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가들의 전쟁 체험 수기 연구

        안서현(Ahn, Seo-hyun)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2

        이 논문은 한국전쟁이라는 원체험이 어떻게 수기와 소설이라는 양대 장르로 서사화되는지, 또 그 둘 사이의 관계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논구하고자 한다. 주로 공식 편찬된 작가들의 수기만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는 그 수기에 ‘쓰여지지 못한’ 것이 무엇인지를 놓치고 있기에 수기 글쓰기가 갖는 정치적 의미의 실체에 접근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한국전쟁기 작가들의 수기 텍스트와 동일 사건을 소재로 취하고 있는 소설 텍스트를 함께 놓고 교차적 독해를 시도함으로써, 이 두 가지 다른 글쓰기들 사이의 차이를 살피고, 이를 통해 공식화된 전쟁 기억을 형성하고자 하는 강한 목적성에 의해 생산되었던 수기 텍스트와 달리 공식 담론에서 벗어나서 개인의 다양한 경험들과 상이한 정치적 지향성을 드러내고 있었던 소설 텍스트를 부각시킴으로써 작가들의 글쓰기가 지닌 복수적(複數的) 정치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전쟁 체험 수기를 남기고 있는 작가들이 그 수기에서 다룬 내용을 다시 소설로 창작한 경우는 생각보다 많이 눈에 띈다. 이 글에서는 그중 소설가 박계주, 최정희, 김광주의 경우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그리고 해당 작가들의 수기 글쓰기와 소설 글쓰기에서 두드러지는 변별점을 찾아 각각 ‘배치의 정치학’, ‘은폐의 정치학’, ‘구분의 정치학’으로 유형화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전반적으로 소설 텍스트들은 수기의 그것에 비해 ‘반공’ 서사로서는 여전히 성공적이지만 반드시 반공 ‘국민’ 서사로는 귀결되지 않는 면을 보여주고 있다. 허구성을 특징으로 갖는 까닭에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소설장르 글쓰기에서는 작가들이 공식 담론과 ‘다른’ 자신만의 개별적 목소리들을 함께 들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잔류파이자 부역 경력도 있었던 박계주에게서는 부역자 처리 문제에 대한 정부 비판으로, 역시 같은 입장이었던 최정희에게서는 부역자 문제를 둘러싼 국민 내부의 갈등과 균열의 은폐와 소거로, 지하잠적파였던 김광주에게서는 국민들 간의 전쟁 경험의 편차에 대한 인식과 강조로 드러나고 있다. 결국 이 작가들은 소설쓰기를 통해 억압된 서사욕망을 실현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때로는 자기 정당화로, 수기에 쓰여지지 못했던 내밀한 감정에 대한 토로로, 혹은 정부나 위정자에 대한 원망 혹은 반감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이 연구를 통하여 수기가 ‘만들어진 이야기’임을 다시 확인하는 한편, 소설의 상대적 개방성도 재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이종 텍스트들에 내포된 복수적 정치성의 양상을 보다 역동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discuss as to how traumatic experience of Korean War has become narrative as two major genres: memoirs and novels, and how relation between above 2 genres is expressed. Existing studies, which primarily targeted only officially edited memoirs, have their limitations that are unable to approach political meaning of texts as they omitted what are lost “not written”. However,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exts of memoirs and novels by cross-reading them and based on this to expose dynamics of double-genre writing by highlighting novel texts that have been exposing various individual experiences and political pursuits beyond official discourse different from stereotyped Anticommunism narratives of memoirs. There are many cases than we expected: that authors who wrote memoirs of the war re-produced novels based on their memoirs. Among them, this paper primarily describes following novelists: Park Gye Ju, Choi Jung Hee and Kim Gwang Ju.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find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writing of memoirs and novels from corresponding authors and then categorizes them into ‘Politics of layout’, ‘Politics of concealment’ and ‘Politics of identification’. Those 3 authors exposed their own views on Korean War as following: Park Gye Ju, who was the remaining party during 3 months under communists’ reign and provided labor for them criticized the government in connection with treatment of labor givers to the communists, and Choi Jung Hee, who was under same situation as Park Gye Ju, concealed and removed conflicts inside the nation during the war and Kim Gwang Ju, who was a hiding party, highlighted various experiences of Korean War from politician’s to lower class people’s. Consequently, these authors are believed to have realized suppressed narrative desire through novel writing. They appeared sometimes as self-justification or confession of clandestine emotion which were suppressed, or as blame or antagonism against the government or politicians. From this point of view, these novels have characteristics of ‘Supplementary text’ for memoirs. In other words, this paper not only re-affirms that memoirs are ‘Manipulated stories’ but also looks into memory of multi-reality and multi-layered desire of narration for war.

