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무주조에 의해 제조된 Cu-Sn계 합금의 미세조직 및 인장성질

        심상현,강희수,백경호,Shim, Sang-Hyun,Kang, Hee-Soo,Baik, Kyeong-Ho 한국분말야금학회 2010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7 No.6

        Cu-Sn based alloys were manufactured by gas atomization spray casting route in order to achieve a fine scale microstructure and a high tensile strength. The spray cast Cu-10Sn-2Ni-0.2Si alloy had an equiaxed grain microstructure, with no formation of brittle ${\delta}-Cu_{41}Sn_{11}$ phase. Aging treatment promoted the precipitation of finely distributed particles corresponding to ${\delta}-Ni_2Si$ intermetallic phase throughout the $\alpha$-(CuSn) matrix. The cold-rolled Cu-Sn-Ni-Si alloy had a very high tensile strength of 1200 MPa and an elongation of 5%. Subsequent aging treatment at $450^{\circ}C$ for 1h slightly reduced the tensile strength to 700 MPa and remarkably increased the elongation up to 30%. This result has been explained by coarsening the precipitates due to over aging and reducing the dislocation density due to annealing effects.

      • KCI등재

        飯僧과 『食堂作法』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심상현(Shim, Sang-hyu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1 No.-

        飯僧과 「食堂作法」은 모두 衆僧에 대한 공양을 의미한다. 이 가운데 반승이라는 단일 명제에 대한 연구는 이미 많으며 연원과 종류에 대해서도 자세하다. 그러나 그 設行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없다. 한편 「식당작법」은 「영산재」의 일부로 자리하여 의식문과 절차가 오롯이 전승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연원에 대한 언급이 없다. 이런 차제에 본 논문은 반승을 작법화 한 것이 「식당작법」이고, 「식당작법」의 연원이 반승에 있음을 밝혀, 이 두 명제가 표리의 관계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식당작법」은 원래 午時衆供이 作法化 되면서 붙여진 명칭인바오시중공은 곧 반승에 다름 아니다. 즉, 그간 독립적으로 혹은 대규모 재의식의 일부로 오시에 거행하던 반승을 「영산재」를 구성하면서 그 일부로 편입한 것이 다름 아닌 「식당작법」이다. 「식당작법」의 광경과 절차를 잠시 개관하면, 설행 장소가 靈山會上임을 알리는 莊嚴이 도량에 가득하고, 대웅전 앞 月臺 높은 곳에 자리하여 원근을 살피며 대중을 보호하려는 金堂佐의 시선이 예사롭지 않다. 도량 중앙에는 白槌를 중심에 두고 대중의 安危를 돌보는 打柱의 자상함이 다소곳하고, 작법의 소임을 점검하고 진두지휘하는 衆首의 근엄함은 추상같다. 의식문의 내용은 정신적인 면을 스스로 통제토록 구성돼있고, 범패와 작법은 대중의 시선을 집중하게 하며, 鱗次라는 표현이 있듯 법다움이 수미를 일관하고 있다. 때문에 일체의 번뇌나 망상이 끼어들 틈이 없어, 여법한 공양이 자연히 이루어지는바 질서유지는 근본 목적이기 보다 오히려 부수적 효과라 하겠다. 이런 과정을 거치며 업그레이드되어 「식당작법」이란 이름으로 정착된 반승의 분위기는 매우 화려하고, 질서는 정연하며, 작법은 아름다워 영산재의 백미로 일컬어지게 되었다. 「반야심경」에서는 보거나 느낄 수 없는 점이다. 정리컨대 반승을 작법화 한 것이 「식당작법」이고, 「식당작법」의 연원은 반승에 있다. 즉, 이 두 명제가 표리의 관계에 있음을 분명히 한 것이 본 논문의 성과다. ‘Banseung’ and ‘Shikdang-Jakbeop’ mean offering some food to monks. There are many studies on ‘Banseung’ and the descriptions about its origin and types are very specific, but there is no concrete comment about its practice. On the other hand, ‘Shikdang-Jakbeob’ became a part of ‘Youngsanjae’ and its text and procedure were completely internalized but there is no comment about its origin. This paper clarifies that the systematic performance of ‘Banseung’ became ‘Shikdang-Jakbeob’ and the origin of ‘Shikdang-Jakbeob’ is from ‘Banseung’. So these two theses have a close relation something like interlocked together. ‘Shikdang-Jakbeob’ is named from the performance of ‘Oshijungong’, so ‘Oshijungong’ is ‘Banseung’. ‘Banseung’ which was performed at daytime as an independent or a massive ceremony became a part of ‘Youngsanjae’ and this was named ‘Shikdang-Jakbeob’ which was complementary to ‘Suryukjae’. As we summarize the scene and the procedure of ‘Shikdang-Jakbeob’, “…there are full of ‘Jangum’ decorating the place and it reminds us of ‘Youngsanhyesang’. the eye of ‘Kumdangjoa’ to protect the people is so extraordinary … ‘Baekchu’ is in the middle of the place and ‘taju’ who takes care of people is so kind … ‘Jungsu’ who controls the performance is so serious …” The contents of the text cons ist of elements that make us control our spiritual aspects. ‘Boempae and Jakbeob’ make people concentrate on their performance. Some kind of Dharma go through the performance, so there is no place for affliction and delusion. It makes the offering of meals to monks natural. So maintenance of order is not so much the fundamental purpose as the attached effect. ‘Banseung’ going through this process is upgraded to ‘Shikdang-Jakbeob’ and its atmosphere is luxurious, orderly and ‘Jakbeob’ is very beautiful. So it has become the peak of beauty in ‘Youngsanjae’. That kind of beauty and feeling can’t be seen in the sutra of prajna. As a conclusion, the systematic performance of ‘Banseung’ became ‘Shikdang-Jakbeob’ and the origin of ‘Shikdang-Jakbeob’ is from ‘Banseung’. This paper clarifies that these two theses are so close as to be interlocked.

