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추사의 서예인식과 그의 행서특징 연구

        심현섭(Sim, Hyun-sup) 한국서예학회 2014 서예학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추사 김정희의 서예인식과 그의 행서체에 대한 조형적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핵심 내용은 추사의 서예인식과 심미의식 및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白坡碑-陰記>와 <蕅樞續展>이라는 간찰의 서체미를 점획ㆍ결구ㆍ장법으로 나누어 분석한 것이다. 추사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자랑스럽게 내놓을 수 있는 가장 뛰어난 예술가의 한 사람이다. 금세기 들어 일어난 한류열풍이 더욱 확산 지속되기 위해서는 우수하고 아름다운 우리만의 전통문화가 튼실하게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면에서 추사의 서예작품은 매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추사는 서예라는 독특한 예술장르를 통해서도 유학의 본령인 聖門의 최고 경계에 도달할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보여주었다. 추사는 최고의 예술적 심미경계는 神妙한 기운이 깃든 예술작품에서 발현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그의 서예인식과 심미의식은 예술에 대한 동양전래의 '道本文末'적 패러다임을 바꿔놓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추사행서의 점획은 기본 필법을 충실하게 지키며 조금도 소홀히 처리한 부분이 없다. 太細長短의 변화가 매우 크며 금강력사가 쇠공이를 들고 모래사장을 긋는 듯한 剛健美를 보여준다. 추사행서의 점획은 陰柔美보다는 陽剛美가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결구의 특징은 보편적으로 상부는 소원하고 하부가 조밀하며(上疎下密), 좌부는 짧고 우부가 긴(左短右長) 결합 형태를 보여준다. 기둥 획은 매우 굵고, 두 직획이 있는 경우 좌획 보다 우획이 굵으며, 왼쪽이 짧으면 위쪽이 가지런하고 오른쪽이 짧으면 아래쪽이 가지런한 결구의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대체로 그렇다는 것일 뿐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추사는 전체의 아름다운 조화를 가장 우선시하였다. 진정한 추사행서의 결구미는 이런 점에 존재한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추사행서의 장법 특징은 자간은 조밀하고 행간은 넓으며 글자의 크기 변화가 매우 심하면서도 전체가 잘 어울리는 영활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특히 글자의 대소차이는 거의 5:1 정도나 되는 경우도 흔하며 필획의 태세 또한 그 변화무쌍함이 범인의 상상을 초월한다. 각 행의 중심축선은 대개 수직을 이루지만 자연스럽게 약간의 流動性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심미적 요소들이 한 화면에 종합적으로 어울릴 때 추사의 작품은 빛이 난다. 이에 해당하는 작품이 <백파비>와 <우추속전>이라 할 수 있다. 추사 행서의 장법미는 大小廣狹의 靈活美가 발현된 최고의 심미경계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이러한 일련의 추사행서의 특징은 그의 '格聖門論'적 서예인식과 '致神妙境'적 심미의식이 점획ㆍ결구ㆍ장법에 골고루 발현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추사체의 가치는 무조건 추사의 진적이라고 해서 인정받을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추사체의 면모가 확실하고 또 수준 높게 발현된 작품만이 진정한 추사체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study Chusa Kim Jeonghui's calligraphy awareness and formative features about his Haengseoche. The core contents are to analyze Chusa's calligraphy awarenes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and calligraphic aesthetics of Ganchal (letters) called <Baekpabi-Eumgi> and <Woochusokjeon> that can be called as major works by classifying them into tittleㆍstructureㆍ composition technique. Chusa i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artists who can be presented proudly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In order to further spread and sustain the Korean Wave that happened in this century, our own excellent and beautiful traditional culture should support it solidly and Chusa's calligraphic work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at respect. Chusa showed an unshakable faith that one can reach the highest level of the holy gate, the specialty of Confucianism through the unique genre of art called calligraphy. Chusa thought that the highest artistic aesthetic level is expressed from art works with mysterious aura and his calligraphy awareness and aesthetic awareness became a great opportunity to change the 'Dobonmunmal (A literature is just a tool to express the truth)' paradigm that has been handed down in the East about art. The tittle of Chusa HaengSeo is to faithfully keep the basic calligraphic technique and never treats any trivial part carelessly. Taesejangdan (Large, thin and long, short) varies greatly and it shows the sturdy beauty like Vajrapani draws the sandy beach with his iron pestle. It can be said that strong yang beauty is more remarkable than yin soft beauty in the tittle of Chusa HaengSeo.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show the combined form that the upper part is distant, the lower part is dense, the left part is short and the right part is l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are as follows; The column strokes are very thick and if there are two straight strokes, a right stroke is thicker than a left stroke and if the left is short, the upper side is even and if the right is short, the bottom is even. However, this is often the case, but not always. Chusa gave priority to beautiful harmony of the whole. It will be right to say that true structural aesthetics of Chusa HaengSeo lies in this point. The features of the composition technique of Chusa HaengSeo show the wonderful beauty that space between letters is dense, space between the lines is wide, the size of letters varies greatly and the whole is harmonized well.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large and small size of letters is almost 5:01 and the types of strokes or ever-changing are beyond the imagination of ordinary people. The central axis of each line usually forms perpendicularity but often shows slight liquidity naturally. When these aesthetic elements are comprehensively harmonized in a picture, Chusa's works shine by themselves. <Baekpabi> and <Woochusokjeon> can be said to be the corresponding works. The composition technique beauty of Chusa HaengSeo shows the best aesthetic boundary most satisfactorily in which the wonderful beauty of Daesogwanghyeop (Big, small, wide and narrow) is expressed. We think that the value of Chusache cannot be recognized for a reason that it is just Chusa's real trace. Only works in which the aspect of Chusache is certain and expressed at a high level should be valued as true Chusache.