      • KCI등재

        두 개의 이름 사이 :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언어적 혼종성의 문제

        안서현(Ahn, Seo-hyun) 한국근대문학회 2014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5 No.2

        이 논문은 염상섭의 언어 관련 산문에 나타난 그의 언어의식을 추적하고, 나아가 그것이 소설창작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염상섭은 언어를 민족 정체성과 불가분리의 관계를 지닌 매개체로서 이해하고 있었으며, 식민 치하에서의 각종 조선어 규범화 시도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그 과정에서의 민족 주체성에 대해 강조하는 시각을 드러내는 글을 남겼다. 또한 그는 한자의 섣부른 절용이나 폐지를 비판하는 한편 일본식 한자 읽기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등 당시의 식민지적 언어상황에서 ‘한자’라는 언어적 혼종성의 영역이 지니는 의미에 관해 명확한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염상섭은 식민자와 피식민자의 관계 혹은 정체성 정치의 문제를 ‘이름 읽기’의 모티프를 통해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소설적 형상화의 방식을 취한다. 가령「숙박기」에서 조선인의 이름에 대한 일본인의 ‘일본식 한자 읽기’는 그들이 조선인들에게 덧씌우고자 했던 피식민적 정체성이 무엇이었는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한 조선인 인물의 대응은 같은 언어 속의 상이한 맥락의 존재 즉 이중언어성(diaglossia)을 밝히고 단일한 식민담론에 균열을 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1950년대에 창작한 소설 「싹트는 애국심」에서는, 조선의 한 중학교에 ‘낯선 이름’으로 침입하여 기존의 민족적 통치 질서를 부정하고 착취와 억압의 식민적 지배 질서를 정당화하고자 하는 식민자들을 형상화하며, 그들의 이름에 대한 ‘조선식 한자 읽기’를 통해 감추어져 있는 식민자의 정체성의 실체를 폭로하고 있다. 이 역시 식민지적 이중언어성을 활용하여 거둔 텍스트의 정치적 효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observe a language attitude of Yeom Sang-seop and discuss as to how it was reflected for his novel writing. Yeom Sang-seop had paid much attentions to language problems in preservation of ethnicity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and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ethnicity since the liberation. Therefore, he expressed lots of interests in language standardization issues and participated in disputes over those issues himself. Under these controversial issues, he had a clear view on subtle existence of language mixture from ‘Hanja (Chinese character)’ under colonial bilingual environment arguing that there were some negative effects caused by Japanese reading method of Hanja and its education while he also suggested Hanja shouldn’t be abolished. And Yeom Sang-seop represented this struggle for language appropriation using ‘Hanja’ between colonial rulers and subordinates. For instance, Yeom, from his novel “A Record of Lodgement”, showed Chosun identity discourse that Japanese intended to paint on people of Chosun from ‘Japanese reading method of Hanja’. Moreover, one of his novels “Sprouting patriotism” written in 1950s showe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olonial power with ‘Chosun type of Hanja reading’. Indication and exposure of language mixture and colonial diaglossia from ‘Byun Chang Gil’ or ‘Han Sang’ in each novel created a crack of singe voice of a single colonial ruler.

      • KCI등재후보

        스토리와 디스플레이

        안서현(Seo-hyun Ahn)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22 횡단인문학 Vol.11 No.1

        콘텐츠의 창작과 소비 형태를 결정하는 플랫폼의 힘은 웹툰과 같이 태생적으로 플랫폼에 의존성이 큰 서사 양식에 있어 더욱 크게 작용한다. 플랫폼에서 어떤 형식을 지원하고, 나아가 권장하느냐에 따라 웹툰의 생태계는 변화한다. 네이버 플랫폼이 모바일 이용자 수 증가를 고려하여 도입한 컷툰 형식은 기존 웹툰과 다른 서사적 원리에 기반해있다. 컷툰은 독자로 하여금 컷이라는 분절적인 이야기의 단위를 통해 스토리를 접하게한다. 이러한 특성은 컷툰이 기존 출판만화와도 호환성을 갖는 한편, 몽타주 등 컷의 영화적 활용 가능성을 통해 영상 매체와도 친연성을 갖는 바탕이 된다. 독자의 댓글을 위한 공간 역시 분절됨으로써, 한편으로는 더 즉각적이지만 한편으로는 더 의식적인 댓글참여 환경이 마련된다. 따라서 컷툰은 기존 출판·영상 매체에 익숙한 독자와 웹·모바일문화에 친근한 독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웹툰의 한 진화형이라할 수 있다. 이동건의 <유미의 세포들>은 전통적인 만화의 매력을 살리면서도 컷툰의형식에 적응한 대표적인 웹툰으로, 이 작품의 분석을 통해 컷의 코믹스적 활용, 영화적활용, 그리고 댓글을 통한 독자와의 협상 기능 활용을 통한 컷툰의 서사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ower of the platform, which determines the form of content creation and consumption, plays a greater role in narrative styles that are inherently platform-dependent, such as webtoons. The ecosystem of webtoons changes depending on which formats are supported and recommended by the platform. The cuttoon format introduced by the Naver platform in consideration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obile users is based on a narrative principle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isting webtoon. Cut-toon allows the reader to experience the story through the segmental unit of story called cut. These characteristics are the basis for having compatibility with existing published comics, while also having affinity with video media through the possibility of using cuts such as montages for cinematic purposes. The space for readers' comments is also segmented, creating an environment for more immediate but more conscious comment participation on the one hand. Therefore, cuttoon can be said to be an evolved form of webtoon that can provide attractive content to both readers familiar with the existing publishing and video media and those familiar with web and mobile culture. Lee Dong-gun's <Yumi's Cells> is a representative webtoon that adapts to the cut-toon format while retaining the charm of traditional comics and it shows narrative potential of cuttoons through the use of features of the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최인훈의 소설에 나타난 서구 근대 자아관의 변주와 비판