      • KCI등재

        佛敎의 儀式音樂에 對한 一考察

        심상현(Shim, Sang-Hyu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2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7

        ‘Yeongsanjae’ is one of the best Korean buddhist ceremony, registered as the Korean intangible heritage #50 and the world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UNESCO september, 2009. Yeongsanjae is performed through the buddhist music and dance.<br/>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Beomeum and Beompae the ceremonial buddhist music and Jakbeopmu the ceremonial buddhist dance. The theme of this paper is the buddhist music. In fact buddhism has a negative attitude to music and dance as those are prohibited by precepts. But the reason music and dance can be performed in ritual is that those are considered as a method to spread the dharma or as a method to undergo discipline. So we have to approach to it in the spiritual aspect.<br/> There are two parts of buddhist ceremonial music. One is ‘Anchaebie’ focusing on theoretical aspect and the other is ‘Bakkatchaebie’ focusing on spiritual aspect. The former play a role in giving a tension and the latter play a role in giving a relaxation. So those lead people to the buddhist utopia Middle Way.<br/> As those are classified into sound, Anchaebie has short and mechanical sound line to deliver the contents exactly and it needs high degree of precision because it deals with theoretical aspect. Bakkatchaebie is very long and has a high level of difficulty. It is performed to relax the tense atmosphere from dealing with spiritual aspect. Its predominant feature is ‘ileumdagok’-one note many songs and it has a relation with India the native place of buddhism where a ruminant cow is adored.<br/> So it has a feeling of country bordering on western china. The buddhist music Beomeum and Beompae are arranged in its features and usage of terms at modern people’s eye level in this paper. We can meet many persons through the tunnel of culture beyond time and space and finally arrive at the world of buddha. So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culture is very important.

      • KCI등재

        달 탐사선의 동역학 모델링 및 관성 모멘트 추정에 관한 연구

        심상현 ( Sang Hyun Shim ),김광진 ( Kwang Jin Kim ),이상철 ( Sang Chul Lee ),고상호 ( Sang Ho Ko ),류동영 ( Dong Young Rhyu ),주광혁 ( Gwang Hyeok Ju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0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18 No.4

        This paper deals with attitude determina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problems for a lunar module. For this we first derive equations of motion for the lunar module by considering allocation locations (configurations) of reaction thruster and a reaction wheel assembly. The lunar module is assumed as a rigid body. In order to include the effect of fuel sloshing on the dynamics of the lunar module, we model it as a spherical pendulum for a simple analysis. For estimating angular rates and moment of inertia of the module, we employ an extended Kalman filter and the least mean square algorithms, respectively. Finally we construct a dynamical model for the lunar module by combining all these elements.

