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율적 교수-학습을 위한 에듀넷 컨텐츠 활용

        안명숙,김종훈,Ahn, Myung-Sook,Kim, Jong-Hoo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7 No.2

        The Ministry of Education gives increasing weight to ICT-in education to produce creative and positive people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21st century's Information Age. The use of ICT in teaching-learning process aims largely to facilitate the creative thinking and diverse learning activities of students to help achieve learning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ort out what's available for teaching- learning activities from among Edunet contents for teacher and to assist teachers to have easier access to them, as ICT-in education gains in importance. And it's found that this attempt would serve to make Edunet more accessible even to teachers who are not acquainted with ICT, and learning effectiveness would be greater by integrating well- organized and well-selected ICT-in education into academic education. Furthermore, this would enable teachers to have better computer skills and teach students with more confidence.

      • KCI등재후보

        전남지역 출토복식 일례에 관한 연구 -16세기 상산김씨 김세유 묘, 문화유씨 유사경의 어머니 묘 출토유물-

        안명숙 ( Myung Sook An ) 남도민속학회 2009 남도민속연구 Vol.18 No.-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출토복식은 16세기 복식으로 출토유물의 수량은 적으나 그 시대의 중요한 특징을 나타내는 철릭과 방령반비이다. 같은 묘에서 출토된 유물은 아니나 시대가 비슷한 16세기로 그 시대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출토 당시 상태는 양호했으나, 출토 후 곧바로 수거 및 처리 작업에 들어가지 못해 상당한 부분 손상이 되어 있어 대부분의 옷을 수거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출토 철릭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중깃이 아닌 둥그레깃이고, -거의 1:1 비율에 가까운 상의와 하상의 비율, -직선에 가까운 소매 형태, -0.1~0.2cm 정도의 고운 주름 간격, -대부분의 홈질과 깃, 옷의 가장자리에 곱게 된 상침바느질 등 조선시대 중기 양식을 나타낸다. 방령반비는 15세기 이전과 18세기 이후에 나타난 적이 없는 의복으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중깃과 섶을 연결하는 덧단, -앞이 길고 뒤가 짧은 형태의 앞뒤 길이 차이 등 이 시대의 양식을 또한 잘 나타낸다. The excavated costume, that we are studying about, is from 16th century and excavated relic numbers are very rare, but it shows the important features that are Chul-rik and Bangyung-Banbee. This relic is not from the same tomb, but its also from around 16th century which shows the right time of the feature. Its condition was fine when it was excavated, we didn’t deal with it and collect it right away, so it was damaged a lot. excavated of Chul-rik’s features are listed as below. -it is not double collared, it was rounded. -its ratio was almost close to 1:1 of upper garment and lower garment. -sleeves were formed as close to straight lines. -pleat intervals were really neat as 0.1~0.2cm. -most of broad-stitchings, collars, and the costume’s decorative saddle stitching edges are showing the Chosun dynasty’s middle style. The features of Banryung-banbee which hasn’t showed up before 15th and after 18th century are listed as below. -square neckline was formed by doulbe collar, gusset was hung on top, and the sleeves were in half. -also the front side was longer than the back side. These are describing(showing) the style of the Chosun dynasty specifically.

