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rate was constructed. Particularly, this study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research results analysis focusing on the journal citation impact factor by using the normalized indicators tha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and measur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rticles. Also, we explored for the benchmarking institutions of GRI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profiles of GRIs and the foreign research institutes and analyzed the gap between the benchmarking institutions and the GRIs through their comparative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diagnose objective competences and to set the research directions appropriate for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GRIs.

      • KCI등재

        은유분석에서 나타난 공동체에 대한 부모의 인식 고찰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안세정 ( Ahn Sejung ),임홍남 ( Im Hongnam ),김은주 ( Kim Eunju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공동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시와 K시에 거주하는 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149명이 응답하였다. 그 중 이유진술문과 관련이 적은 설문지 1부를 제외한 148부가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분석하고 범주화 및 수치화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들이 인식하는 공동체의 유형을 `함께 하는 것`, `협력, 공생이 이루어지는 것`, `유기적 연결망을 이루는 것`,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것`, `질서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것`, `공동목표를 지향하는 것`, `각자 제 역할을 다하는 것`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들이 공동체가 각 참여자의 주체적인 참여를 통해 실현되는 것이며 공동체를 지속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인지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따라서 주체적인 공생관계를 꾀하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자녀양육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parents who have infant children perceive `community` through metaphor analysi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0 parents who live in P city and K city, and 149 of them responded. 148 out of these we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subjects except for one questionnaire with little relevance to the reason statement. The results were deduced by analyzing, categorizing, and quantifying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types of `communities` that parents perceive could be categorized into `to be together`, `to cooperate and coexist`, `to form an organic network`, `to practice sharing and caring`, `to try to keep order`, `to pursue a common goal`, and `to fulfill each other`s rol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s perceive that community is realized through autonomous participation of each member and efforts are needed to sustain a communit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child-rearing that pursues a community for autonomous symbiotic relationship.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반 여성과학기술인 이슈 및 정책 연구

        윤빛나리(Bitnari Yun),안세정(Sejung Ah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4 No.1

        과학기술분야 여성인력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2002년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해당 법은 과학기술 분야 여성인력의 지위 개선 및 양성평등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서 시작되었으나 법률 및 관련 지원정책의 제도화 과정에서 정책의 초점은 본래의 목적을 벗어나 과학기술 분야의 여성인력 육성으로 변형되었고, 그 결과 여성과기인 지원정책의 공감대형성 여부 및 실효성은 장시간 검토 및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과기인 관련 뉴스기사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여 여성과기인 관련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해당 이슈가 실제 지원정책을 통하여 어떻게 관찰되고 있는지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과기인 관련 주요 이슈는 ‘인재육성/R&D지원’, ‘일자리 창출/정부정책’, ‘여성친화적 환경 조성’의 세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시기별 이슈-정책 내용을 분석한 결과, 지원정책으로의 제도화 여부가 이슈 형성 및 확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원정책 뿐만 아니라 당시의 특수한 사회적 사건이 이슈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과기인 관련 이슈와 지원정책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이슈가 향후 여성과학기술인 관련 정책 수립에 있어 정책수요로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Social discussions on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S&T) have spread in earnest in 2002 with the enactment of the “Act on Fostering and Supporting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ing the laws and related support policies, the focus of policies has been changed from improving women’s status and gender equality in S&T to fostering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policies has been under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jor issues regarding women in S&T in Korea using text mining targeting news data and examine how the issues were observed through related support policies by peri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issues related to women in S&T were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Human resource development/R&D support’, ‘Job creation/Government policy’, and ‘Women-friendly working environment furtherance.’ Also, it was identified that institutionalization into support policy is a major influential factor on issues formation and diffusion, and the specific social events also affect issues form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sues and support policies related to women in S&T, and revealed that the issues could be developed as future policy demand.

      • 뉴스 데이터를 활용한 여성과학기술인 이슈 및 지원정책 연구

        윤빛나리(Bitnari Yun),박진서(Jinseo Park),이준영(June Young Lee),안세정(Sejung Ah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2002년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전후로 과학기술분야 여성인력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해당 법률 및 관련 지원정책의 제도화 과정에서 정책의 초점은 과학기술 분야 여성 지위개선 및 양성평등에서 과학기술 분야 인적자원 육성으로 변형되었으며, 이후 여성과기인 지원정책의 공감대 형성 여부 및 실제 성과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여성과기인과 관련된 사회이슈가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사회이슈가 실제 지원정책을 통하여 어떻게 관찰되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인 ‘빅카인즈’를 활용하여 뉴스기사를 검색·수집하여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데이터 시각화를 통하여 주요 이슈영역을 확인한다. 이에 더하여 시기별 주요 이슈를 탐색하고 지원정책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기별 이슈와 지원정책의 관계를 진단한다. 본 연구는 여성과학기술인 관련 뉴스기사 및 정책 문서를 검토함으로써, 해당 주제를 둘러싼 사회적 담론을 분석하는 한편 정책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정책혁신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Social discussions on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S&T) have spread before and after the enactment of the “Act on Fostering and Supporting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02. However,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ing the laws and related support policies, the focus of policies has been changed from improving women"s status in S&T and gender equality to cultivating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Since then,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whether or not a consensus is formed on related policies and the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kind of social issues related to women in S&T are formed, and how such social issues are actually observed through the support policies. To do so, search and collect news articles using BigKinds, a news Big Data system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 and extract core keyword and identify key issue areas through data visualization. In addition, we explore the key issues by perio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sues and policies is investigat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support policies.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discourse related to women in S&T by analyzing news articles and policy documents,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policy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policies that can respond to actual policy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