        안서현(Seo-hyun Ahn) 숙명인문학연구소 2023 횡단인문학 Vol.14 No.-

        최인훈의 「가면고」는 전후 한국인의 자기 찾기라는 소설적 과제를 추구한다. 이 이야기는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과도 같은 르네상스 인들의 자아 완성의 꿈이라는 주제를 다루면서 자신에 대한 충실을 강조하는 서구적 자아관을 끝까지 추구하면 자기 분열과 타자 소외의 비극으로 귀결된다는 도리언 그레이의 시행착오도 참조하여, 이를 뒤집은 속성의 자기 탐구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결말에서 불교적 해탈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서구 근대소설의 자기 탐구라는 주제를 동양적 자기 구도(求道)로서 완결하였을 뿐 아니라, 형식적으로도 자기 발견의 행로를 중심에 둔 서구 근대소설의 전형적인 서사구조와는 차이가 있는 변신・해탈의 극적인 이야기를 산출함으로써 문화적 탈식민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최인훈은 이 이야기의 바깥에 이러한 결말을 다시 비판하는 액자를 덧씌움으로써 서양 대신 동양이라는 단순 논리에서 벗어나 중층적인 상호 비판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문화적 탈식민이라는 과제의 복잡성을 보여주고 있다. Choi In-Hoon's “Thought on the Mask” pursues the novelian task of postwar Koreans' self-discovery. This story, like The Portrait of Dorian Gray by Oscar Wilde, deals with the theme of Renaissance people's dream of self-fulfillment and shows that pursuing the Western self-concept emphasizing faithfulness to oneself to the end will result in the tragedy of self-division and alienation of the others. By referring to Dorian Gray's trial and error, it suggests a process of self-exploration of properties that reversed it. An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self-liberation from Buddhism in the ending, the theme of self-exploration in modern Western novels was completed as an oriental self-discovery, and formally, the possibility of cultural decolonization is discovered by producing a dramatic story of transformation and self-liber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typical narrative structure of a modern Western novel. Lastly, Choi In-hoon shows the complexity of the task of cultural decolonization, which must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layered mutual criticism, breaking away from the simple logic of the East instead of the West by overlaying a frame that criticizes this ending again outside the story.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내 공공체육시설 위치 추천

        임주영 ( Joo-young Lim ),팽소연 ( So-yeon Paeng ),이가은 ( Ga-eun Lee ),이찬녕 ( Chan-nyoung Lee ),구재성 ( Jae-sung Koo ),안서현 ( Seo-hyun Ahn ),강민지 ( Min-ji Kang ),김진 ( Jin Kim ),이지항 ( Jee Ha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2020년 기준 자치구별 공공체육시설의 개수를 분석하고, 도출된 서비스 지역 적정 개소 수를 기준으로 추가 설치가 필요한 자치구 내 입지를 예측하였다. 기존 공공체육시설 수와 선행연구의 입지 지표를 활용해 회귀분석을 바탕으로 유의한 입지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변수로 한 k-means 군집화를 통해 자치구별 입지 후보군이 될만한 행정구역상 동을 구분하였다. 이후 선정된 행정구역 내 기준 인구 당 공공체육시설 비율이 같아지도록 공공체육시설 설치 개수를 결정한 다음 각 구역의 중심점으로부터 가까운 동 순으로 공공체육시설의 추가 설치가 필요한 동을 선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