      • KCI등재

        전남 곡성군 장흥마씨 출토여복에 관한 연구

        안명숙 ( Myung Sook An )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0 No.-

        광주, 전남지역에서도 많은 출토복식들이 출토되었으나, 그 동안의 분묘에서는 염습상태를 알 수 없이 의복만을 수습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처음으로 본 유물을 통해 완전한 형태의 의복을 수습할 수 있어 염습상태를 알 수 있게 해 주었다. 습의로 사용된 복식의 종류를 살펴보면 바지 3, 치마 1, 저고리 4, 장의류 5(형태 파악이 어려우나 장의로 보이는 것 2점 포함), 버선 1, 습신 1 등 총 15종과 대렴금, 소렴금이 있다. 조선 초기 양식인 목판깃, 직배래, 개당고형과 합당고형 바지의 공존 출토, 안자락쪽을 향해 주름을 잡은 치마 등이 특징이다. 장의는 5점으로 모두 겉섶은 이중섶이고 안섶은 단일섶으로 된 장의의 전형적인 특징을 하고 있다. 저고리는 총 4점으로 소색무명홑저고리는 적삼으로 보이며 길이가 다른 옷에 비해 50cm로 짧았으며, 무와 곁무가 없었다. 평상시 입었던 옷이나, 습의로 사용해야 하므로 철저하게 장의나 저고리 등에서 고름과 동정은 모두 떼어서 없이 시용하였다. Although there were many costumes that were excavated in the tombs in Jeonnam Gwangju, only the clothings were excavated which were unable to define the state of shroud. The relics that were seen at the beginning made it available to collect a complete form of costumes making it able to define how the dressing of the corpse was like. The clothing that were used in shrouds has 15 different types of clothing including three trousers, one skirt, four Korean jacket, 5 jangui (including two which can not be defined but appears to be jangui), Korean socks, one shoes, and also big bed clothes and small bed clothes. The unique things were Mokpan git, straight barae which were early Chosun type of clothing, opened and unopened pants, and skirts that were folded inside. The Jangui has five clothes and all the outer layers were double subed and all the inside layers were single subed which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a jangui. The korean jacket had 4 clothings in total and the Sosaekmyumyung korean jacket seemed to be Juksam and the length was short about 50cm compared to other clothings and there were no existence of Me and side Mu. It was used for casual clothing or shroud so the costumes were used without coat string and callar strips.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중기 출토복식 중 포류에 관한 연구 -광주,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안명숙 ( Myung Sook An ) 남도민속학회 2012 남도민속연구 Vol.24 No.-

        광주·전남지역의 출토유물은 2000년도 전까지만 해도 출토유물 수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2000년도 장택고씨 고운 분묘 출토 이후 거의 매년귀중한 출토 분묘들이 발굴되고 있어. 지금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도 출토유물 수량과그 종류도 꽤 많은 편이 되었다. 금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출토유물 중 조선중기에 해당하는 59점의 포류 양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총 출토포류로는 단령 3점, 직령은 12점이나 김덕령장군의 직령 2점은 정확한 것을 알 수 없어 총 10점, 철릭 14점, 창의 18점, 도포 1점, 답호 3점, 장옷 6점, 전복3점, 방령반비 1점으로 총 59점이다. 직령, 창의, 답호 등의 직령교임 형태의 깃모양의 형태를 띈 의복의 공통점은 깃형태, 소매형태, 섶, 무형태 등에서 공통적인 양상을 띄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칼깃과 통수형소매, 이중섶, 옆막힘형과 옆트인형의 무형태 등에서도 시대적 공통적인 양상이 나타났다. 철릭의 주름너비와 상의 하상의 비율도 조선시대의 의복 특징을 잘 나타내었다. 가장 다량 출토된 창의류는 구성과 종류면에서 다양하였고 소매형태와 무의양식 면에서도 다양한 종류가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방령반비나 전복 등도 있어 다양한 의복 종류가 있었다. 