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가격과 기초경제여건의 장기 관계: 우리나라의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심성훈 ( Sung Hoon Sim ) 국제지역학회 2012 국제지역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패널 공적분 검정 그리고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패널 단위근 검정을 이용하여 지역 주택가격과 지역총생산 간의 장기관계를 분석하였다. 횡단면 의존성(cross-section dependence)이 확인된 경우, 이를 고려한 Pesaran의 CIPS 패널단위근 검정을 이용하였다. 기존 패널 단위근 검정의 결과와 다르게 CIPS 검정은 변수들이 불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널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이용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과 패널자기회귀시차(ARDL)모형을 이용하여 계수들의 장기관계를 구체적으로 추정하였다. 먼저 변수들 간에 공적분관계가 형성되며 장·단기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VECM 모형의 오차수정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변수들간의 장기 공적분 관계를 뒷받침하고 있다. 모형의 추정 결과, 장기적으로 주택가격의 상승은 지역총생산을 증가시키며 반대의 관계도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 의해 우리나라 지역 주택시장에서 부의 효과(wealth effect)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과 함께 오차수정항으로부터, 주택 가격과 경제 변수들은 단기적으로는 일시적인 균형상태로부터 이탈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이들 변수는 균형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paper adopts recently developed panel unit root test that is cross-sectionally robust. Cointegration test is also used to find whether regional house prices are in line with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ion (GRDP) in the long run in Korea during 1989-2009. Based on the panel VECM and the panel ARDL models, we examin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estimate the long-run elasticity. We find evidence of cointegration and b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 house prices and GRDP. The results of long-run estimates, using both fixed effect and ARDL models, show that house price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GRDP and vice versa. Together with these results, the findings of ARDL-ECM imply that there exist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house prices and regional economic variables even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short-run deviation from its long-run path.

      • KCI등재

        Testing PPP for Asian Countries Using Panel Cointegration

        심성훈(Sung Hoon Sim) 한국아시아학회 2008 아시아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전통적인 공적분 기법과 최근에 개발된 몇 가지의 패널 공적분에 기초하여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구매력 평가이론이 성립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Johansen 같은 전통적 공적분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여덟 개 실험 국가 중 홍콩과 인도네시아에서 PPP 이론이 성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증 대상국가의 자료를 모두 이용한 패널 분석결과에 따르면, 환율과 상대가격 간에는 공적분 관계가 성립되지 않으므로 PPP 이론을 지지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purchasing power parity (PPP) hypothesis as a long-run equilibrium condition for eight Asian countries, using panel cointegration framework. Additionally, country-by-country test is performed. Out of eight bilateral exchange rates, evidence of PPP is found for two cases under traditional test for cointegration. In contrast, the results from panel framework show no evidence of cointeg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nominal exchange rates and relative prices and thus do not support the hypothesis of the weak version of PPP.

      • KCI등재

        The Export-Growth Nexus: Evidence from Asian NICs

        심성훈(Sung Hoon Sim) 한국아시아학회 2012 아시아연구 Vol.15 No.2

        본 논문은 패널 공적분, 패널 인과관계 및 패널 DOLS 기법을 사용하여 1960~2009년 동안 아시아 4개국의 수출-성장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GDP, 수출, 수입, 자본 및 노동 간에는 장기적으로 공적분 관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패널 인 관계에 의하면 장기적으로 수출과 성장 간에는 양방향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OLS의 추정에 의하면 수출은 경제성장에 양(+)의 영향을 주며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할 때, 아시아 4개국의 경우 수출-성장 및 성장-수출의 가정이 모두 성립함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output for Asian NICs over the period 1960~2009. Our study goes beyond previous studies by using a more recently developed methodology such as panel cointegration and panel causality tests. In additi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GDP is estimated by panel dynamic OLS (DOLS) estimates appropriated for heterogeneous panel. Our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panel models produce a stable long-run cointegration relationship among GDP, exports, imports, capital formation and labor. In addition, the panel causality test with error correction term indicates that there exists a short-run and long-run bidirectional causality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GDP in Asian NICs. Finally, the results of DOLS estimates imply that more economic growth tends to raise the exports and vice versa.