      • KCI등재

        작법무(作法舞)의 연원(淵源)과 기능(機能)에 대(對)한 고찰(考察) ―경산제(京山制)를 중심(中心)으로―

        심상현 ( Sang Hyun Sh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2 No.-

        불교의 성격을 ``普化應同``이라 한다. ``和光同塵``과도 통하는 말이다. 불교의 이런 성격과 가무를 사랑하는 우리민족의 정서가 어우러져 세계불교 가운데 차별화 된 한국불교만의 儀式文化를 탄생케 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작법무다. 작법무는 외적 美가 아닌 내적 정신세계를 추구하기 위한 중요한 방편으로서 유지 전승되어 왔다. 그러나 작법무의 연원이나 분명한 기능을 알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왜냐하면 문헌상 명시된 곳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작법무 각각의 거행시점과 성격에 바탕해서 歸納的方法으로 그 연원과 기능을 알아보고자 했다. 법고무는 거행하는 시점이 의식의 序幕이거나 한 단원의 大尾다. 그리고 춤사위가 활달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태자 싣다르타의 탄생을 알린 歡喜鼓와 공통점이 있음에 착안하였다. 따라서 중요한 사실을 전하고 활달한 춤사위로 환희로움을 알렸던 환희고를 법고무의 실질적 연원과 기능으로 보아 무리가 없다고 확인하였다. 바라무는 鳴拔과 繞잡외의 바라무는 반드시 다라니를 歌詞로 거행 하는데, 다라니는 열쇠와 같아서 정확도를 생명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환희와 찬탄의 일환으로만 이해하던 기존의 입장에서 일보 전진하여 다라니의 정확도를 업그레이드시켜 소기의 목적을 성취케 하는데 그 목적과 연원, 그리고 기능이 있음을 밝혀 보았다. 착복무의 경우 舞服이 六銖袈裟인 점과 이를 착용하는 주인공들이 色界第4天인 長壽天의 天人인 점에 주목하였다. 즉, 500大劫을 사는 그들이 동참하여 舞를 펼침은 그곳이 곧 진리가 베풀어지고 있는 현장임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니, 여기서 착복무의 연원과 기능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착복무와 바라무 거행에는 기본자세가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참선자세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런 사실을 천명함으로써 최소한 京山制작법무의 변형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사방요신과 요잡바라는 연극에 있어서 幕이나 場에 해당하는 역할이 있음을 밝혀내는 성과도 있었다. 타주무의 연원은 三國時代로부터 있어온 飯僧에 이미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기능면에서 본다면 도량 중앙에 설치한 ``白槌``와 ``打柱舞``로써 공양에 임해서도 승려 본연의 자세를 잃지 않게 하려는 데 있다 하겠다. 즉, 본연의 자세를 阿含의 八正道에서 찾고, 이를 대중에게 알린다는 의미에서 ``白槌``로써 대중의 마음을 경책하며, 앉는 자세와 무용으로써 諸法皆空인 般若의 경지를 거쳐 諸法實相인 法華의 세계로 인도하는 고차원적인 작법무임을 알 수 있었다. We call the character of Buddhism ``普化應同`` and its meaning is similar to ``和光同塵``. This character of Buddhism and the national sentiment of loving songs and dances make the Korean buddhist ceremony unique and ``Jakbeopmu`` shows these kind of characteristics. So we need a buddhist view point to understand ``Jakbeopmu``. Though ``Bompae``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three songs in Korean music, we consider it to be the song without general similarity to other songs and in the case of ``Jakbeopmu``, We consider it to be the same as ``Bompae``. It is the dance without general similarity to other dances. The poet and zen priest ``Sunwolkuanhyu`` in the Tang dynasty depicted the scene of ``Muae dance`` like this in his poetry. ``...motion of two sleeves is to be free from two kinds of anxiety and lifting feet three times is to step beyond the secular world....`` ``Jakbeopmu`` is not for external beauty but for internal spirit. and we cannot find out the origin of it because there is no formal record. so in this paper, the origin of ``Jakbeopmu`` is deduced on the basis of i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inductive method. ``Boepgomu`` is performed at the beginning or the ending of ceremony and its active motion of dancing is similar to ``Whanhigo`` which informed the world of the birth of Siddhartha. So ``Whanhigo`` is considered to be the origin of ``Beopgomu``. ``Baramu`` is performed to the lylics of ``dharani`` and the accuracy is very important to ``dharani``. so the origin and the purpose of ``Baramu`` is to upgrade the accuracy of ``dharani``. In the case of ``chakbokmu``, clothes for the dance is embroidered robe and the performers who wear the robe are ``Chunin`` at ``Jangsuchun``. It means that the performing place is a place where the wisdom of truth is delivered. It is also found out that maintenance of zen attitude is very important to performing the ``chakbokmu`` and the ``Baramu`` and it prevents the transformation of ``Jakbeopmu`` on Kyongsanjae. In addition, it is found out that ``Sabangyosin`` and ``Yojapbara`` play a role like Act or Scene in the play. In the case of ``Tajumu``, Keeping the attitude of monk itself in mind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Offering-Meal harmoniously and the attitude is from the Noble Eightfold Path in Agama. The instrument of ``Baekchu`` is made to inform the world of the attitude and it leads us to ``Prajna`` the state of Emptiness and then to the real state of the true reality of ``Lotus sutra``. I anticipate that there will be some chemical changes to understand the ``Jakbeopmu`` and the Korean cultur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because just one droplet of sea water can contain all the taste of the ocean.