모든 포의 소매형태는 초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통수형에서 곡선화된 소매배래 형태가 나타나고 후기로 갈수록 두리소매로 변화되는 양식이다. Before 2000, the number of excavated costumes from Gwangju·Jeon-nam area were fewer than excavated costumes from other region. However, Jang-teak Go``s go-un tomb was excavated in 2000, and there are many relics that have excavated from the go-un tomb. As a result, the number and type of excavated costumes from Gwangju·Jeon-nam area has been increased. In this study, 59 relics from mid-Joseon were studied. Relics that were studied include 3 Darnryung, 14 Cheolrik, 18 Chanjui, 1Do-po, 3 Dap-ho, 6 Jangot, 3 Junbok, 1 Bangryung Banbi, and 12 Jikryung. Two costumes from Kim Duk ruing General are ambigous in its shape so are considered as Jinkrung. Sub and shape of collar, sleeve, and mu are the common features of Jinkyung-gyoim type of costumes such as Jikryung, Chanjui, and Dap-ho. Characteristic of Joseon period are revealed well in kal-kit, tongsu-shape sleeve,double sub, side-obstruct type, and side-open type of mu. The ratio between pleat width, upper jacket, and lower skirt in Cheolrik reveals the characteristic of costumes in Joseon. Excavated Chanjui have the most diverse kinds and constructions among other costumes. Other than the costumes mentioned above, there also are Bangryung Banbi and Junbok. As time went from early to late period of Joseon, Shape of sleeve was changed from straight sleeve berea to the curved sleeve berea and changed to duri sleeve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멘토링이 조직유효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안명숙(An, Myung-sook) 청운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15 관광산업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n bo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verify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During the research, the mentoring function is set as career development function and psycho-social func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represent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Job performance is equated with in-role performance and extra-role performance. The research data are obtained through a survey targeted for 266 flight attendants of an airline company with well-established team system. The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psycho-social function was on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of new flight attendants. Career development function of mentoring and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nd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 however psycho-social function was incapable of providing adequate explanation for these work outcomes. Team members’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fun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Considering the results, team leader should apply appropriate the mentoring function to new flight attendants in order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nd reduce turnover inten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of mentoing function of new flight attendants in association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job performance are discussed.