      • KCI등재

        주택자산가치 변동과 부(富)의 효과 - ARDLㆍ한계검정법을 이용하여 : 주택자산가치 변동과 부(富)의 효과

        심성훈(Sung-Hoon Sim) 한국주택학회 2006 주택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1986~2005년 기간 동안 주택가격변동에 따른 주택자산가치 증가가 부의 효과를 통하여 가계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항상소득이론/생애주기이론에 근거하여 소비식을 설정하였으며, 이 식을 다시 ARDL모형으로 변형하여 변수간의 장기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ECM 모형을 통한 단기 동적 조정과정도 분석하였다. 특히 변수들 간의 공적분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기존의 공적분 검증에 따르는 여러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한계검정법을 적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장기적으로 주택자산의 가치가 10% 상승할 때 비내구재 소비는 1.2% 내구재 소비는 2.1% 정도 증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기적으로도 주택자산가치의 변동은 소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는 주택자산과 소비의 상관관계가 단순히 선ㆍ후행 관계를 의미하지 않으며 실질적인 부의 효과를 통하여 주택자산가치의 변동이 소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함의한다. 즉 주택가치의 변화는 단기적으로 여러 거시경제변수처럼 하나의 정보변수로써 소비지출에 대하여 단순히 선행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소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장기는 물론 단기에서도 주택가격의 변동과 이에 따른 주택자산가치의 변화원인 등은 민간소비 나아가 실물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분석하거나 예측하는 데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함의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exists a wealth effect of housing assets on household consumption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employes a bounds testing approach to cointegration. In addition, an ARDL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 ECM (error-correction model) is used to estimate the short-run relations between housing asset value and consumption.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asset value and household consumption, and that the wealth effect of housing asset on household consumption is 0.12 for nondurable goods and 0.21 for durable goods in the long-run.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s not a mere lead-lag relation, but a change in the housing value could be an information variable like other macroeconomic variables and thus affect the household consumption. Therefore, a change in the housing asset values followed by house prices w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analyzing household consumption as well as the condition of real economy both in the long-run and short-run.

      • KCI등재
      • KCI등재

        주택가격 변동성의 특성 및 인플레이션과의 관계

        심성훈(Sim, Sung Hoon) 한국부동산학회 2010 不動産學報 Vol.41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ation hedging effectiveness of housing in Korea, Hong Kong, and Singapore.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conditional hetero-risk on housing return and the influence of asymmetric information on conditional risk based on the EGARCH model. (3) RESEARCH FINDINGS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housing returns and expected as well as unexpected inflation only m Korean housing market, proving the effective inflation hedge of Korean hosing investment. Second, there does not exist the effect of unsystematic risk on housing returns. Finally, contrary to the stock market, the positive asymmetric leverage effects are found in Korean and Singapore housing market. This implies that the housing return volatility becomes larger in response to good news than to bad news. As a possible explanation on this result, we may consider the downward rigidity of house prices which stern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such as production of residential service itself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 and rental market. 2. RESULTS The effective inflation-hedging ability suggests that the investors would better contain the Korean housing properties in order to avoid erosions of the real returns invested due to the inflation risk. Furthermore, the positive leverage effect indicates that the housing properties can be included in a portfolio with other assets.

      • KCI등재

        Panel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House Sales Prices and Trading Volume

        Sim, Sung Hoon(심성훈) 한국부동산학회 2015 不動産學報 Vol.63 No.-

        1. 내 용 (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패널 분석에 기초하여, 2006~2015년 동안 우리나라 15개 지역의 아파트 실거래가격과 거래량의 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CIPS 패널단위근 검정법에 기초하여 공적분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단기뿐만 아니라 장기에 있어서 패널 인과관계를 시행하였다. 또한 고정효과 및 확률효과 모형 그리고 패널 ARDL모형을 이용하여 가격과 거래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3) 연구결과 본연구의 실증 결과에 의하면, 전체 15개 지역의 주택가격은 거래량과 장기적으로 공적분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가격과 거래량은 단기와 장기에 있어서 모두 양방향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 추정결과에 의하면 거래량은 주택가격에 영향을 주며 또한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공적분, 인과관계 및 패널 추정결과는 주택가격과 거래량만을 포함한 두 변수 모형뿐만 아니라 거시경제변수를 외생변수로 포함하는 모형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2. 결 과 본 연구결과에 의해 주택가격과 거래량은 서로 정(+)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두 변수 간에는 동조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단기 모두 거래량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보다 가격이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택시장의 움직임에 있어서 거래량보다 가격이 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동조화 현상은 연구기간 동안 국내 주택시장 및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예산제약모형보다는 손실회피모형에 의한 설명이 보다 현실적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and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 sales prices and trading volume during 2006~2015 in Korean housing market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based on the panelcausality test with error correction term, there exist short-run and long-run b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house sale prices and trading volume. In addition, using both the fixed effect and random effect model and ARDL model, we fi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house prices on trading volume is larger than that of the trading volme on the house prices in the short run as well as in the long run. Th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can be explained by the theory of loss aversio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Korean housing markets and macroeconomic situations during the whole sample period.