      • KCI등재
      • KCI등재

        단발 피스톤 항공기의 조종석 형태에 대한 고객 요구도 분석

        송병흠 ( Byung Heum Song ),이상철 ( Sang Chul Lee ),성홍계 ( Hong Gye Sung ),문희장 ( Hee Jang Moon ),심상현 ( Sang Hyun Shim ),안준성 ( Joon Sung An ),고유리 ( You Ri Ko ),김광해 ( Kwang Hae Kim ) 한국항공운항학회 2009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17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stomer needs for the configuration of an aircraft cockpit layout of a single piston propeller aircraft. From the result of survey, we figure out the demand of the potential customers. We consider control stick and instrument out of several items to determine which pay for the aircraft or not. We analyze types and features of the aircraft control stick and the instrument which are equipped in the same aircraft in order to figure out what is best needed through a market survey and a questionnaire survey.

      • 說法儀式에 대한 고찰 : 韓國佛敎 儀式集을 중심으로

        沈祥鉉 동방대학원대학교 2007 東方論集 Vol.1 No.-

        동강법사 택영(桐江法師 擇瑛, 1045-1098)은 제불(諸佛)의 원(願) 가운데 공통분모를 도출하여 10가지로 정리하였으니 종효(宗曉, 1151-1214)가 펴낸 『樂邦文類』에 있는 「往生淨土十願文」이 그것이며, 한국불교 의식용 『千手經』에는 「如來十大發願文」이라는 제목으로 그 내용이 수록되어있다. 영명지각수선사(永明智覺壽禪師, 904-975)는 설법을 ‘滿佛之願也(부처님의 願을 채워드리는 것)’라 정의했다. 즉 설법은 제불의 원을 채워드리는 가장 수승(殊勝)한 방법이라는 말이다. 석존께서 구사하신 중생교화 방법도 대부분 설법이셨고, 오늘날 남아있는 팔만대장경이 그 자취다. 설법을 떠나 전법(傳法)을 논함은 연목구어라 하리만큼 설법은 포교의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다. 때문에 석존의 제자들 역시 설법을 포교의 주요방법으로 삼게 되었고, 설법의 형태는 각 지역의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는 불교의 성격 상 지역에 따라 분화 ․ 발달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한국불교의 설법의식을 대상으로 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국불교의 설법의식일지라도 의식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그 형태를 달리한다. 따라서 어느 한 가지를 지적하여 이것이 ‘한국불교의 설법의식’이라 단언하기 어려운 것이 실정이다. 다행이 중요한 부분은 대체로 일치하기로, 일치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표준안을 제시하여 전체를 개관하기로 하였다. 또 이 가운데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교리적 ․ 철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특히 2.4 각 항의 개요와 의식에서 무설설 불문문(無說說 不聞聞)의 도리가 잘 드러나 있는 (12) 입정(入定) 항과, 『大般涅槃經』권13「聖行品」에서 구법(求法)의 모범을 보이신 설산동자(雪山童子)의 위법망구(爲法忘軀)의 행(行)이 그대로 숨쉬고 있는 (13) 설법 항은 한국불교 설법의식의 특징과 우수성이 가장 잘 나타난 대목이다. 이외에도, 의식 구석구석이 배어있는 선조사님들의 자상하신 배려도 그렇거니와 사자좌(獅子座)를 중심으로 거행되는 그 분위기는 생각만으로도 마음이 맑아지는, 그래서 세계 어느 곳에 내어놓아도 자랑스러운 우리만의 문화라 자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