      • KCI등재

        광주 한복 산업 집적지의 혁신 역량과 활성화 정책 평가

        안명숙 ( An Myung-sook ),허승연 ( Heo Seung-yeun ) 남도민속학회 2019 남도민속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한국 한복 산업 집적지 중 광주광역시 충장로에 집적되어 있는 한복 집적지의 혁신 역량을 고찰하고, 지역 한복업 집적지의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해 온 소상공인진흥공단의 소공인특화지원사업 정책의 성과를 파악하여 광주 한복산업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광주 한복 소공인특화지원센터에서 지원하고 있는 집적지의 한복업체 소공인대표 32명을 대상의 설문조사 실시를 통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 한복 집적지의 혁신 활동을 파악하고 둘째, 광주 한복 집적지의 혁신 네트워크를 파악한다. 셋째, 광주 한복 소공인특화지원사업의 개요를 파악하고 넷째, 광주 한복 소공인특화지원사업을 통한 활성화 정책을 단계적으로 평가 분석한다. 다섯째, 앞으로 한복산업 활성화를 위해 광주 한복집적지와 한복센터의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광주광역시 한복 소공인특화지원센터는 2015년에 시작하여 2019년 현재 5차년도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조사대상 32개 업체 중, 1차 년도에는 24개사가 참여하여 75% 참여율을 나타냈고, 계속 증가하여 4차 년도에는 32개사가 참여하여 100% 참여율을 보이고 있으며, 모든 업체가 혁신활동을 수행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집적지 한복업체들의 혁신 활동 중 기술혁신 실태조사 결과, 기존 전통한복 제품 개선이 46.9%로 가장 많고, 신한복을 중심으로 한 신제품 개발이 28.1%, 유통·판매·홍보·마케팅 개선이 15.6%, 기존 생산 공정 개선이 6.3%, 신 생산 공정이 3.1% 순으로 나타났다. 기술혁신의 장애요소는 연구개발에 필요한 자금 부족이 40.6%로 가장 높았고, 연구개발 수행인력 부족이 28.1%, 혁신에 필요한 지식 및 정보 부족이 21.9%, R&D 설비 및 기자재의 부족이 6.3%, 기업의 혁신마인드와 혁신지원기관과의 교류, 타 기업과의 협력기회 부족이 각각 3.1%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복 소공인특화지원센터 사업은 2015년도에 8개 프로그램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10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4년간의 집적지 소공인 업체 만족도를 5점 척도 기준으로 살펴보면 교육 프로그램이 4.25%로 가장 높은 만족률을 나타냈고, 마케팅 활동이 4.17%, 지역사회봉사 및 시민참여가 4.15%, 네트워크 구축이 4.1%, 컨설팅이 4.09%, 작업개선이 4.01%, 브랜드화와 홍보가 각각 3.98%로 동일했고, 판로개척이 3.82%, 수출이 3.49% 순으로 나타났다. 사업 중 판로개척과 수출에 대한 만족률이 낮은 이유는 소공인들의 고령화와 디지털 정보화인 사회적 시류에 따른 현대인의 소비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온라인 유통 혁신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되었으며, 한복이라는 제품의 특수성과 해외 소비자들의 인식 미흡으로 인한 것이라 파악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ability of the Hanbok Industrial Cluster in Chungjang-ro, Gwangju Metropolitan City, which is one of Hanbok Industrial Clusters in Korea. It also investigate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Hanbok Industry by understanding the achievements of the Small Manufacturer Specialized Support Center policy that promotes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the Hanbok Industrial Clusters. There are five main points in this study. First is to identify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the Hanbok Cluster in Gwangju. Second is to identify the innovation network. Third is to understand the overview. Fourth, to evaluate and analyzed the revitalization policy through the Hanbok Center project in Gwangju by steps. Fifth, to examine the role of the Hanbok Center in Gwangju for revitalization of Hanbok industry in the future. The Hanbok Center in Gwangju started in 2015 and has implemented its fifth-year project as of 2019. Of the 32 companies surveyed, 24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first year and represented 75% participation. In the fourth year, 32 companies participated and showed 100% participation rate. All companies answered that they had carried out innovative activities. The result of the factual survey about technological innovation showed that improvements of the existing traditional Korean clothing products (46.9%), development of new products based on New Hanbok (28.1%), improvements in distribution, sales, promotion, and marketing (15.6%), improvements in the existing production process (6.3%) and development of new production process (3.1%). The obstacl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were shortage of funds needed for R&D (40.6%), lack of R&D workers (28.1%),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needed for innovation (21.9%), lack of R&D facilities and equipment (6.3%), lack of exchanges with support organizations and lack of innovative minds (3.1%) and lack of opportunities with other companies (3.1%). The Hanbok Center project was launched in 2015 with eight program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mall manufacturers since 2015 is the education program (4.25), marketing activities (4.17), community service and civic participation (4.15), build of network (4.1), consulting (4.09), improvement of work line (4.01), branding and promotion (3.98), improvement of sales (3.82) and exports (3.49). The reason of low satisfaction rate at sales and exports is because of the aging of small manufacturers. They have difficulties to read the consumption trend of people and to follow the social trend of digital information society. Lack of online distribution, the specificity of Hanbok products and insufficient awareness of foreign consumers are main reasons.

