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가출 경험 및 가출 빈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신혜성 ( Hyesung Shin ),강혜진 ( Hyejin Kang ),안성현 ( Seonghyun An ),이규민 ( Guemin L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4

        청소년 가출은 단순 일탈에 그치지 않고 종종 심각한 범죄로까지 이어지는 모습을 보여 사회적인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청소년의 가출과 같은 비행행동 자료는 대체로 발생 빈도가 낮아 자료의 많은 부분이 0인 영과잉 자료라는 특징을 가진다. 0의 비율이 과도하게 높은 자료에 일반적인 포아송 회귀모형을 적용하게 되면 분석 결과의 정확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Lambert(1992)는 자료에 0의 빈도가 과도하게 많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을 제안하였다.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은 사건 발생 여부와 발생 빈도를 높이는 요인을 한 번의 분석만으로 탐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 모형을 적용하여 가출 빈도를 높이는 요인을 탐색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였고, 가출 경험여부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2018의 2차년도 자료에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중학생들의 가출 경험 여부 및 가출 빈도 각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가정과 학교라는 환경적인 요인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가출 경험에는 공격성과 부모의 양육태도 중 거부, 가구소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출 빈도에는 양육태도 중 거부와 비일관성, 교사 및 친구와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을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설명 변수임에도 가출 경험과 가출 빈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방향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Adolescent runaways are gradually increasing and perceived as serious behaviors that often lead to crime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main cause of runaways was likely related to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at home rather th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has also been found that a clos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friends at school would compensate for a bad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at home. Mostly,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 data tends to be zero-inflated, due to the low frequency of such behavior. In this study, a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ZIPR) model was applied to the KCYPS 2018 data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runaway experiences and runaway frequency. Both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e same model. Results indicated that aggression,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m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t hom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runaway experiences, and both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ccurrence and frequency of runaways. In addition, by applying the ZIPR model, the effects of the same explanatory variables were different for an occurrence of runaway and the frequency of runaways, respectively, and those differentiated effects were well captured by the ZIPR model.

      • KCI등재

        공통문항군에 포함된 차별기능문항이 IRT 수직척도 능력추정치에 미치는 영향

        신혜성(Hyesung Shin),이규민(Guemin Lee),강상진(Sang-Jin K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1

        수직척도(vertical scale)는 동일한 구인(construct)을 측정하는 여러 학년 또는 연령의 검사점수가 하나의 공통척도 상에 나타나도록 하여 학년 간 또는 연령 간 성장을 올바르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직척도 개발을 위해 학년 간 공통문항 설계를 적용할 때 공통문항이 인접 학년에서 서로 다르게 기능하는 차별기능문항이라면, 이는 수직척도의 양호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통문항이 서로 다른 학년이나 연령에게 사용될 때 차별기능문항으로 판별되는 경우는 대규모 검사에서 빈번히 발견되는 현상으로, 수직척도를 왜곡시켜 학생의 성장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RT 수직척도 개발에서 공통문항군에 차별기능문항이 포함되어 있을 때 차별기능문항의 방향, 정도, 빈도가 학년별 능력추정치 평균과 표준편차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공통문항군에서 차별기능문항을 제외하는 방법이 수직척도의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공통문항군에 차별기능문항이 포함되어있을 경우 조건에 관계없이 수직척도가 왜곡될 수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고, 단순히 차별기능문항의 개수만이 아니라 차별기능 정도 또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차별기능문항을 공통문항에서 제외하는 방법은 추정치의 양호도와 정확성을 높이고, 수직척도의 왜곡을 방지하는 방법이 될 수 있으나 검사의 타당성을 해치지 않는 수준에서 제거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A vertical scale refers to a common scale where all scores of different test levels such as different grades and ages that measure the same construct could be compared. By comparing the achievement scores of students across grade levels on a vertical scale, the students’ academic growth could be measured and the effectiveness of schools could be assessed in fair manners. A major problem would be raised if some of the common items functioned differently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in adjacent grade levels within a common item non-equivalent groups linking context.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DIF in common items on the ability parameter estimate of the IRT vertical scale. Simulation techniques were used with several conditions by specifying three factors: the direction of DIF, the magnitude of DIF, and the frequency of DIF items.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moving DIF items from common items on the IRT vertical scale by comparing the cases of IRT vertical scales including DIF.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vertical scale from the analysis including DIF in common items would be inappropriate regardless of DIF conditions. It would be recommended that the researchers should check the number of DIF items and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DIF items. In addition, removing DIF items could be an plausible solu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IRT vertical scale. Nevertheless, the researchers should be careful in removing DIF items from common items for maintain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whole test.