      • SCOPUSKCI등재

        학동전 아동에서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의 심전도 소견에 따른 유형 및 심초음파 소견

        추정민,심현섭,조수철,주찬웅,Chu, Jeoung Min,Sim, Hyun Sup,Cho, Soo Chul,Joo, Chan Uh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9

        목 적 : 평소 건강한 학동전 아동에서 심전도 집단 검진을 이용한 WPW 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하였고 심전도 이상 소견에 따른 WPW 증후군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심실 및 심중격 운동 이상 소견을 심초음파 검사로 관찰하였다. 방 법: 1999년 4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전북지역 4-7세 사이의 유치원생 77,8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전도 집단 검사에서 WPW 증후군으로 진단된 아동을 대상으로 심전도상 이상 소견에 따른 세부 분류와 심초음파 검사상 심벽 운동의 이상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 과: 총 77,824명 중 WPW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아는 23명으로 유병률은 2.9/10,000명이었다.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5.4세이었고, 남아는 13명 여아는 10명으로 남녀비의 의의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빈맥의 기왕력을 가진 환아는 2명이었으며, 2명의 환아는 남매간으로 가족력 소견을 보였다. Rosenbaum 등에 의한 부전도로 추정 위치에 따른 분류로 A형은 5명(21.8%), B형은 18명(78.2%)이었다. Boineau 등의 분류에 의한 I군 18명(78.2%), IV군은 3명(13.0%), III, V군은 각각 1명(4.3%)이었고, II군은 관찰되지 않았다. Gallagher 등의 분류에 의한 유형 중 1형 4명(17.3%), 2형 12명(52.1%), 3형, 5형, 6형, 10형은 각각 1명(4.3%), 9형은 3명(13.0%), 4형, 7형, 8형은 관찰되지 않았다. 19명의 환아에게 실시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5명의 A형 환아 중 4명의 환아에서 좌심실 후벽의 초기 수축기 전방운동 소견을 보였으며, B형 환아 14명 중 12명의 환아에서 심중격의 초기 수축기 후방운동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 론 : 학동전기 아동에서 WPW 증후군의 유병율은 10,000당 2.9명이었다. 심전도상 부전도로의 위치는 우심실이 우세하여 이전의 보고와 다른 소견을 보였고, 심초음파 검사 소견상 대부분의 무증상 WPW 증후군 환아에서 이상 심실운동 소견이 관찰되었다. WPW 증후군에서 부전도로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비침습적 검사 방법으로 심전도 소견 및 심초음파 검사가 이용될 수 있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ilish the prevalence, clinical features and relationship between ECG findings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s of Wolff-Parkinsion-White(WPW) syndrome in asymptomatic preschool children. Methods : An electrocardiographic screening study was performed on 77,824 preschool children in Jeonbuk province from April, 1999 to August, 2001. Patients with WPW syndrome underwent echocardiographic study. Results : Twenty three patients with WPW syndrome were discovered by electrocardiographic screening of preschool children. The prevalence rate was 2.9 per 10,000 preschool childre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Two patients had a history of symptoms related to tachyarrythmia. According to the ECG classification of Rosenbaum et al., five patients were type A and 18 were type B. Utilizing the criteria of Gallagher et al, right anterior, 12 patients; right anteiror paraseptal, four patients; left anteiror, three patients. Nineteen of 23 patients underwent echocardiographic study. Four of five patients with type A WPW syndrome had abnormal early systolic anterior motion of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Twelve of 14 patients with type B had abnormal interventricular septal motion characterized by early sytolic posterior motion immediately after inscription of the delta wave. Conclusion : The prevalence rate of preschool children in Jeonbuk province was 2.9/10,000. By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the accessory pathway location was dominant right side than left side. In the echocardiographic study, type A WPW syndrome showed abnormal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motion and type B WPW showed abnormal interventricular septal motion.

      •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

        남기춘(Kichun nam),김현정(Hyunjeong Kim),박창수(Changsu Park),황유미(Yumi Whang),김영태(Young-Tae Kim),심현섭(Hyun-Sup Sim)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6 No.1

        본 연구는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연결어미의 효과와 글 읽기 능력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결어미로는 인과 관계와 부가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가 사용되었다. 앞뒤에 제시되는 두 문장의 국소적 응집성(Local coherence)을 형성하는데 연결어미가 도움을 준다면, 연결어미가 있는 경우에 문장을 이해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글 내용을 기억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예측하였다. 만일에 글 읽기 능력이 연결어미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면, 연결어미의 출현 여부와 읽기 능력 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인과 관계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문장 읽기 시간에 연결어미의 출현이 미치는 효과와 문장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인과 관계 연결어미는 뒤의 문장을 읽는데 촉진적인 효과를 주었으며, 이런 연결어미의 효과는 읽기 능력에 관계없이 일관된 촉진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연결어미의 출현은 문장의 회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연결어미가 문장 회상에 미치는 효과는 읽기 능력의 상하에 관계 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부가 관계 연결어미가 문장 읽기 시간과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부가 관계 연결어미 역시 인과 관계 연결어미와 유사한 형태의 효과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인과 관계와 부가 관계 연결어미가 앞뒤 문장의 응집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런 연결어미의 글 읽기에 대한 효과는 글 읽기 능력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