      • KCI등재

        전남 영암군 출토 포류의 봉제구성법에 관한일례(一例) -나주임씨와 제주양씨 분묘 출토 포류를 중심으로-

        안명숙 ( Myung Sook An )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0 No.-

        본 출토복식은 나주 임씨 임연(1587~1654)과 제주양씨(1589~1687)의 것으로 전남영암군 시종면에서 발견되어 2012년 5월 21, 22일 이틀에 걸쳐 수습이 되었다. 출토 포류중에는 수의로 입은 것도 있고 보공용으로 일상시 입었던 포들도 있다. 제주 양씨는 나주 임씨 임연의 재실이다. 옷의 구성은 홑옷, 겹옷, 솜옷, 솜누비옷 등 다양하였으며, 나주 임씨와 제주 양씨의 포류에 사용된 바느질은 옷의 구성에 상관없이 홈질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꼼꼼하게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인 깃, 무 등에는 온박음질을 사용하였다. 두 출토복식의 바느질법에 특별한 차이는 없었다. 부위별 바느질을 정리해 보면 깃 바느질은 주로 온박음질이 사용되었고, 섶은 홈질이 주로 사용되었다. 솔기방향은 겉섶, 안섶 모두 길쪽으로 된 것이 많았고, 등솔은 홈질로 바느질되었고, 입어서 오른쪽으로 솔기 처리를 한 것이 많으나 등솔이 골로 된 것도 있었다. 도련의 단처리는 겉감과 안감을 단없이 바로 연결한 것이 가장 많았으며, 도련의 바느질은 대부분 홈질로 하였다. 무는 삼각무와 함께 힘을 많이 받는 곳이므로 고운 홈질과 온박음질로 하였다. 고름은 솔기 방향이 위로 향한 것과 아래로 향한 것이 혼용하여 달린 것이 대부분이고, 긴고름과 짧은 고름이 반대로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누비는 고운 누비가 아니고 바늘땀이 위로 드러나기보다 안으로 바늘땀이 긴 누빔바느질로 하여 누빔도 예쁘지 않았으며 누비간격도 컸다. 다른 분묘들의 누비 바느질보다 정교하지 않았다. These excavated costumes are found at Yeongam, south Jeolla province and collected from May 21 to 22, 2015. They are belong to Naju Lim and Jeju Yang. Some costumes are shrouds and some are everyday dresses. There are various types of costumes such as unlined clothes, lined clothes, padded clothes, and quilted clothes. Most of Po were made by broad-stitching. For Kit(collar) and Moo(gusset) which needs firmness, backstitch was used. There is no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m. Different sewing skills were used depending on the parts of costumes. Mostly backstitch was used for Kit while broad-stitching was used for Sub. Most seams were headed to the bodice. Dengsol were made by broad-stitching and most seams were headed to the right. Some Dengsol was not having cut. Lining and upper fabric of trim was connected without hem and broad-stitching was used. Moo as well as triangle Moo which needs firmness were made by broad-stiching and backstitch. Both upturned and downturned seam were used for coat-string and long and short coat-string were exchanged in some costumes. Stitching for quilting did not come into view and quilting intervals were broad. Stiching was not elaborate compared to other costumes excavated from other grave.

      • KCI등재

        비장애 기독대학생의 장애에 대한 인식변화

        안명숙(Myung-Sook Ahn)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2 No.-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 기독대학생이 장애인 친구와의 관계성을 통해 경험하는 중심현상과 적응의 형태를 밝히고, 인식변화의 과정을 발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중심현상은 ‘다름의 발견’이고, 적응 형태는 ‘연민형’, ‘갈등형’, ‘친구형’, ‘연결형’, ‘확장형’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 ‘다름의 발견’에 대하여 참여자들이 반응하는 중심 주제, 즉 핵심범주는 장애에 대한 ‘인식의 변화’이다. 인식의 변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비장애 기독대학생의 장애인식은 시간의 흐름 속에 중재조건의 영향을 받아 ‘위계적 인식’에서 ‘공동체적 인식’으로 변함을 알 수 있었다. 장애에 대한 인식변화와 관련하여 인과 조건인 ‘직접적인 접촉’ 개념에 대하여 논의하고, 장애인 목회상담의 유의점으로 ‘직접적인 접촉’과 ‘공동체적 관점’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changes in a non-disabled christi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disabilities through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disabled friends.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with ten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within the qualitative method. From the analysis, a “discovery of difference” was presented as a core phenomenon of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disabled friends, which was implicative of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minorities in us. These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using five strategies in dealing with the core phenomenon, which were the following: “help,” “conflict,” “friendship,” “connection,” and “expansion.” Through the data analysis “change of perception” emerged as a core category. The perception change process was discovered to have two phases, which were the following: the “hierarchical perception phase” and the “community-oriented perception phase.” Finally, this article proposes that a direct contact with the disabled is necessary to solve unequal systemic problems of contemporary society. Furthermore, it proposes that pastoral counselors must encourage the belief that the disabled are on the same side through a systemic perspective as well as direct contact.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조선시대 초기 출토복식의 구성법에 관한 연구 -광주 민속박물관 소장 고운(高雲) 출토 포류를 중심으로-