      • KCI등재

        거시경제에 기초한 주택가격 분석

        심성훈(Sim Sung Hoon) 한국부동산학회 2008 不動産學報 Vol.32 No.-

          1. CONTENTS<BR>  (1) RESEARCH OBJECTIVES<B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run and short-run relationships between house prices of four regions and economic variables such as GDP, income, interest rate, and CPI, etc. Furthermo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xistence of short-run bubble in house price.<BR>  (2) RESEARCH METHOD<BR>  This study employes a bounds testing approach to coin testing. In addition, an ARDL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 ECM (error correction model) is used to estimate the short-run relations between house prices and macroeconomic variables.<BR>  (3) RESEARCH RESULTS<BR>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 long-run cointegration relationships between house prices and economic variables, based on bounds test as well as on Johansen method. In the short-run, however, the house prices of four regions are not influenced by the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GDP and income, and the error correction terms are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findings imply the possibility of bubble in short-run house prices.<BR>  2. RESULTS<BR>  Based on the results of both ARDL and ECM estimations, this study sets a long-run housing model and forecasts house prices.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fitted values of house prices, the bubble is estimated. The bubble term in Gangnam area is bigger than the other regional housing markets. The bubble appears to be over 30% in Gangnam and be less than 20 % in other regions.

      • KCI등재후보

        Testing for Regional House Price Convergence in Korea

        심성훈(Sim, Sung Hoon) 한국부동산학회 2012 不動産學報 Vol.49 No.-

        1.CONTENTS (1)RESEARCH OBJECTIVES 본 연구는 최근에 개발된 조합별(pairwise)기법을 사용하여,1986~2011년 동안 우리나라 24개 도시의 주택가격 수렴성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2)RESEARCH METHOD 본 연구는 Pesaran에 의해 개발된 단위근 검정 방법인 조합별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주택 가격 수렴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 비해 횡단면 상호의존성,기준 도시선택 문제 및 Type-Ierror문제 등에서 보다 우월한 방법이다. (3)RESEARCH FINDINGS 본연구의 계량 결과에 의하면,전체 24개 도시의 주택가격은 수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club’수렴성에 대한 결과에 따르면,수도권 도시들의 ‘club’과 서울 및 광역시‘club’에 있어서는 미약하나마 수렴성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들 ‘club’에 있어서도 수렴성을 만족하기 위한 두 번째 조건인 ‘cotrending’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 지역의 주택 가격도 궁극적으로 수렴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2.RESULTS 우리나라 주택 가격이 장기적으로 수렴하지 않는다는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주택 가격의 비수렴성이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주택정책도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시행되어야 한다. 즉, 큰 틀에서 중앙 정부의 거시적인 주택 정책의 시행과 동시에, 각 지역의 주택 가격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들, 즉 노동력의 이주, 세제, 지역 소득, 지역 주택의 수요•공급 등이 고려된 미시적인 주택 정책의 시행이 필요하다는 점을 함의한다.

      • KCI등재후보

        아파트 전세가격/매매가격 비율의 장·단기 분석 : 서울시와 광역시를 중심으로

        심성훈(Sim, Sung Hoon) 韓國不動産學會 2011 不動産學報 Vol.47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run and short-run relationships between house rent-price ratio and the variables such as interest rate and exrected future price growth.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employes a bounds testing approach to cointegration. In addition, an ARDL(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 ECM (error correction model) is used to estimate the short-run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3) RESEARCH RESULT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 long-run cointegration relationships between house rent-price ratios and other variables. Our empirical results are in favor of the present value model in the long run. Moreover, the error correction terms are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ying that there exist the short-run adjustments in the house prices and rents toward their long-run equilibrium levels. 2. RESULTS The current value of rent-price ratios affects the future movements of both house prices and rents in two regions. Our results give some policy implication for the housing market. The policy to stabilize the housing markets should be made by considering the factor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housing markets and its short-run and long-run impacts on the housing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