      • KCI등재

        국가 이미지 디자인의 파열

        신혜성(Shin Hyes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1

        본 논문은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의 공식 디자인과 거리 미술 사이의 관계와 간극을 고찰한다. 멕시코 올림픽 위원회의 수장을 맡은 페드로 라미네즈 바스케스는 이상적인 국가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올림픽 그래픽 디자인은 멕시코의 전통 예술과 옵아트와 같은 국제적 예술 양식을 훌륭하게 혼합한 것으로 평가되며, 멕시코를 더욱 매력적이고 발전된 모습으로 그려내는데 이바지하였다. 하지만 공식 디자인이 보여준 국가의 이미지는 억압적인 정부의 통치에 고통 받고 있던 멕시코인들의 실생활과는 매우 동떨어져 있었다. 다른 국가들의 68혁명과 관련된 멕시코 학생 운동은 올림픽 디자인을 차용한 정치풍자의 거칠고 강렬한 이미지들을 생산해냈다. 오륜기의 다섯 바퀴는 탱크의 바퀴로 변형되고, 1968 올림픽 마스코트인 평화의 비둘기가 총검에 찔려 죽은 이미지 등으로 제작되었다. 올림픽 개막 열흘 전인 10월 2일 뜰라뗄롤고의 삼문화 광장에서는 시위대가 처참하게 살해되었다. 학살에서 폭로된 국가 이미지의 모순에 대한 자각은 젊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멕시코 현대미술의 의미 있는 전환점을 이끌어냈다. 올림픽의 공식 디자인과 이를 전유한 거리 미술의 간극 사이에 위치한 국가 이미지는 이율배반을 드러낸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nd the gap of images between the formal design of Olympic Games and the street art in 1968 of Mexico City. Pedro Ramírez Vázquez, the chief director of Mexican Olympic Committee, strived for making the ideal image of the nation. The graphic design of the Olympic regarded as successful hybrid between mexican traditional art form and the international art trend such as Op art, and contributed greatly to represent Mexico as a country more attractive and developed. But the nation s image made by the formal design was far away from the real life of mexican people who resisted the oppressive government. The mexican students movement that allied to other country s 68 revolution produced rough and strong images of political satire borrowing the formal olympic design ; 5 circles of olympic flag was transformed to a wheel of a tank. A dove of peace, 1968 olympic mascot was killed by bayonet. 10 days before of the opening of the Olympic Games, the night of October 2nd, the demonstrators in Plaza of Three cultures at Tlatelolco were massacred. The awake to the contradiction of nation s image exposed during the massacre influenced to young artists and derived significant turning point of mexican contemporary art. The nation s image located in-between the formal design of Olympic and its appropriation in the street art discloses antinomy.

      • KCI등재

        멕시코의 여성 초현실주의자들: 레메디오스 바로와 레오노라 캐링턴

        신혜성 ( Shin Hyes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본 논문에서 연구하는 레메디오스 바로와 레오노라 캐링턴은 멕시코로 이주하여 독자적인 초현실주의 작품 세계를 발전시켜나간 두 명의 여성 작가이다. 2018년 멕시코시티에 위치한 국립 현대미술관에서는 이들에 대한 대규모 개인 회고전을 연달아 개최했는데, 외국 출신의 작가에 대한 기념비적 전시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 두 작가의 초현실주의 작품이 멕시코 특유의 정체성을 표면적으로 강하게 드러내고 있지 않더라도, 오늘날 멕시코의 미술계에서 소중한 국가적 자산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사실 멕시코는 1938년에 초현실주의의 수장인 앙드레 브르통이 직접 방문하였고, 1940년에는 초현실주의 국제 전시를 유치를 하는 등 초현실주의 운동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은 국가이다. 자칫 유럽 중심, 남성 위주로 서술되기 쉬운 초현실주의 역사를 살펴볼 때, 멕시코에서 활동한 두 명의 여성 초현실주의자인 바로와 캐링턴의 예술 활동은 우리가 특별히 관심을 가져야할 부분이다. 이들은 2차 세계대전 기간에 멕시코로 이주하였는데, 그곳에는 스페인 식민 시대 이전의 전설이나 음식 재료로 병을 치료하는 주술 풍습이 여전히 생생하게 살아남아 있었다. 이런 환경에서 부엌은 기묘한 상상력과 주술적 힘을 원동력으로 삼아 초현실주의 작품을 창작하는 공간이 될 수 있었다. 레메디오스 바로의 회화 작품은 신비로운 작업을 수행하는 은둔적 여성 창조자의 모습을 통하여 오컬트에 심취한 여성 초현실주의자의 정체성을 표상하며, 세심한 계획과 장인의 노력으로 만들어낸 독특한 환영의 세계를 보여준다. 에코 페미니스트라고 불리는 레오노라 캐링턴은 서구의 폭력적인 기계 문명에 반대하며 다양한 지역의 전통 문화에서 숭배되어온 여신의 치유적 힘을 작품의 주제로 삼는다. 멕시코 인류학 박물관의 벽화를 의뢰 받아 원주민 문화를 체험하고 마야 고전 서적을 탐구해서 그린 <마야의 마술적 세계>는 멕시코의 신화와 작가의 초현실주의적 상상력이 잘 결합되어 있다. Remedios Varo and Leonora Carrington are two Mexican-immigrant women artists taking their own lines in surrealism artworks. The Modern Art Museum in Mexico city held the grand their retrospective exhibitions respectively in relays in 2018 which proved the today's Mexican art world regards them as a national treasure, although the artworks, on the surface, have slight identity of Mexico. Mexico is the country having a close relation to the Surrealism movement with Andre Breton’s visit in 1938 and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of Surrealism in Mexico city in 1940. Varo and Carrington’s careers as a surrealism artist claimed an intense attention in the history of surrealism which is prone to narrative of Eurocentric and male-centered. During World War II, women artists exiled to Mexico where the pre-Hispanic mythology and the customs to charm away illness with food materials were still alive. In their kitchen, they all made surrealistic art pieces inspired by the weird imagination and occult power. Across Remedios Varo's works, the hermit female figure doing the job for magic-making is represented her identity as a woman surrealist fascinated with the occult. The works show the distinctive illusion with detailed and artisanal techniques. Leonora Carrington, so-called eco-feminist against the violent machine civilization of the West, based her artworks around the therapeutic and magical power of goddess worshiped by traditional culture in the various regions of the world. She was commissioned a mural painting, < The Magical World of the Mayas > for National Museum of Anthropology in Mexico. It shows the influence of mythological and mystical traditions of Mexico and the surrealistic imagination of the artist who experienced the indigenous culture and researched the books of ancient May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