        안명숙 ( Myung Sook 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2 No.-

        본 연구에서는 조선 전기의 포류 바느질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포류 12점 -직령 2점, 단령 1점, 철릭 6점, 답호 3점-에 대해 이 당시 홑옷, 겹옷, 솜옷, 누비옷 등 구성유형별 바느질법의 특징과 등솔, 배래, 바대, 깃 등 부위별 바느질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구성유형별 바느질의 특징을 살펴보고, 소재별로 부위가 같은데 바느질법이 다른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부위별 특이한 부분 바느질이 행해진 것이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부분인 지 등을 살펴봄으로써 이 당시 바느질법을 살펴보았다. 고운 출토복식에서 출토된 포류는 옷감이나 바느질 등 상태가 양호하여, 구성법 연구에 도움이 되었다. 홑옷은 주로 푸서인 경우는 옛쌈솔이 많이 사용되었고, 가진세를 사용한 부위는 박음질이나 반박음질을 한 후 가름솔로 처리하였다. 가진세를 아무 바느질도 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홑옷은 홑옷인만큼 바느질도 정교하고 겉에서 다 보이는 바느질이므로 겹옷이나 솜옷보다는 바느질법도 더 곱고 섬세하게 처리하였다. 어깨바대, 옆선바대, 허리바대 등은 홑옷이라 힘을 주고 견고하게 하기 위해 홑옷에만 처리하는 부위별 특징으로 대부분 겉에서 드러나도록 상침식 박음질하여 곱게 처리하였다. 의복의 가장자리도 도련단, 겉섶단, 안섶단 등 전체를 둘러 제물단이나 딴단을 사용하여 보강하였고 안으로 접어 넣어 감침질하였다. 홑옷의 주된 바느질인 옛쌈솔과 상침바느질, 식서를 그대로 가장자리로 활용하는 처리 등은 특이한 바느질법이었다. 겹옷은 대부분 홈질로 바느질하였고, 겉감과 안감을 고정시키기 위해 소매부리, 깃, 도련단, 겉섶단, 안섶단 부분 등에 2땀과 3땀 상침을 가장자리 중심으로 해 주었다. 겹철릭 등에 주름을 잡은 모습은 0.3㎝ 정도로 홑옷 못지않게 아주 정교하다. 솜옷은 솜의 두께로 고운 바느질보다는 주로 홈질로 처리하였고, 솜옷을 고정시키기 위해 역시 도련, 소매부리, 깃 부분 등에 상침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sewing method of the Po`s in the early Chosun period in priority. The research is about one-layer, two-layer, cotton clothes, quilted cloth in cateogories such as Po`s 12 pieces, Juk-Ryung 2 pieces, Dan-Ryung 1 piece, Cheol-rik 6 pieces, and Dap-Ho 3 pieces during the Chosun Period, and also the defferent types of sewing methods categorized by strcture-type. Furthermore, the research focuses on different method of sewing in different parts of the clothes such as Deng-sol, Bae-rae, Ba-Dae, Kit(collar) etc. The one layered cloth with a frayed end used flat felled seam, and the ones with selvage used backstitch or half backstitch and was arranged with open seam. The neckband sewed in unlined garments, a side line band sewed in unlined garments, waistband sewed in unlined garments are only found in one layered cloth, and decorative saddle stitching was used to make it look beautiful and also was stiched with strength and made sure it was firm. The edges of the clothes including the hem line, outer collar line, and inter collar line was reinforced with same cloth or different cloth, and was stitched by inserting it towards the inside. The use of flat felled seam, decorative saddle stitching, and elvage on the edges was a very unique style of stitching. The two layered clothes used broad stitching, and the edge of the sleeve, collar, hem line, outer collar line, inner collar line used two stitches, three stitches, decorative saddle stitches was used in the edge in order to hold the outer cloth and the inner cloth together. The pleats in the double cheol-rik had a distance of 0.3cm, and was precise as much as the one layered cloth. The cotton clothes used big stiches instead of using elaborate stitches due to the thickness of the cotton. Also, decorative saddle stitch was used in the edge of a sleeve, collar, and hem in order to hold the cotton cloth in 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